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채

 익생양술에서 "유채"로 처방에 사용되었음.
 동의보감에서 "운대(蕓薹)/유채"로 처방에 사용됨
분포 제주도, 남부 지방 채취기간 5∼6월(씨 성숙시)
80~140cm 취급요령 햇볕에 말려 쓴다.
생지 밭에 재배 성미 따뜻하며, 맵다.
분류 두해살이풀 독성여부 없다.
번식 1회사용량 5∼7g
약효 사용범위 치유되는 대로 중단한다.
동속약초 갓의 씨
뿌리에서 나온 잎은 잎자루가 길며 댓잎피침형으로서 가장자리가 깊게 깃 모양으로 갈라지고 끝이 둔하다. 잎자루의 가장자리에 이빨 모양의 톱니가 있으며 잎자루에 자줏빛이 도는 경우도 있다. 앞면은 진한 녹색이고 뒷면은 흰빛이 돈다. 줄기잎은 넓은 댓잎피침형이며 잎자루가 없어지면서 줄기를 감싸고 끝이 뾰족하다. 위쪽에 달린 잎은 잎자루가 없어 밑 부분이 귀처럼 늘어져서 원줄기를 감싸며 갈라지지 않는다. 줄기에는 대개 30~50개의 잎이 붙는다.
4월경에 노란 꽃이 원줄기 끝과 가지 끝에서 총상 꽃차례를 이루며 달려 핀다. 꽃받침은 4개이고 댓잎피침형의 배 모양이다. 꽃잎은 4개이며 길이 6~10mm의 둥근 거꿀달걀꼴이다. 6개의 수술 중 4개는 길고 2개는 짧으며 암술은 1개이다. 꽃은 오전 9시경에 가장 많이 핀다.
열매
5∼6월에 원통 모양의 각과(角果)를 맺는데 끝에 긴 부리가 있다. 익으면 가운데 있는 봉합선이 갈라지면서 20개 안팎의 흑갈색 씨가 나온다.
특징 및 사용
고채(苦菜)ㆍ유동(遊冬)ㆍ쓴나물ㆍ쓴귀물ㆍ씀배나물ㆍ씸배나물ㆍ싸랑부리ㆍ씀바기 등 여러 별칭을 가지고 있다. 전체에 털이 없다. 줄기는 가늘며 위쪽에서 가지가 갈라진다. 유사종으로 흰 꽃이 피는 것을 흰씀바귀, 혀꽃이 8~10개이며 황색인 것을 꽃씀바귀라 한다. 잎이나 줄기를 자르면 쓴맛이 나는 흰 즙이 나온다. 토끼에게 먹이면 병이 나지 않는다고 한다. 식용ㆍ약용으로 이용된다. 이른봄에 뿌리와 어린순을 나물로 먹는데 살짝 데쳐서 물에 담가 쓴맛을 우려낸 뒤에 무치거나 볶는다. 또한 잎을 따다 쌈을 싸 먹어도 좋다. 약으로 쓸 때는 생즙을 내거나 산제로 하여 사용한다.
운대(蕓薹) / 유채
라틴명 Brassicae Campestri Herba
약재의 효능 산혈(散血)  (혈(血)을 흩뜨리는 효능임)
소종(消腫)  (옹저(癰疽)나 상처가 부은 것을 가라앉히는 치료법임)
복요사(伏硇砂)  (요사(硇砂)의 독을 제거하는 효능임)
작용부위 폐(肺)
성미 신(辛) , 양(凉)
약재사용처방 치두불기창우방(治痘不起脹又方)[7] /  두진불기창(痘疹不起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