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축(抽搐) / 풍(風)

 익생양술에서 "기부족(氣不足)"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추축(抽搐)"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익생원인과 증상
기가 허하거나 부족한 것, 원기가 넉넉하지 못하거나 약해져 생기는 병을 말한다. 기허(氣虛)라고도 한다. 일반적으로 기부족이 오면 얼굴이 창백하고 입맛이 없으며 어지럽고 권태감과 무력감이 심하여 말하기 싫어하고 누워 있기를 좋아하며 몸을 조금만 움직여도 땀이 나고 말소리가 약하며 가슴이 두근거리고 숨결이 밭은 증상을 보인다.
추축(抽搐)
계통 풍(風) / 잡병편(雜病篇)
원인과 증상 힘줄이 뻣뻣하면서 수축과 이완이 장시간 교대로 일어나는 증. 열성 질병, 전간(癲癎), 파상풍, 서열(暑熱)로 기혈과 진액이 지나치게 손상되어 근(筋)을 자양하지 못하여 일어남. 또는 심기(心氣)가 허하거나, 심화(心火)로 인하거나, 비(脾)가 허하여 풍(風)을 생성하거나, 간로허한(肝勞虛寒)으로 인하여 생김. 몸에 권태감이 있고, 정신이 혼미하며 말을 못하고, 맥이 느림. 사지불온(四肢不溫)이 따르기도 하고, 음식을 먹는데 마목(麻木)이 되고, 아관긴급(牙關緊急)을 일으키고, 눈 안이 떨리며 붓기도 하고, 한열(寒熱)이 오가고, 머리가 흔들리고, 맥이 강급(强急)하기도 함.
참고 의방유취(醫方類聚)
질병처방 소궁황탕(小芎黃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