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틴명 |
Realgar |
약재의 효능 |
조습(燥濕)
(고조(苦燥)한 약물로 습사(濕邪)를 제거하는 방법으로 중초습증(中焦濕證)에 적용.)
|
|
거풍(祛風)
(안과 밖, 경락(經絡)및 장부(臟腑) 사이에 머물러 있는 풍사(風邪)를 제거하는 것임)
|
|
살충(殺蟲)
(기생충을 없애는 효능임)
|
|
해독(解毒)
(독성(毒性)을 풀어주는 효능임)
|
|
활담(豁痰)
(담(痰)을 걷어 내는 효능임)
|
|
절학(截瘧)
(학질(瘧疾) 치료 방법의 하나임.)
|
|
벽예(辟穢)
(일체의 더러운 것들을 몰아내는 효능임)
|
|
벽사(辟邪)
(몸에 나쁜 영향을 미치는 사기(邪氣)를 몰아내는 효능임)
|
|
보중(保中)
|
|
불기(不飢)
(배고픔을 없게 하는 효능임)
|
|
연년(延年)
|
|
익수(益壽)
|
작용부위 |
간(肝)
, 대장(大腸)
|
성미 |
신(辛)
, 온(溫)
, 유독(有毒)
|
약전기재 |
중국약전
, 한국생약규격집
|
주의사항 |
내복(內服)할 경우에는 신중하게 할 것. 오래 쓰지 말 것. 임신부는 쓰지 말 것. |
약재사용처방 |
감초탕(甘草湯)[2] /
상한음독(傷寒陰毒)
|
|
거악산(去惡散) /
제창(諸瘡)
, 옹저(癰疽)
|
|
경효학단(經效瘧丹) /
학모(瘧母)
|
|
고류방(枯瘤方) /
영류(瘿瘤)
|
|
고치방(枯痔方) /
치(痔)
|
|
곡래소거산(哭來笑去散) /
아치종통(牙齒腫痛)
|
|
공연단(控涎丹) /
담음유주(痰飮流注)
|
|
관중환(貫衆丸) /
구충병(九蟲病)
, 삼시충(三尸蟲)
|
|
구룡공연산(九龍控涎散) /
천조(天釣)
|
|
구보환(狗寶丸) /
부골저(附骨疽)
, 발배(發背)
, 옹저(癰疽)
|
|
구자환(韭子丸) /
아주공(牙蛀孔)
|
|
금박진심환(金箔鎭心丸)[1] /
경계(驚悸)
, 전간(癲癎)
, 정충(怔忡)
|
|
금화환(金花丸) /
식비(食痺)
|
|
남청즙(藍靑汁) /
노채(勞瘵)
, 제충(諸蟲)
|
|
내고청심산(內固淸心散) /
악창(惡瘡)
, 심옹(心癰)
, 옹저(癰疽)
|
|
대구산(代灸散) /
나력(瘰癧)
|
|
도노원(桃奴元) /
염몽(厭夢)
, 사수(邪祟)
, 객오(客忤)
|
|
마풍고(磨風膏) /
음식창(陰蝕瘡)
|
|
만병원(萬病元) /
전간(癲癎)
, 고독(蠱毒)
, 황달(黃疸)
, 벽괴(癖塊)
, 시주(尸注)
, 학질(瘧疾)
|
|
만병해독원(萬病解毒元) /
도생독(挑生毒)
, 고독(蠱毒)
|
|
만응환(萬應丸)[2] /
적취(積聚)
|
|
면상잡병우방(面上雜病又方)[2] /
면상잡병(面上雜病)
, 분자(粉刺)
|
|
몰약산(沒藥散)[1] /
백구창(白口瘡)
|
|
반혼단(返魂丹) /
정창(釘瘡)
|
|
방풍원(防風元) /
만경풍(慢驚風)
|
|
백황산(白黃散) /
비치(鼻痔)
, 비옹(鼻齆)
|
|
벽사단(辟邪丹)[2] /
사수(邪祟)
|
|
보령단(保靈丹) /
고독(蠱毒)
, 약독(藥毒)
|
|
보생정자(保生錠子) /
정창(釘瘡)
|
|
보유화풍단(保幼化風丹) /
급경풍(急驚風)
|
|
부위산(扶危散) /
견상(犬傷)
|
|
비전일찰광(秘傳一擦光) /
개선(疥癬)
, 악창(惡瘡)
|
|
빈랑산(檳榔散) /
신장풍창(腎臟風瘡)
|
|
사부소거산(謝傅笑去散) /
치통(齒痛)
|
|
사신단(四神丹) /
양허(陽虛)
|
|
살귀오사환(殺鬼五邪丸) /
귀매(鬼魅)
, 사수(邪祟)
|
|
삼광고(三光膏) /
범토상안(犯土傷眼)
|
|
삼백환(三白丸) /
효천(哮喘)
|
|
삼황산(三黃散)[1] /
백전풍(白癜風)
|
|
섬수환(蟾酥丸) /
정창(釘瘡)
, 무명종독(無名腫毒)
, 악창(惡瘡)
|
|
소식산(消蝕散) /
옹저(癰疽)
|
|
소아초생구급방(小兒初生救急方)[13] /
초생불유(初生不乳)
|
|
소아초생구급방(小兒初生救急方)[18] /
태경(胎驚)
|
|
수자금화환(水煮金花丸) /
식비(食痺)
|
|
수징고(水澄膏) /
수족종통(手足腫痛)
, 옹저(癰疽)
|
|
승마별갑탕(升麻鱉甲湯) /
음독발반(陰毒發斑)
|
|
신선벽하단(神仙碧霞丹) /
학질(瘧疾)
|
|
신선탈명단(神仙奪命丹) /
구토(嘔吐)
|
|
신이고(神異膏)[1] /
창절(瘡癤)
, 발배(發背)
, 옹저(癰疽)
|
|
신이고(神異膏)[2] /
개선(疥癬)
|
|
십주환(十疰丸) /
십종시주(十種尸疰)
, 귀기(鬼氣)
|
|
안신환(安神丸) /
전간(癲癎)
, 경광(驚狂)
|
|
여성고(如聖膏)[3] /
사태불하(死胎不下)
, 난산(難産)
|
|
연연진인탈명단(淵然眞人奪命丹) /
음저(陰疽)
, 발배(發背)
, 정창(釘瘡)
|
|
엽씨웅주환(葉氏雄朱丸) /
전광(癲狂)
|
|
오간환(五癎丸) /
전간(癲癎)
|
|
오감보동원(五疳保童元) /
오장감(五臟疳)
|
|
오지산(五枝散) /
노채(勞瘵)
, 전시(傳尸)
|
|
옥추단(玉樞丹) /
도생독(挑生毒)
, 고독(蠱毒)
|
|
옥호환(玉壺丸) /
담궐두통(痰厥頭痛)
|
|
우선단(遇仙丹)[2] /
사태불하(死胎不下)
, 횡산(橫産)
, 역산(逆産)
|
|
우황금호단(牛黃金虎丹) /
졸중풍(卒中風)
|
|
우황산(牛黃散) /
중악(重顎)
, 중설(重舌)
, 구창(口瘡)
|
|
우황정지환(牛黃定志丸) /
중풍(中風)
, 혼모(昏冒)
|
|
우황청심원(牛黃淸心元)[1] /
전광(癲狂)
|
|
우황청심원(牛黃淸心元)[2] /
졸중풍(卒中風)
|
|
우황포룡환(牛黃抱龍丸) /
만경풍(慢驚風)
, 급경풍(急驚風)
|
|
웅반환(雄礬丸) /
사교상(蛇咬傷)
, 고독(蠱毒)
|
|
웅사산(雄麝散)[1] /
고독(蠱毒)
|
|
웅사산(雄麝散)[2] /
객오(客忤)
|
|
웅사환(雄砂丸) /
제충(諸蟲)
|
|
웅주산(雄朱散) /
귀염(鬼魘)
|
|
웅황(雄黃)[2] /
비치(鼻痔)
|
|
웅황(雄黃)[3] /
아주공(牙蛀孔)
|
|
웅황(雄黃)[4] /
시주(尸注)
|
|
웅황(雄黃)[5] /
창독(瘡毒)
|
|
웅황(雄黃)[6] /
개선생창(疥癬生瘡)
|
|
웅황(雄黃)[7] /
악창(惡瘡)
|
|
웅황고(雄黃膏)[1] /
누창(瘻瘡)
|
|
웅황고(雄黃膏)[2] /
상풍(傷風)
|
|
웅황산(雄黃散)[1] /
전후풍(纏喉風)
|
|
웅황산(雄黃散)[2] /
구학(久瘧)
|
|
웅황산(雄黃散)[3] /
창중악육(瘡中惡肉)
|
|
웅황예산(雄黃銳散) /
호혹(狐惑)
|
|
웅황정통고(雄黃定痛膏) /
치통(齒痛)
|
|
웅황환(雄黃丸)[1] /
온역(瘟疫)
|
|
웅황환(雄黃丸)[2] /
악창(惡瘡)
, 정창(釘瘡)
|
|
육륙환(六六丸) /
천포창(天疱瘡)
, 양매창(楊梅瘡)
|
|
육성산(六聖散) /
편두통(偏頭痛)
, 정두통(正頭痛)
|
|
육진단(六珍丹) /
오간(五癎)
|
|
이오환(二烏丸) /
파상풍(破傷風)
|
|
이자건살귀원(李子建殺鬼元)[2] /
사수(邪祟)
, 시주(尸注)
, 귀매(鬼魅)
|
|
이황고(二黃膏) /
악창(惡瘡)
|
|
일념금(一捻金) /
정저(疔疽)
|
|
일념금산(一捻金散) /
아구창(鵝口瘡)
|
|
일상산(一上散) /
개선(疥癬)
|
|
일소산(一掃散) /
개선(疥癬)
|
|
일자산(一字散)[1] /
전후풍(纏喉風)
, 급후비(急喉痺)
|
|
자황환(煮黃丸)[1] /
기실심통(氣實心痛)
|
|
자황환(煮黃丸)[2] /
음식내상(飮食內傷)
, 흉복자통(胸腹刺痛)
|
|
전씨오색환(錢氏五色丸) /
전간(癲癎)
, 정충(怔忡)
|
|
전초산(剪草散) /
개선(疥癬)
|
|
점누정농출약(點漏睛膿出藥) /
누정(漏睛)
|
|
정생단(定生丹) /
반위(反胃)
|
|
정중탕(定中湯) /
토사(吐瀉)
|
|
좌룡환(左龍丸) /
파상풍(破傷風)
|
|
지보단(至寶丹) /
풍중장(風中臟)
, 졸중풍(卒中風)
|
|
진경환(鎭驚丸) /
급경풍(急驚風)
|
|
진사환(辰砂丸) /
고독(蠱毒)
|
|
창공산(倉公散) /
울모(鬱冒)
|
|
채명단(寨命丹) /
변독(便毒)
, 유옹(乳癰)
, 정창(釘瘡)
|
|
천금산(千金散)[1] /
양매창(楊梅瘡)
|
|
천포환(天疱丸) /
양매창(楊梅瘡)
, 천포창(天疱瘡)
|
|
청대산(靑黛散)[1] /
중설(重舌)
|
|
청량구고산(淸凉救苦散) /
대두온(大頭瘟)
|
|
촌금정자(寸金錠子) /
치루(痔瘻)
|
|
추독단(追毒丹) /
흑함(黑陷)
|
|
추독병(追毒餠) /
침후악창(鍼後惡瘡)
|
|
추풍산(追風散)[1] /
편두풍(偏頭風)
, 정두풍(正頭風)
|
|
축보환(丑寶丸) /
정충(怔忡)
, 전간(癲癎)
|
|
치내감창일방(治內疳瘡一方) /
내감창(內疳瘡)
|
|
치번화창일방(治飜花瘡一方) /
번화창(飜花瘡)
|
|
치분자우방(治粉刺又方)[2] /
비사(鼻齄)
, 분자(粉刺)
|
|
치사전창일방(治蛇纏瘡一方) /
사전창(蛇纏瘡)
|
|
치아동방(治牙疼方) /
아치통(牙齒痛)
|
|
치악창살충방(治惡瘡殺蟲方)[1] /
악창유충(惡瘡有蟲)
|
|
치양매창취약방(治楊梅瘡吹藥方) /
양매창(楊梅瘡)
, 천포창(天疱瘡)
|
|
치양매창훈비방(治楊梅瘡熏鼻方)[1] /
양매창(楊梅瘡)
, 천포창(天疱瘡)
|
|
치적백한반방(治赤白汗斑方) /
한진(汗疹)
|
|
칠보산(七寶散) /
쌍유아(雙乳蛾)
, 단유아(單乳蛾)
, 후폐(喉閉)
|
|
칠웅환(漆雄丸) /
수고(水鼓)
|
|
침수고(沈水膏) /
옹저(癰疽)
, 발배(發背)
|
|
탐생산(探生散) /
만경풍(慢驚風)
, 급경풍(急驚風)
|
|
태을명월단(太乙明月丹) /
노채(勞瘵)
, 전시(傳尸)
|
|
태을신정단(太乙神精丹) /
곽란(霍亂)
, 온학(溫瘧)
, 객오(客忤)
, 전광(癲狂)
|
|
통관산(通關散)[2] /
졸중풍(卒中風)
|
|
통신산(通神散)[2] /
이롱(耳聾)
|
|
통치백물독일방(通治百物毒一方)[6] /
약독(藥毒)
|
|
팔독적산(八毒赤散) /
귀주(鬼疰)
|
|
패모고(貝母膏) /
악창(惡瘡)
|
|
포룡환(抱龍丸) /
급경풍(急驚風)
|
|
해금사산(海金砂散)[2] /
오림(五淋)
|
|
해독웅황원(解毒雄黃元) /
후폐(喉閉)
, 구금(口禁)
|
|
해백물독일방(解百物毒一方)[3] /
백물독(百物毒)
|
|
해여로독일방(解藜蘆毒一方) /
여로독(藜蘆毒)
|
|
호분산(胡粉散) /
개선(疥癬)
|
|
화독환(化毒丸) /
악창(惡瘡)
, 정창(釘瘡)
|
|
황갑환(黃甲丸) /
학모(瘧母)
|
|
회생보명단(回生保命丹) /
양매창(楊梅瘡)
, 천포창(天疱瘡)
|
|
회춘벽사단(回春辟邪丹) /
부인귀교(婦人鬼交)
|
|
흑고(黑膏) /
온독발반(溫毒發斑)
|
|
희로환(晞露丸) /
장담(腸覃)
, 징가(癥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