다한증(多汗證) / 진액(津液)

 익생양술에서 "다한증(多汗症)"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다한증(多汗證)"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익생원인과 증상
땀의 생리적인 기능은 크게 몸 안의 노폐물을 살갗을 통해 내보내는 노폐물 배설 기능과 그 과정에서 높아진 열을 발산하여 체온을 조절하는 기능으로 나눌 수 있다. 정상적으로 노폐물 배설이나 체온 조절을 위해 흘리는 땀 이외의 과다한 발한(發汗)은 몸의 진액을 지나치게 손상시켜 기와 체력을 손상시킬 수 있다.
다한증(多汗證)
계통 진액(津液) / 내경편(內景篇)
원인과 증상 한증(汗證). 다한(多汗). 날씨, 운동, 복약(服藥) 등과 상관없이 땀이 많이 나는 병증. 양허(陽虛), 표허(表虛) 또는 습담내증(濕痰內蒸), 음허내열(陰虛內熱)로 일어남. 땀이 나는 부위에 따라 두한(頭汗), 수족한(手足汗), 심한(心汗), 음한(陰汗), 반신한(半身汗)으로 나누고, 상태에 따라 자한(自汗), 도한(盜汗), 탈한(脫汗), 전한(戰汗), 황한(黃汗), 냉한(冷汗), 절한(絶汗), 누한(漏汗)으로 나눔.
참고 소문평인기상론(素問平人氣象論)
질병처방 부소맥(浮小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