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생원인과 증상
과음 과식, 부패물 섭취, 감염증, 피로 등에 의해 음식물이 충분히 소화되지 않는 상태를 말한다. 소화가 안 되어 헛배가 부르고 트림이 나고 메스꺼우며 식욕부진·복통·구토·설사 등의 증상이 뒤따른다.
·식상(食傷) : 먹은 음식이 소화가 안 되고 복통과 토사 등의 급성병변을 일으키는 증상.
·손설(飧泄) : 소화력이 약해서 먹는 대로 설사를 하는 병증. 젖을 뗀 후의 유아에게 많이 나타난다.

계통 | 소아(小兒) / 잡병편(雜病篇) |
원인과 증상 | 숙체(宿滯). 숙식불소(宿食不消). 음식의 적체(積滯)가 오래된 것. 과식 또는 비허(脾虛)로 인해 소화불량이 되어 발생함. 완복창만(脘腹脹滿), 신트림, 오심, 불식(不食), 대변비결(大便秘結), 설태니(舌苔膩), 오한, 발열, 두통 등을 수반함. |
질병처방 | 가감보화환(加減保和丸) |
국출환(麴朮丸) | |
다(茶)[6] | |
목향기출환(木香枳朮丸) | |
벽해수(碧海水) | |
불환금정기산(不換金正氣散)[2] | |
소식환(消食丸) | |
신국(神麴)[3] | |
위령탕(胃苓湯)[2] | |
조위산(調衛散) | |
황백산(黃白散)[2] | |
후박탕(厚朴湯)[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