습설(濕泄) / 대변(大便)

 익생양술에서 "설사(泄瀉)"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습설(濕泄)"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익생원인과 증상
배탈이 나거나 하여 묽은 대변을 누는 증상. 사리(瀉痢)라고도 한다. 대변 누는 횟수가 잦고 변이 묽으며 심지어 맹물 같은 대변을 누기도 한다. 세균성 질환이나 식중독 때문에 장의 연동 운동이 심해져서 내용물이 충분히 소화 흡수되지 않은 채로 배설되는 증세를 가리킨다. 병원성 대장균 감염, 포도상 구균에 의한 식중독, 세균에 의한 감염, 아메바성 이질, 세균성 이질 등 세균성 설사는 반드시 원인 치료를 함께 받아야 한다. 미열이 있고 입맛이 당기지 않으며 대변 횟수가 잦은 정도의 가벼운 설사는 음식의 양을 줄이면 되지만, 만약 고열과 구토·경련·호흡곤란·탈수 현상이 일어나는 심한 설사, 독성이 있는 설사는 치료를 빨리 해야 한다. 설사에도 순간적인 것과 만성적인 것이 있으며, 증상에 따라 여러 가지로 나눌 수 있다.
·급성 : 독물이나 먹어서는 안 될 음식물이 체내로 들어가면 수습 방어를 위해 순간적으로 설사를 하게 되는 것이므로 크게 염려하지 않아도 된다.
·만성 : 장에서 오는 것과 정신적인 스트레스에서 오는 것이 있으며, 장에서 오는 원인에는 장궤양·장염·세균성 질환 등이 있다. 만성 질환 중에는 심인성(心因性)에 기인하는 것도 많은데, 그 증상은 때때로 배꼽 근처에서 꾸룩꾸룩하는 소리가 나며 아랫배가 찌르는 듯한 통증을 느낄 수 있다.
·변형성 : 설사를 했다가 변비로 변했다가 다시 설사로 변하는 증상이다. 이 경우 식욕부진으로 영양실조가 오기도 하고 급성인 경우엔 탈수 현상에 주의해야 한다.
·계명사(鷄鳴瀉) : 결핵성·장염 등으로 주로 새벽에 오는 설사.
·담설(痰泄) : 담증(痰症)으로 인하여 생기는 설사. 수분 대사의 장애로 생긴 설사다. 때로 설사를 했다 멎었다 하며 심하게 설사를 하고 약간 설사하기도 하며 곱 같은 것을 눈다.
·당설(溏泄) : 배가 부르면서 복통이 따르는 설사. 한설(寒泄)
·산리(疝痢) : 냉으로 인한 하복통이 함께 오는 설사.
·손설(飧泄) : 소화가 안 되어 음식이 먹은 그대로 다 나와 버리는 설사
·신설(晨泄·腎泄) : 소화기 기능의 장애로 날마다 이른 새벽에 오는 설사.
·열리(熱痢) : 항문에 열 기운이 있는 설사.
·청곡(淸穀) : 소화불량성 설사. 먹은 것이 소화되지 않고 그대로 멀건 물 같은 대변이 나온다.
·체설(滯泄) : 소화장애로 먹은 음식물이 체하여 일어나는 설사.
습설(濕泄)
계통 대변(大便) / 내경편(內景篇)
원인과 증상 유설(濡泄). 습사(濕瀉). 비경(脾經)이 습사(濕邪)를 받아 양기(陽氣)가 하함(下陷)하여 생긴 물 같은 설사. 몸이 무겁고, 가슴이 답답하고, 입맛이 없고, 구갈은 없고, 배는 아프지 않거나 약간 아프며, 소변이 적고 붉으며, 설태는 기름때 같고, 맥은 유(濡)·세(細)함.
질병처방 국궁환(麴芎丸)
만병오령산(萬病五苓散)
사습탕(瀉濕湯)
위령탕(胃苓湯)[1]
위생탕(衛生湯)[2]
위풍탕(胃風湯)
저간(猪肝)[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