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사병·열사병(日射病·熱射病) / 기타 질환
익생처방관련 약초
열갈(熱渴)
중갈(中暍)
중서(中暑)
중열(中熱)
익생원인과 증상
태양의 직사광선을 받아 일어나는 병을 일사병이라 하며, 한여름에 뙤약볕 아래에서 오래 서 있거나 행진을 하거나 운동·노동을 하거나 할 때에 일어난다. 갈병(暍病)이라고도 한다. 열사병은 고온 다습한 곳에 있을 때 몸의 열을 밖으로 내보내지 못하여 생기는 병이다. 일사병에 걸리면 심한 두통과 현기증이 나고 숨이 가쁘며 졸도한다. 열사병에 걸리면 체온이 높아져 갑자기 의식을 잃고 쓰러진다. 양쪽 모두 이상 고온으로 인한 울열(鬱熱) 현상을 말하며, 다 같이 열중증(熱中症)이라 한다. 이 병증의 조치는 거의 같다.
열갈(熱渴)
계통 |
서(暑) / 잡병편(雜病篇) |
원인과 증상 |
중갈(中渴)과 같음. 선천적으로 신수(腎水)가 휴손(虧損)된 데에 서기(暑氣)가 담(痰)을 들추어 심포를 막거나, 뜨거운 햇볕에서 일을 하여 서사(暑邪)가 내습(內襲)해 기기(氣機)가 막혀 일어남. 가슴이 답답하다가 갑자기 정신을 잃고 넘어져 사람을 알아보지 못함. 신열번조(身熱煩躁), 기천불어(氣喘不語), 아관미긴(牙關微緊) 또는 구개치조(口開齒燥), 대한(大汗) 또는 무한(無汗) 등이 나타나며 맥은 허삭(虛數)함. |
질병처방 |
대료(大蓼)
|
중갈(中暍)
계통 |
서(暑) / 잡병편(雜病篇) |
원인과 증상 |
중서(中暑). 여름에 서사(暑邪)를 외감(外感)하여 생긴 급성 병증. 신수(腎水)가 본래 휴손(虧損)된 데에 서기(暑氣)가 그 담(痰)을 자극하여 심포(心包)를 막아서 생기거나, 여름날 뜨거운 햇볕에서 피로해 서사가 내습하여 일어남. 갑자기 가슴이 답답해지며 쓰러져 사람을 알아보지 못하고, 식은땀이 나고, 손발이 조금 차며 경련을 일으키고, 간혹 토하거나 설사하고, 천만(喘滿)과 구갈(口渴)이 있으며, 입김과 콧김이 모두 차고, 담이 목 안에서 그렁거림. |
참고 |
금궤경습갈병(金{궤}痙濕{갈}病) |
질병처방 |
생맥산(生脈散)
|
|
십미향유음(十味香薷飮)
|
|
청서익기탕(淸暑益氣湯)
|
|
황기인삼탕(黃芪人蔘湯)
|
|
황기탕(黃芪湯)[4]
|
중서(中暑)
중열(中熱)
계통 |
유행병(流行病) / 잡병편(雜病篇) |
원인과 증상 |
(1) 열중(熱中). 열로 인해 생긴 풍증(風證). 얼굴이 붓고 가려우며, 담연(痰涎)이 막아 심흉번열(心胸煩熱)이 있고, 대소변이 잘 나오지 않음. 또 허리와 다리로 흘러 내려가 붓고 아프며 헌데가 생김. (2) 배 안에 화기(火氣)가 있는 것. 양기(陽氣)는 여유 있고 음기(陰氣)는 부족하여 생김. 자주 배가 고픔. |
참고 |
동의보감(東醫寶鑑), 소문기교변대론(素問氣交變大論) |
질병처방 |
생강즙(生薑汁)[2]
|
|
심평탕(審平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