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로(虛勞) / 건강에 관한 계통

 익생양술에서 "허로(虛勞)"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골한(骨寒)"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기허불수(氣虛不遂)"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노상(勞傷)"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노수(勞瘦)"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명문화쇠(命門火衰)"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방로상(房勞傷)"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병후허약(病後虛弱)"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사지이수(四肢羸瘦)"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상한허번(傷寒虛煩)"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소기(少氣)"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안릉긴급(眼楞緊急)"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오장기부족(五臟氣不足)"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음양구허(陰陽俱虛)"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음허노손(陰虛勞損)"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이수(羸瘦)"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적년노수(積年勞瘦)"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정기불고(精氣不固)"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정쇠(精衰)"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칠상(七傷)"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허로이수(虛勞羸瘦)"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허비(虛痞)"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허손(虛損)"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허증(虛症)"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익생원인과 증상
몸의 정기와 기혈이 허손해진 병증이다. 흔히 7정이 지나치거나 노권내상(勞倦內傷 : 내상 병증으로 늘 노곤해하는 증상)이나 음식 조절을 잘 못했거나 앓고 난 다음 몸조리를 잘 못하여 생긴다. 입맛이 없고 정신 상태가 우울하며 유정ㆍ몽설이 있고 허리와 잔등ㆍ옆구리ㆍ힘살ㆍ뼈 등 온몸이 아프며 조열(潮熱)ㆍ자한(自汗)ㆍ식은땀ㆍ기침ㆍ가래 등이 있다. 결핵ㆍ빈혈ㆍ신경쇠약을 비롯한 여러 가지 소모성 질병에서 흔히 볼 수 있다.
골한(骨寒)
계통 골(骨) / 외형편(外形篇)
원인과 증상 뼈에 시린 감이 있는 것. 더운 물이나 화기(火氣)로도 몸이 따뜻하지 않고, 두터운 옷을 입어도 따뜻한 줄 모르고 떨리는 게 특징임.
질병처방 석곡(石斛)[2]
기허불수(氣虛不遂)
계통 풍(風) / 잡병편(雜病篇)
원인과 증상 위증(危證)의 하나. 노권내상 또는 병후의 영양실조로 비위(脾胃)의 기가 부족하여 영양이 공급되지 않아 일어남. 종근(宗筋)이 이완되어 사지(四肢)가 위약하여 거동을 할 수 없음.
질병처방 균기산(均氣散)
노상(勞傷)
계통 허로(虛勞) / 잡병편(雜病篇)
원인과 증상 허로(虛勞). 노권(勞倦). 내상(內傷) 병증으로 늘 노곤해 하는 병. 칠정내상(七情內傷), 기거불시(起居不時), 노역(勞役) 등으로 손상되면 기(氣)가 쇠약해져 허화(虛火)가 왕성해 비(脾)를 침범하여 일어남. 비(脾)는 사지를 다스리므로 열 때문에 움직일 때 기운이 없고, 피곤하고, 말하기 싫고, 움직이면 숨이 차며, 표열자한(表熱自汗)이 나고, 가슴이 답답하며 불안함.
질병처방 침향별갑산(沈香鱉甲散)
노수(勞瘦)
계통 허로(虛勞) / 잡병편(雜病篇)
원인과 증상 허로이수(虛勞羸瘦). 허로로 몸이 여위는 것.
질병처방 별(鱉)[2]
부인경혈(婦人經血)
명문화쇠(命門火衰)
계통 신장(腎臟) / 내경편(內景篇)
원인과 증상 명문화부족(命門火不足). 신양허쇠(腎陽虛衰). 명문양쇠(命門陽衰). 신양부족(腎陽不足). 선천적인 소인, 오랜 병, 노령으로 몸이 약해 일어남. 우울하고, 움직이면 숨이 차고, 허리와 무릎이 시큰거리고, 오경(五更)에 설사를 하고, 음위(陰痿)와 활정(滑精)의 증상이 나타나고, 밤에 소변을 자주 봄.
질병처방 보진환(補眞丸)
온신산(溫腎散)
육종용(肉蓯蓉)[2]
팔미환(八味丸)
방로상(房勞傷)
계통 허로(虛勞) / 잡병편(雜病篇)
원인과 증상 방실로상(房室勞傷). 방실상(房室傷). 성행위 과도로 생긴 허로 상태. 심화(心火)가 왕성하고 신수(腎水)가 쇠갈하여, 즉 색욕(色欲)이 과다하여 절제하지 못해 생김. 신정(腎精)이 날로 소모되어 신장이 공허해지고 몽설(夢泄), 유설(遺泄)이 있게 됨. 또한 협통, 위완부 동통, 소복통, 안색위황(顔色萎黃) 또는 안색여흑(顔色黎黑) 등의 증상이 따름.
질병처방 보천대조환(補天大造丸)
병후허약(病後虛弱)
계통 내상(內傷) / 잡병편(雜病篇)
원인과 증상 큰 병을 앓은 뒤에 기혈이 모상(耗傷)되어 일어나는 허약 증세.
질병처방 삼령백출환(蔘苓白朮丸)
사지이수(四肢羸瘦)
계통 화(火) / 잡병편(雜病篇)
원인과 증상 팔다리가 여위고 마른 것.
질병처방 달육(獺肉)[1]
상한허번(傷寒虛煩)
계통 상한(傷寒) / 잡병편(雜病篇)
원인과 증상 상한 때 일어나는 허번증. 발한, 구토 등으로 정기(正氣)가 이미 허한 데에 사열(邪熱)이 속으로 들어가 가슴에 맺혀 일어남. 또, 상한이 나은 후에도 간혹 음양이 회복되지 않아서 생김. 땀이 나고 토한 후에 심번(心煩), 오심, 구토, 심중오뇌, 잠이 안 오는 증이 따름.
질병처방 산조인탕(酸棗仁湯)[3]
오매탕(烏梅湯)[1]
치시감초탕(梔豉甘草湯)
치시생강탕(梔豉生薑湯)
치자시탕(梔子豉湯)
소기(少氣)
계통 허로(虛勞) / 잡병편(雜病篇)
원인과 증상 말할 때 힘이 없으며 호흡이 약하고 밭거나 짧은 것. 신(腎)·폐(肺) 2경이 허약해서 신이 허하면 기가 생길 곳이 없고 장기(壯氣)될 근본이 없으며, 폐가 허하면 기가 간직될 곳이 없어 장부에 충족할 수가 없어 진기가 허겁(虛怯)해져 발생함. 몸이 노곤하고 무거우며 뼈가 시큰거림.
참고 소문옥기진장론(素問玉機眞臟論)
질병처방 독삼탕(獨蔘湯)[1]
사군자탕(四君子湯)
삼기건중탕(蔘芪健中湯)
익기환(益氣丸)
인삼고(人蔘膏)
인삼황기탕(人蔘黃芪湯)[1]
황기탕(黃芪湯)[1]
안릉긴급(眼楞緊急)
계통 눈(眼) / 외형편(外形篇)
원인과 증상 검현긴급(瞼弦緊急). 눈꺼풀이 점점 축소되고 시력도 희미해지는 것. 혈과 진액이 모두 쇠하여 근맥(筋脈)이 펴이지 않게 되어 발생함.
질병처방 명목세신탕(明目細辛湯)
오장기부족(五臟氣不足)
계통 오장육부(五臟六腑) / 내경편(內景篇)
원인과 증상 오장의 정상적인 기능이 장애 받은 것.
질병처방 연자(蓮子)[1]
인삼(人蔘)[1]
음양구허(陰陽俱虛)
계통 허로(虛勞) / 잡병편(雜病篇)
원인과 증상 음양양허(兩虛). 음양이 함께 허한 것. 양허증(陽虛症)와 음허증(陰虛症)이 동시에 나타남. 질병의 위중한 단계에 이르러 음혈(陰血)의 손상이 양기(陽氣)에 영향을 주고, 양기의 손상이 음혈에 영향을 끼쳐 일어남.
질병처방 가미호잠환(加味虎潛丸)
고진음자(固眞飮子)
시제쌍보환(是齊雙補丸)
십전대보탕(十全大補湯)
쌍화탕(雙和湯)
음양련추석단(陰陽煉秋石丹)
이류유정환(異類有情丸)
이지환(二至丸)
인삼양영탕(人蔘養榮湯)
자음대보환(滋陰大補丸)
자혈백보환(滋血百補丸)
침향백보환(沈香百補丸)
황기십보탕(黃芪十補湯)
음허노손(陰虛勞損)
계통 허로(虛勞) / 잡병편(雜病篇)
원인과 증상 음허로 생긴 노손. 즉 노권(勞倦). 몸의 정기와 기혈이 허손된 병증. 칠정(七情), 노권으로 내상(內傷)하거나 음식부절, 병후 섭생 잘못으로 생김. 입맛이 없고, 우울하고, 유정(遺精)과 몽정(夢精)이 있고, 온 몸이 쑤시고 아프며, 조열(潮熱)이 있고, 자한(自汗)이나 도한(盜汗)이 나며, 기침하고, 가래가 많음.
질병처방 가감사물탕(加減四物湯)[2]
제음환(濟陰丸)
태상혼원단(太上混元丹)
호잠환(虎潛丸)
이수(羸瘦)
계통 소아(小兒) / 잡병편(雜病篇)
원인과 증상 몸이 파리하게 여위는 것. 우수(憂愁), 음식상(飮食傷), 방로상(房勞傷), 경락(經絡)의 영위기상(榮衛氣傷) 등으로 생김. 복만(腹滿), 불식(不食), 기부갑착(肌膚甲錯), 양목암혼(兩目暗昏) 등이 따름.
참고 금궤요략혈비허로병편(金{궤}要略血痺虛勞病篇)
질병처방 별(鱉)[5]
황자계(黃雌鷄)[4]
적년노수(積年勞瘦)
계통 살(肉) / 외형편(外形篇)
원인과 증상 허로이수(虛勞羸瘦)가 여러 해 되어 몸이 여위고 힘이 없는 것.
질병처방 하수오(何首烏)[3]
정기불고(精氣不固)
계통 정(精) / 내경편(內景篇)
원인과 증상 정기가 굳지 못한 증. 큰 병이나 오랜 병으로 정기를 소모해 양기(陽氣)가 손상되거나, 또는 땀을 많이 흘리거나 출혈이 과다하여 음액(陰液)이 손상되어 신기(腎氣)가 굳지 못해 일어남. 정기허약, 기능쇠퇴 등을 야기함. 누정(漏精), 몽정(夢精), 안면창백, 순담(脣淡), 정신피로, 두훈(頭暈), 권태감, 심계(心悸), 단기(短氣), 자한(自汗), 도한(盜汗) 등이 나타나며 맥은 세(細)·약(弱)하고 무력(無力)함.
질병처방 금쇄단(金鎖丹)
금쇄사선단(金鎖思仙丹)
대봉수단(大鳳髓丹)
비진환(秘眞丸)
옥로환(玉露丸)
정쇠(精衰)
계통 정(精) / 내경편(內景篇)
원인과 증상 (1) 정기(精氣)가 몹시 부족해진 것. (2) 유정(遺精), 몽정(夢精).
질병처방 올눌제(膃肭臍)[1]
칠상(七傷)
계통 허로(虛勞) / 잡병편(雜病篇)
원인과 증상 모두 허로(虛勞)에 속함. (1) 음한(陰寒), 음위(陰痿), 이급(裏急), 정루(精漏), 정소(精少), 정청(精淸), 소변삭(小便數). [의학입문(醫學入門)] (2) 음한, 정한(精寒), 정청, 정소, 낭하습양(囊下濕痒), 소변삽(小便澁), 야몽음인(夜夢陰人). [의감(醫鑑)] (3) 과식하면 비(脾)를 손상하고, 크게 화를 내면 간(肝)을 손상하고, 힘들고 무거운 것을 들거나 습한 곳에 오래 있으면 신(腎)을 손상하고, 한사(寒邪)를 받거나 찬것을 마시면 폐(肺)를 손상하고, 근심 걱정이 많으면 심(心)을 손상하고, 풍우한서(風雨寒暑)를 외감(外感)하면 형(形)을 손상하고, 크게 두려워하고 절제하지 않으면 지(志)를 손상함.
질병처방 구기(枸杞)[2]
당귀고(當歸膏)
맥문동(麥門冬)[4]
무비산약원(無比山藥元)[2]
보익양영탕(補益養榮湯)
신선기제단(神仙旣濟丹)
오가피(五加皮)[7]
올눌제(膃肭臍)[5]
우수(牛髓)[4]
인유(人乳)[3]
지황(地黃)[6]
천문동(天門冬)[5]
출(朮)[3]
하수오(何首烏)[8]
황구육(黃狗肉)[8]
황정(黃精)[3]
허로이수(虛勞羸瘦)
계통 허로(虛勞) / 잡병편(雜病篇)
원인과 증상 허로로 몸이 여위는 것. 허로(虛勞)를 볼 것.
질병처방 금선와(金線蛙)[2]
녹육(鹿肉)[2]
독삼탕(獨蔘湯)[2]
보수단(補髓丹)[2]
부어(鮒魚)[1]
산약(山藥)[3]
삼향산(參香散)
석곡(石斛)[4]
양육(羊肉)[2]
양육(羊肉)[3]
오가피(五加皮)[3]
오미자(五味子)[5]
올눌제(膃肭臍)[2]
올눌제(膃肭臍)[5]
우유(牛乳)[4]
인포(人胞)
청신감로환(淸神甘露丸)
해송자(海松子)[3]
호마(胡麻)[7]
혼원단(混元丹)
황기(黃芪)[4]
흑우수(黑牛髓)
허비(虛痞)
계통 내상(內傷) / 잡병편(雜病篇)
원인과 증상 비만(痞滿)의 하나. 비위(脾胃)·심신(心腎)의 쇠약, 음양(陰陽)·기혈(氣血)의 손모(損耗)로 생긴 비증(痞證). 공복시 심복비민(心腹痞悶)이 특징임. 식욕이 없고, 중기(中氣)가 부족하여 대변이 당설(溏泄)하고 음식이 소화되지 않는데 가슴을 따뜻이 하면 덜하고, 추위를 타고, 악취가 나는 트림과 탄산(呑酸)이 나고, 심하면 복창(腹脹)이 나타남.
참고 경악전서(景岳全書)
질병처방 성비육위탕(醒脾育胃湯)
허손(虛損)
계통 허리(腰) / 외형편(外形篇)
원인과 증상 허로(虛勞). 칠정노상(七情勞傷), 음식이나 주색 내상, 또는 병후 조섭부조로 음양(陰陽), 기혈(氣血), 장부(臟腑)가 손상되어 생김. 기허(氣虛)는 폐위(肺胃)의 허손이 많으며 사지가 무력하고, 말을 하기 싫어하고, 움직이면 호흡이 촉박하고, 자한(自汗)이 나고, 심번(心煩)이 있음. 혈허(血虛)는 심간(心肝)의 허손이 많으며 토혈, 변혈(便血), 또는 붕루(崩漏), 두훈안화(頭暈眼花) 등이 나타나고 건혈로(乾血勞)가 되기도 함. 양허(陽虛)는 비위(脾胃)의 허손이 많으며 식사량이 줄고, 대변이 묽고, 소화가 안되고, 허리와 무릎에 힘이 없고, 정신이 피로하고, 추위를 타고, 양위(陽痿)와 정설(精泄)이 있고, 소변은 잦고 맑으며, 얼굴이 창백하고, 혀의 색이 엷고, 설태는 희고, 맥은 침지(沈遲)함. 음허(陰虛)는 폐신(肺腎)의 허손이 많으며 폐음허(肺陰虛)면 마른 기침이 나고, 객혈(喀血)하고, 입안과 목구멍이 건조하고, 조열(潮熱)과 도한(盜汗)이 나고, 양 뺨이 붉고, 혀가 붉으며 건조하고, 맥은 세(細)·삭(數)함. 신음허손(腎陰虛損)이면 허리와 무릎에 힘이 없고 동통(疼痛)이 나며, 머리가 어지럽고, 이명(耳鳴)이 있고, 유정(遺精)과 조설(早泄)이 있고, 목구멍이 아프고, 뺨이 붉고, 혀가 붉으며 건조하고, 맥은 침(沈)·세(細)·삭(數)함.
참고 주후방(켪後方)
질병처방 구선왕도고(九仙王道糕)
녹용대보탕(鹿茸大補湯)
당귀고(當歸膏)
모려(牡蠣)[6]
석곡(石斛)[2]
올눌보천환(膃肭補天丸)[1]
인유(人乳)[3]
침향별갑산(沈香鱉甲散)
호도(胡桃)[2]
황정(黃精)[3]
허증(虛症)
계통 풍(風) / 잡병편(雜病篇)
원인과 증상 팔강(八綱) 병증의 하나. 정기(正氣) 부족으로 저항력이 저하되고 감퇴된 증. 얼굴이 창백하고, 기력이 없고, 정신적·신체적 피로가 쉽게 오며, 가슴이 두근거리고, 호흡이 짧고, 도한(盜汗)과 자한(自汗)이 나고, 맥은 허(虛)하고 무력(無力)함.
질병처방 만금탕(萬金湯)
속명자산(續命煮散)
인삼순기산(人蔘順氣散)
팔미순기산(八味順氣散)[2]
팔보회춘탕(八寶回春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