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자난

 익생양술에서만 "감자난"로 처방에 사용되었음.
분포 전국 각지 채취기간 6~7월
30~50cm 취급요령 햇볕에 말려 쓴다.
생지 높은 산 숲 속 음지의 부식토 성미 차며, 달고 약간 맵다.
분류 여러해살이풀 독성여부 없다.
번식 실생ㆍ분주 1회사용량 3~5g
약효 비늘줄기ㆍ온포기 사용범위 해롭지는 않으나 치유되는 대로 중단한다.
동속약초 약난초ㆍ두잎약난초의 비늘줄기
1~2개씩 밑동의 비늘줄기 끝에서 나오는데, 길이 20~40cm의 좁은 댓잎피침형 또는 긴 타원형이고 3개의 주맥이 있으며 끝이 날카롭다. 헛비늘줄기는 달걀 모양의 둥근 형태이다.
5~6월에 총상 꽃차례를 이루며 황갈색으로 달려 핀다. 양성화이다. 꽃줄기의 높이는 30~50cm이다. 꽃받침과 꽃잎은 긴 타원 모양의 피침형이다. 입술꽃잎은 꽃받침과 길이가 같으며 흰색에다 반점이 있고 밑동에서 3갈래로 갈라지는데 가운뎃조각이 특히 크다. 꽃턱잎은 막질이며 길이 4~6mm의 댓잎피침형이고 끝이 날카롭다.
열매
9~11월에 삭과가 달려 익는데 길이 2cm 정도의 방추형이고 짧은 자루가 있다.
특징 및 사용
감자난초ㆍ댓잎새우난초라고도 한다. 둥근 비늘줄기가 발달하였으며 수염뿌리가 있다. 육질이고 옆으로 염주알같이 연결되어 번식한다. 관상용ㆍ약용으로 이용된다. 약으로 쓸 때는 탕으로 하거나 환제 또는 산제로 하여 사용한다. 외상에는 짓이겨 붙인다.
익생양술 효능
주로 각종 독증을 풀어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