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생원인과 증상
복부의 여러 가지 통증이다. 흔히 배앓이라 한다. 일반적으로는 배 안의 장기에 이상이 있을 때 생기는 복통을 말한다. 복통은 위장병 중에서 가장 많은 증상인데, 복통을 일으키는 질병은 위장뿐 아니라 신장이나 자궁 등의 장애로 인해 생기는 경우도 있어 매우 많기 때문에 그 원인이나 동기가 여러 종류이므로 원인부터 조사하여 치료하는 것이 지름길이다. 또 복통이 나타나는 양상도 다양하여, 저절로 통증이 느껴지는 자발통, 움직일 때 느껴지는 체동통, 음식물을 먹은 다음에 일어나는 식후통, 손으로 눌렀을 때 통증이 느껴지는 압박통 또는 압통 등이 있다. 압통이 느껴지는 부위는 대개 병이 있는 위치이거나 그 주변일 경우가 많은데, 관련통이라는 것이 있어서 이 통증이 오면 본병의 통증이 희미하게 느껴지기도 한다. 현대 의학의 상식으로는 급성위장염·췌장염·소,대장염·급성충수염·적리·장경련·장불통증·성기 질병 등이 있을 때 복통이 올 수 있다고 본다.
·배의 통증 : 신경성복통·변비·장염·맹장염·장폐색·결핵성복막염·급만성위염·체기(滯氣) 등에 의한 복통, 정신 과로에 의한 복통, 뇌명절통(雷鳴切痛), 오한에 따른 복통, 회충에 의한 복통, 구토·설사·곽란 등에 의한 복통.
·명치의 통증 : 위궤양·위카타르·위암·위하수·장관협착(腸管狹窄)·담석산통(膽石疝痛) 등에 의한 복통.
·오른쪽 배의 통증 : 담석증·급성신우염·신석(腎石)의 산통발작(疝痛發作), 만성맹장염 등에 의한 복통.
·왼쪽 배의 통증 : 협심증·신결석·적리(赤痢)·직장암·만성복막염·골반복막염 등에 의한 복통.
·아랫배의 통증 : 자궁 외 임신·맹장염·난소 난관의 질병으로 인한 복통·월경불순·나팔관의 농양(膿瘍)·방광결석 등에 의한 복통, 산후복통, 유산 후 복통 등.
·발병 원인
․ 한복통(寒腹痛) : 한기를 받아 생긴 복통.
․ 열복통(熱腹痛) : 열기로 인한 복통.
․ 식적통(食積痛) : 과식·소화불량 등 식상(食傷)에서 오는 복통.
․ 담복통(淡腹痛) : 담으로 인한 복통.
․ 제복통(臍腹痛) : 배꼽을 중심으로 아프고 당기는 복통.
․ 구설통(嘔泄痛) : 구토와 설사로 인한 복통.
․ 제축증(臍縮症) : 배꼽 아래가 아픈 병증.
․ 식상증(食傷症) : 먹은 음식이 소화가 안 되어 복통과 토사 등의 급성병변을 일으키는 병증.
가벼운 복통은 대개 위나 장에 탈이 나서 생기는 증상으로, 특별한 치료가 없어도 자연적으로 사라지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러나 복통이 심해지거나 지속적이거나 특히 다른 증상과 함께 오는 경우에는 몸에 심각한 증상이 있을 수 있으므로 빠른 조치가 필요하다.
구종심통(九種心痛)
계통 | 흉(胸) / 외형편(外形篇) |
원인과 증상 | 일반적으로 상복부(上腹部)와 전흉부(前胸部)의 동통(疼痛)을 말함. 육음외감(六淫外感), 칠정내상(七情內傷), 음식부절(飮食不節)로 생김. (1) 충심통(蟲心痛), 주심통(?心痛), 풍심통(風心痛), 계심통(悸心痛), 식심통(食心痛), 음심통(飮心痛), 냉심통(冷心痛), 열심통(熱心痛), 거래심통(去來心痛). (2) 음심통, 식심통, 기심통(氣心痛), 혈심통(血心痛), 냉심통, 열심통, 계심통, 충심통, 주심통 등 분류법이 여러 개임. |
참고 | 금궤흉비심통단기병(金{궤}胸痺心痛短氣病) |
질병처방 | 건칠(乾漆)[2] |
구통원(九痛元) | |
목향(木香)[3] | |
수념산(手拈散) | |
염통원(拈痛元) | |
통령산(通靈散) |
기실심통(氣實心痛)
계통 | 흉(胸) / 외형편(外形篇) |
원인과 증상 | 위완통(胃脘痛). 가슴에 있는 사기(邪氣)로 일어난 심통. 위완부가 아프고, 구갈(口渴)이 나서 물을 당기고, 자주 슬퍼하고, 때로 어지러워 넘어짐. |
참고 | 단계심법(丹溪心法) |
질병처방 | 자황환(煮黃丸)[1] |
치유환(梔萸丸) |
기체복통(氣滯腹痛)
계통 | 배(腹) / 외형편(外形篇) |
원인과 증상 | 기결복통(氣結腹痛). 복통의 하나. 심한 정서불안이나 절도 없는 생활로 기가 몰려서 일어남. 복부(腹部)가 불어나며 아픈데 옆구리와 어깨, 등이 모두 당겨 바로 눕지 못함. 아픈 곳이 일정하지 않고, 트림이나 방귀를 내보내면 통증이 감소되며, 기분이 나쁘면 통증이 심해짐. |
질병처방 | 목향빈랑환(木香檳榔丸)[3] |
사합탕(四合湯) |
냉복통(冷腹痛)
계통 | 배(腹) / 외형편(外形篇) |
원인과 증상 | 한랭복통(寒冷腹痛). 감한복통(感寒腹痛). 한사(寒邪)로 생긴 복통. 배가 계속 아프고, 몸을 차게 하거나 찬 음식을 먹으면 더 심해지고, 따뜻이 해주거나 만져주면 가벼워지고, 추워하고, 구갈이 없고, 설태는 희고, 맥은 침지(沈遲)하거나 침긴(沈緊)함. |
질병처방 | 계피(桂皮)[1] |
천초(川椒)[4] | |
총백(蔥白)[10] |
담음복통(痰飮腹痛)
계통 | 배(腹) / 외형편(外形篇) |
원인과 증상 | 담음으로 일어나는 복통. 비위(脾胃)의 운화기능장애로 수습(水濕)이 몰려서 생긴 담음이 중초(中焦)에 몰려서 생김. 식소(食少), 장명(腸鳴), 오심(惡心), 번민(煩悶), 두훈(頭暈), 목현(目眩), 심계(心悸), 기단(氣短), 소변불리(小便不利) 등 일반 담음 증상이 겸해서 나타남. |
참고 | 단계심법(丹溪心法) |
질병처방 | 사합탕(四合湯) |
담적복통(痰積腹痛)
계통 | 배(腹) / 외형편(外形篇) |
원인과 증상 | 담이 모여 생긴 복통. 청담(淸痰)이나 습담(濕痰)이 기도를 막아서 일어남. 청담으로 생기면 흉복간(胸腹間)에 그렁거리는 소리가 남. 아플 때에 현훈이 나고, 혹은 냉연(冷涎)을 토하기도 하고, 희고 뿌연 것을 내리기도 함. 맵고 뜨거운 것을 먹으면 잠시 멎음. 맥은 대개 활(滑)함. |
질병처방 | 궁출산(芎朮散) |
두창복통(痘瘡腹痛)
계통 | 소아(小兒) / 잡병편(雜病篇) |
원인과 증상 | 두창 때의 열독이 장위에 머물거나, 식적(食積)으로 일어나는 복통. (1) 열이 장위에 잠복해서 기(氣)가 돌지 못하여 생기면 마마가 나오기 전에 복통이 나고, 발열하고, 번조(煩躁)하고, 갈증이 나서 찬 물을 마시고, 대변이 굳음. 마마가 나오다가 들어가다 하면서 아프기도 함. (2) 식적으로 생기면 식욕이 없고 신트림이 나면 식상(食傷)한 것임. (3) 비위(脾胃)가 허약하여 생기면 배가 아프면서, 열이 심하지 않고, 갈증도 없고, 때로 발열하고, 때로 구토하고, 장명자리(腸鳴自利)하고, 육맥(六脈)이 허세(虛細)하고, 얼굴이 퍼렇고, 손발이 참. |
질병처방 | 선퇴탕(蟬退湯) |
복통(腹痛)
계통 | 포(胞) / 내경편(內景篇) |
원인과 증상 | 배가 아픈 것을 총괄해 말함. 육음(六淫), 노역과다(勞役過多), 음식부절(飮食不節), 칠정(七情) 등으로 기기울체(氣機鬱滯)한 데에 한사(寒邪)가 허한 틈을 타고 들어와 양기(陽氣)가 통하지 못하여 일어남. 한통(寒痛), 열통(熱痛), 허통(虛痛), 실통(實痛), 기체통(氣滯痛), 혈어통(血瘀痛) 등으로 분류됨. 일반적으로 추우면 심해지고, 따뜻하게 해주면 덜해짐. 구갈이 없고, 설태가 희고 얇으면 한증(寒症)임. 열증(熱症)은 통증이 있다가 없다가 하며, 구갈설조(口渴舌燥)하고, 소변이 적색이고, 변비가 있고, 설태가 황색임. 허증(虛症)은 통증이 면면히 지속되며, 만져주면 완화됨. 실증(實症)은 창만(脹滿)하고, 만지면 통증이 더함. 기체통(氣滯痛)은 아픈 곳이 이동하고, 혈어통(血瘀痛)은 찌르는 듯이 아프며, 아픈 곳이 고정됨. |
참고 | 소문거통론(素問擧痛論) |
질병처방 | 개울도기탕(開鬱導氣湯) |
도경환(導經丸) | |
수념산(手捻散) | |
신효월도산(神效越桃散) | |
오수유(吳茱萸)[2] | |
욱리인(郁李仁)[4] | |
육두구(肉豆蔲)[2] | |
작약감초탕(芍藥甘草湯)[1] | |
향련환(香連丸) | |
황련탕(黃連湯)[2] | |
후박(厚朴)[3] |
분돈(奔豚)
계통 | 전음(前陰) / 외형편(外形篇) |
원인과 증상 | 분돈기(奔豚氣). 신적(腎積). 오적(五積)의 하나. 신기(腎氣)가 허약하여 비(脾)의 습사(濕邪)가 들거나, 발한(發汗) 후 소침(燒鍼)을 잘못 놓아 침구멍에 한사(寒邪)가 들어가 기가 상충(上衝)함. 아랫배에서 가슴으로 또는 인후까지 기가 치밀어 오르는 것이 마치 돼지가 달리는 것 같음. 흉복통(胸腹痛)이 있고, 한열(寒熱)이 오가며, 배꼽 밑에 동계(動悸)가 있음. 오래되면 기천(氣喘), 해역, 골위(骨痿), 소기(少氣) 등이 나타남. |
참고 | 영추사기장부병형(靈樞邪氣臟腑病形) |
질병처방 | 감란수(甘爛水)[1] |
복령계감탕(茯苓桂甘湯) | |
천련산(川練散) | |
천초(川椒)[7] | |
총백(蔥白)[11] |
신적(腎積)
계통 | 적취(積聚) / 잡병편(雜病篇) |
원인과 증상 | 분돈(奔豚). 분돈기(奔豚氣). 오적(五積)의 하나. 신장과 관련된 적. 신기허약(腎氣虛弱)으로 비(脾)의 습사(濕邪)가 침습하거나, 땀을 잘못 내거나, 침을 잘못 놓아서 일어남. 얼굴색이 어둡고 통증이 아랫배(小腹)에서 명치 밑까지 치밀어 오르는 것이 돼지가 뛰는 것 같다 해서 분돈(奔豚)이라 함. 발작 때 복통이 심하고, 한열(寒熱)이 오가고, 뼈속까지 싸늘하고, 허리가 아프고, 인후가 붓고 짓무르며, 시력이 저하됨. 오래되면 숨이 차고, 배가 고프면 발작하기 쉬움. |
참고 | 맥경요결(脈經要訣) |
질병처방 | 분돈탕(奔豚湯) |
분돈환(奔豚丸) | |
증손오적환(增損五積丸)[3] |
심복냉통(心腹冷痛)
계통 | 흉(胸) / 외형편(外形篇) |
원인과 증상 | 이한(裏寒)의 증후. 흉복부(胸腹部)가 아프고, 아픈 부위에 냉감이 있음. 비위(脾胃)가 본래 허한 데에 풍한사(風寒邪)가 침습해 정기와 사기가 다투어 상하로 쳐서 일어남. |
질병처방 | 계설향산(鷄舌香散) |
조중열회(竈中熱灰) | |
지성내복단(至聖來復丹)[2] | |
초두구(草豆蔲) | |
호초(胡椒) | |
후박탕(厚朴湯)[2] |
심복자통(心腹刺痛)
계통 | 기(氣) / 내경편(內景篇) |
원인과 증상 | 흉복부(胸腹部)가 바늘로 찌르는 듯이 아픈 것. |
질병처방 | 소오침탕(小烏沈湯) |
심복통(心腹痛)
계통 | 흉(胸) / 외형편(外形篇) |
원인과 증상 | 흉복통(胸腹痛). 가슴과 배가 찌르는 듯이 아픈 것. 비위(脾胃)가 모두 허한 데에 풍한사(風寒邪)가 침습해 정기(正氣)와 서로 싸워 상하로 공격하고 부딪혀서 생김. |
질병처방 | 계령산(桂靈散) |
애엽(艾葉)[4] | |
이초향량산(二炒香良散) | |
이호산(二胡散) | |
총백(蔥白)[9] |
심비통(心脾痛)
계통 | 흉(胸) / 외형편(外形篇) |
원인과 증상 | (1) 심통(心痛)에 비통(脾痛)을 겸한 것. (2) 비위(脾胃)에 병이 있어 명치가 아픈 것. |
질병처방 | 가자산(訶子散)[3] |
심위통(心胃痛)
계통 | 흉(胸) / 외형편(外形篇) |
원인과 증상 | 심통(心痛)과 위완통(胃脘痛). |
질병처방 | 가미소건중탕(加味小建中湯) |
고창탕(藁蒼湯) | |
마황계지탕(麻黃桂枝湯)[2] | |
삼출산(蔘朮散) | |
치심두동방(治心頭疼方) |
심하급통(心下急痛)
계통 | 흉(胸) / 외형편(外形篇) |
원인과 증상 | 명치 아래가 갑자기 몹시 아픈 것. |
질병처방 | 생강(生薑)[6] |
심흉통(心胸痛)
계통 | 흉(胸) / 외형편(外形篇) |
원인과 증상 | 위완통(胃脘痛)과 같음. |
질병처방 | 도노(桃奴)[1] |
초두구환(草豆蔲丸) |
어혈공심(瘀血攻心)
계통 | 제상(諸傷) / 잡병편(雜病篇) |
원인과 증상 | 어혈, 사혈(死血)이 심(心)에서 일으키는 위완통(胃脘痛). 질부손상(跌趺損傷)으로 인하거나, 혹은 평소에 열성 음식을 좋아했거나, 부인들의 월경이 다 나오지 않았는데 성을 크게 내어 기가 몰렸다가 쌓여 심(心)을 쳐서 발생함. 위통이 있었다가 멎었다가 하고, 뜨거운 물을 마시면 사레가 들리고, 통증이 오르내리며 때때로 찍찍거리는 소리가 들리고, 긁어도 자국이 안 나며, 누워도 편치 않고, 명치가 칼로 도려내듯 아프다가 가슴까지 미치고, 입에서 비린내가 나고, 맥은 삽(澁)하거나 규(芤)함. |
질병처방 | 오아우(烏鴉羽) |
인뇨(人尿)[6] |
어혈복통(瘀血腹痛)
계통 | 배(腹) / 외형편(外形篇) |
원인과 증상 | 사혈복통(死血腹痛). 혈체복통(血滯腹痛). 어혈로 일어나는 복통. 오랫동안 기가 돌지 못하고 통증이 계속되며 경락에 들어가 일어남. 일정한 곳에 통증이 심하여 손을 대지 못하고, 설질은 암자색을 띠며, 맥은 삽(澁)함. |
질병처방 | 만령산(萬靈散) |
소어음(消瘀飮) |
열심통(熱心痛)
계통 | 흉(胸) / 외형편(外形篇) |
원인과 증상 | 열궐심통(熱厥心痛). 열로 인해 역란(逆亂)한 기가 상충(上衝)해 일어난 심통. 몸에 열이 나고 발은 차며, 심한 통증으로 번조(煩躁)하면서 토하고, 이마에 자한(自汗)이 나고, 맥이 홍대(洪大)함. |
참고 | 비급천금요방(備急千金要方) |
질병처방 | 사궁산(莎芎散)[2] |
연부육일탕(連附六一湯) | |
치강음(梔薑飮) | |
합분(蛤粉)[2] |
음심통(飮心痛)
계통 | 흉(胸) / 외형편(外形篇) |
원인과 증상 | 9종심통(九種心痛)의 하나. 대개 수음(水飮)이 정체(停滯)해 생김. 명치 밑이 찌르는 듯 아프고, 헛구역질이 나고, 메스껍고, 가슴이 답답하며, 옆구리에서 물소리가 나고, 맥은 현(弦)·활(滑)함. |
질병처방 | 합분(蛤粉)[2] |
장결(藏結)
계통 | 대장(大腸) / 내경편(內景篇) |
원인과 증상 | 결흉증(結胸證)과 비슷한 증. 사열(邪熱)이 내결(內結)했으나 속의 정기(正氣)가 본래 약하여 열을 물리치지 못해서 생김. 명치 밑이 딴딴하고 누르면 아프며, 설사가 나기도 하고, 음식은 제대로 먹고, 설태는 희고 기름때 같음. 때때로 자리(自利)하고, 배가 창급(脹急)하거나, 복통이 심해 옆구리까지 당겨서 만지지 못함. |
참고 | 상한론태양병(傷寒論太陽病) |
질병처방 | 욱리인(郁李仁)[1] |
제복냉통(臍腹冷痛)
계통 | 포(胞) / 내경편(內景篇) |
원인과 증상 | 배꼽 주위가 살살 아픈 것. 한사(寒邪)가 소음경(少陰經)에 침범해서 생김. |
질병처방 | 가감백통탕(加減白通湯) |
고진환(固眞丸) | |
대구도제고(代灸塗臍膏)[1] | |
복룡간산(伏龍肝散) | |
봉제애(封臍艾) | |
사물고련탕(四物苦練湯) | |
온제종자방(溫臍種子方) |
제복통(臍腹痛)
계통 | 포(胞) / 내경편(內景篇) |
원인과 증상 | 배꼽 주위가 살살 아픈 것. 한사(寒邪)가 소음경(少陰經)에 침범해서 생김. |
질병처방 | 구간(狗肝) |
대구도제고(代灸塗臍膏)[2] | |
만통환(萬痛丸) | |
사백탕(瀉白湯) |
철기입복자통(鐵器入腹刺痛)
계통 | 배(腹) / 외형편(外形篇) |
원인과 증상 | 쇠붙이를 잘못 먹어 일어나는 복통. |
질병처방 | 자석(磁石)[3] |
한적복통(寒積腹痛)
계통 | 배(腹) / 외형편(外形篇) |
원인과 증상 | 한기가 쌓여 일어난 복통. 비위양허(脾胃陽虛), 생냉물 과식, 한사 감수로 한기가 쌓이고 기혈이 응체(凝滯)해서 생김. 배에 딴딴한 덩이가 있고 쑤시며 아픈데, 따뜻이 하거나 세게 누르면 조금 덜하고, 차게 하면 더 심함. 입으로 멀건 물을 토하기까지 함. |
질병처방 | 화제추도산(和劑抽刀散) |
혈심통(血心痛)
계통 | 흉(胸) / 외형편(外形篇) |
원인과 증상 | 혈기심통(血氣心痛). 혈기가 허약한 데에 풍사(風邪)가 심포락(心包絡)을 침범하여 일어남. 명치 밑이 때로 찌르는 듯이 아팠다가 괜찮아졌다가 하고, 뜨거운 물을 마시면 반드시 목이 아픈데 그 아픔이 위로는 흉격까지 이어지고, 입안에 비린내가 나고, 통증이 오르내리고, 때로는 가슴이 깎여나가는 듯하고, 못 견디게 가렵거나, 잠을 못 자고, 맥은 삽(澁)하거나 규(芤)함. |
참고 | 증치회보(證治턶補) |
질병처방 | 건칠(乾漆)[2] |
승금산(勝金散)[1] | |
현호색(玄胡索)[2] | |
현호색환(玄胡索丸) |
혈허복통(血虛腹痛)
계통 | 부인(婦人) / 잡병편(雜病篇) |
원인과 증상 | 혈허로 일어난 복통. 실혈 과다, 사려 과도로 음혈(陰血)이 손상되고 경맥(經脈)이 잘 통하지 못해 발생함. 복부의 이곳 저곳이 가는 철사나 가시로 찌르듯이 은근히 아픈데 배고프거나 피로하면 더 심해지고, 얼굴이 누렇게 되고, 전신이 노권하고, 맥은 세삽(細澁)하거나 세삭(細數)함. |
참고 | 병인맥치(病因脈治) |
질병처방 | 작약(芍藥)[3] |
작약(芍藥)[4] |
회궐심통(蛔厥心痛)
계통 | 충(蟲) / 내경편(內景篇) |
원인과 증상 | 회충통(蛔蟲痛). 회궐(蛔厥). 회충으로 인한 심통. 위중(胃中)의 기가 차서 회충이 불안해 움직여서 일어남. 발작적인 통증, 번조(煩躁), 수족궐랭(手足厥冷) 등이 나타남. |
참고 | 상한론궐음병(傷寒論厥陰病) |
질병처방 | 고련근(苦楝根) |
사군자(使君子)[1] | |
안충산(安蟲散)[1] | |
영반산(靈礬散) | |
편축(萹蓄)[5] | |
학슬(鶴쳗) |
회심통(蛔心痛)
계통 | 흉(胸) / 외형편(外形篇) |
원인과 증상 | 회교심통(蛔咬心痛). 회충이 요동해서 생기는 발작성 심통. 메스껍고, 위완부가 차고, 입맛이 없으며, 몸이 점차 여위고, 배가 발작적으로 꼬이듯 아픈데 배고프면 더함. 때로 얼굴이 창백하거나 누렇게 되고, 흰 반점이 나타나며, 멀건 침을 흘리거나, 심하면 회충을 토함. |
질병처방 | 괴목이(槐木耳) |
웅담(熊膽)[1] | |
의이근(薏苡根) | |
지마유(脂麻油)[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