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경풍(急驚風) / 풍(風)

동의보감에서만 "급경풍(急驚風)"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급경풍(急驚風)
계통 |
풍(風) / 잡병편(雜病篇) |
원인과 증상 |
급경(急驚). 내열(內熱)이 치성한 데에 풍사(風邪)를 외감해 심(心)이 열을 받아 경(驚)이 쌓여 간(肝)이 풍을 생성하여 축닉을 일으킴. 즉 간풍과 심화(心火)로 그 장기가 서로 다투어 기혈이 어지럽혀져 담연(痰涎)이 옹성하고 백맥(百脈)이 엉겨 관규(關竅)가 통하지 못하여 풍기가 나갈 데가 없어서 발생함. 원인에 따라 외감경풍(外感驚風), 담열경풍(痰熱驚風), 경공경풍(驚恐驚風)으로 나눔. 장열연조(壯熱涎潮), 찬시(竄視), 각궁반장(角弓反張), 축닉전동(搐搦顚動), 아관긴급(牙關緊急) 등이 따름. 또한 입·눈·눈썹·뺨이 당기고, 입안에서 더운 김이 나고, 눈등과 입술이 붉어지고, 대소변이 황적색을 띠고, 맥이 부(浮)·삽(澁)·홍(洪)·(緊)함. |
질병처방 |
구풍고(驅風膏)
|
|
금박진심환(金箔鎭心丸)[2]
|
|
대경원(大驚元)
|
|
대청고(大靑膏)
|
|
방풍온담탕(防風溫膽湯)
|
|
벽손정자(辟巽錠子)
|
|
보명단(保命丹)
|
|
보유화풍단(保幼化風丹)
|
|
비급환(備急丸)[2]
|
|
사청환(瀉靑丸)[2]
|
|
성향산(星香散)
|
|
소경원(小驚元)
|
|
양경환(凉驚丸)
|
|
영신고(靈神膏)
|
|
영심고(寧心膏)
|
|
온경환(溫驚丸)
|
|
우황포룡환(牛黃抱龍丸)
|
|
이경환(利驚丸)
|
|
전씨안신환(錢氏安神丸)[2]
|
|
절풍환(截風丸)
|
|
주분산(朱粉散)
|
|
지성보명단(至聖保命丹)
|
|
진간환(鎭肝丸)
|
|
진경환(鎭驚丸)
|
|
진심환(鎭心丸)
|
|
천금산(千金散)[2]
|
|
체경산(嚔驚散)
|
|
탈명산(奪命散)[6]
|
|
탐생산(探生散)
|
|
포룡환(抱龍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