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지꽃

 익생양술에서만 "양지꽃"로 처방에 사용되었음.
분포 전국 각지 채취기간 여름
30~50cm 취급요령 햇볕에 말려 쓴다.
생지 산기슭이나 풀밭의 양지바른 곳 성미 따뜻하며, 달다.
분류 여러해살이풀 독성여부 없다.
번식 분주ㆍ씨 1회사용량 6~12g
약효 온포기ㆍ뿌리 사용범위 해롭지는 않으나 치유되는 대로 중단한다.
뿌리에서 돋는 잎은 비스듬히 퍼지면서 모여나며 3~13개의 작은 잎들로 구성된 깃꼴겹잎이고 잎자루가 길다. 끝에 달린 3개의 작은 잎은 서로 크기가 비슷하고 밑 부분에 달린 작은 잎은 밑으로 내려갈수록 점점 작아진다. 작은 잎은 길이 1.5~5cm, 나비 1~3cm의 넓은 거꿀달걀꼴 또는 타원형으로서 맥 위에 털이 많고 양 끝이 좁으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턱잎은 타원형이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4~6월에 지름 1.5~2cm인 노란색의 5판화가 줄기 끝에 취산 꽃차례를 이루며 10송이 정도 달려 핀다. 5개인 꽃받침 조각은 달걀을 닮은 댓잎피침형이다. 꽃받침 조각 사이에 있는 덧꽃받침은 5개이며 넓은 댓잎피침형이다. 꽃잎은 5개이고 길이 6~10mm의 둥근 거꿀달걀꼴이며 끝이 오목하다. 수술과 암술은 많으며 꽃턱에 털이 있다.
열매
6~7월에 길이 약 2mm인 달걀꼴의 수과가 달려 익는데 털이 없으며 세로로 잔주름이 나 있다. 열매는 작은 딸기 모양을 하고 있다.
특징 및 사용
치자연(雉子筵)ㆍ위릉채(萎陵菜)ㆍ소시랑개비라고도 한다. 붉은빛을 띠는 줄기가 옆으로 비스듬히 땅을 기면서 자란다. 풀 전체에 가늘고 하얀 털이 많이 나 있다. 줄기가 중간에서 절단되어도 그 부위가 곧 회복되어 뿌리를 내리고 새순이 돋을 정도로 재생력이 매우 강하다. 양지꽃을 뱀딸기와 혼동하기 쉬운데 뱀딸기의 꽃받침은 꽃보다 큰 반면에 양지꽃의 꽃받침은 꽃보다 작기 때문에 쉽게 구별할 수 있다. 유사종으로 작은 잎이 3장이면 세잎양지꽃, 바위틈에서 자라고 잎 가장자리의 톱니가 크면 돌양지꽃, 잎이 손바닥 모양이면 가락지나물, 잎이 길게 갈라지면 딱지꽃으로 구분된다. 관상용ㆍ식용ㆍ약용으로 이용된다. 어린순은 나물로 먹는다. 약으로 쓸 때는 탕으로 하여 사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