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생원인과 증상
대하는 농성·혈성·점액성 등 원인에 따라 증세가 다르나, 여성의 분비액이 많아져 적색·백색·무색 등의 대하가 질(膣) 밖으로 흘러내리는 현상을 말한다. 임산부의 경우 무색이거나 백색의 대하는 염려하지 않아도 되지만, 적색 대하는 반드시 치료해야 한다. 흔히 몸 안의 냉한 기운이나 월경·유산 또는 임신중절 수술 등의 원인에 의하여 자궁 안에 상처가 생겨 화농균에 감염되거나 자궁발육부전·정신장애 등이 원인이 되기도 한다. 대하가 오래 계속되면 가려움증·습진 등 부작용이 있을 수도 있다.
·백대하 : 질에서 허연 분비물이 흐르는 대하증.
·적대하 : 질에서 피가 섞인 붉은 분비물이 흐르는 대하증.

계통 | 포(胞) / 내경편(內景篇) |
원인과 증상 | 습독대하(濕毒帶下). 여성의 음문에서 희고 붉은 점액이 흐르는 것. 간기울결(肝氣鬱結)이 비(脾)를 침범하고 충맥(衝脈)·임맥(任脈)·대맥(帶脈)에 습열(濕熱)이 하주(下注)해서 생김. |
참고 | 성제총록(聖濟總錄) |
질병처방 | 고련환(苦楝丸) |
교맥면(蕎麥麵) | |
녹각교(鹿角膠)[2] | |
녹용(鹿茸)[3] | |
대계(大薊) | |
모려(牡蠣)[3] | |
백작약산(白芍藥散) | |
백지(白芷)[1] | |
산장초(酸漿草)[1] | |
소계(小薊)[1] | |
오령지(五靈脂) | |
온제두두방(溫臍兜肚方) | |
우각새(牛角鰓)[1] | |
익모초(益母草)[1] | |
저근백피(樗根白皮)[1] | |
지유(地楡)[2] | |
촉규화(蜀葵花)[1] | |
포황(蒲黃)[2] | |
황구두골(黃狗頭骨)[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