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허(氣虛) / 맥(脈)

 익생양술에서 "기부족(氣不足)"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기허(氣虛)"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익생원인과 증상
기가 허하거나 부족한 것, 원기가 넉넉하지 못하거나 약해져 생기는 병을 말한다. 기허(氣虛)라고도 한다. 일반적으로 기부족이 오면 얼굴이 창백하고 입맛이 없으며 어지럽고 권태감과 무력감이 심하여 말하기 싫어하고 누워 있기를 좋아하며 몸을 조금만 움직여도 땀이 나고 말소리가 약하며 가슴이 두근거리고 숨결이 밭은 증상을 보인다.
기허(氣虛)
계통 맥(脈) / 외형편(外形篇)
원인과 증상 (1) 기능 부족, 원기(元氣) 부족. 혈분(血分)에 기(氣)가 없어 일어남. 불규칙한 식사나 과도한 노동으로 비위(脾胃)가 휴손(虧損)되어 원기가 쇠약하고 심화(心火)가 왕성하여 일어남. 눈에 정기와 광채가 없고, 말소리가 낮고 작으며, 권태무력(倦怠無力)함. 또 기허(氣虛)로 혈액 고섭(固攝)이 안되면 붕루(崩漏), 변혈(便血), 육혈(衄血) 등 만성 출혈이 일어남. (2) 폐허(肺虛).
질병처방 가자피(訶子皮)[1]
보기탕(補氣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