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풀

 익생양술에서 "골풀"로 처방에 사용되었음.
 동의보감에서 "등심초(燈心草)/골풀"로 처방에 사용됨
분포 전국 각지 채취기간 8~9월
50~100cm 취급요령 햇볕에 말려 쓴다.
생지 들의 물가나 습지 성미 차며, 묽고 달다.
분류 여러해살이풀 독성여부 없다.
번식 분주ㆍ씨 1회사용량 3~6g
약효 온포기 사용범위 해롭지는 않으나 치유되는 대로 중단한다.
잎은 보통 없고 줄기의 밑동에서 비늘 모양으로 되어 어두운 갈색의 잎집이 붙어 줄기를 감싼다.
5~7월에 연한 녹갈색으로 피는데 줄기 위쪽에서 총상 꽃차례를 옆으로 내며 20개 안팎의 작은 꽃들이 많이 달린다. 맨 밑에 있는 꽃턱잎은 원기둥 모양이고 곧게 서며 날카로운데 줄기와 연속해서 길이 20cm 정도 자라므로 줄기의 끝부분처럼 보인다. 수술은 3개이며 꽃덮이 조각보다 짧고 꽃밥과 수술대의 길이는 서로 비슷하다. 암술은 1개이다.
열매
9~10월에 지름 2~3mm의 삭과가 세모진 달걀꼴로 달려 황갈색으로 익으면 3개로 갈라진다. 끝이 뭉뚝하고 꽃덮이 조각과 길이가 같다. 씨는 매우 작다.
특징 및 사용
등심ㆍ수등심ㆍ등심초ㆍ골속ㆍ석룡추(石龍芻)ㆍ용수초(龍鬚草)ㆍ고을심(古乙心)ㆍ인초(藺草)ㆍ호수초(虎須草)ㆍ적수(赤須)ㆍ등초(燈草)ㆍ벽옥초(碧玉草)ㆍ철등심(鐵燈心) 등의 많은 이명이 있다. 뿌리줄기는 옆으로 뻗고 짧은 마디가 많으며 여기에서 원기둥 모양의 밋밋하고 윤기 있는 녹색 줄기가 나온다. 습지에서 자라는 식물로서 수염뿌리가 많다. 줄기는 속[髓]으로 가득 차 있다. <산림경제>에 자리를 엮는 데나 등잔 심지로 이용된다고 기록되어 있듯이 줄기로 돗자리를 만들고 바구니ㆍ모자ㆍ방석ㆍ슬리퍼ㆍ핸드백ㆍ벽지 등의 재료로 널리 이용된다. 일본에서는 다다미 표면을 싸는 자리의 재료로 쓰인다. 이 밖에 관상용ㆍ퇴비용ㆍ약용으로 이용된다. 약으로 쓸 때는 탕으로 하거나 환제 또는 산제로 하여 사용한다. 소변불리 증세가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등심초(燈心草) / 골풀
라틴명 Junci Medulla
약재의 효능 사폐(瀉肺)  (폐내(肺內)에 쌓인 열을 청사(淸瀉)하는 방법임.)
이뇨(利尿)  (소변이 잘 나오게 하는 효능임)
통림(通淋)  (하초(下焦)의 습열(濕熱)을 없애고 결석(結石)을 제거하며, 소변 볼 때 깔깔하면서 아프거나 방울방울 떨어지면서 시원하게 나가지 않는 병증을 제거하는 방법임)
지갈(止渴)  (갈증을 그치게하는 효능임)
이수(利水)  (수(水)를 원활하게 빼는 효능임)
지혈(止血)  (출혈(出血)을 그치게 하는 효능임)
산종(散腫)  (부종을 없애는 효능임)
청폐열(淸肺熱)  (폐열을 식히는 효능임)
강심화(降心火)  (심화(心火)를 내리는 효능임)
청열(淸熱)  (열기를 성질이 차거나 서늘한 약으로 식히는 효능임)
행수(行水)  (기기(氣機)를 잘 통하게 하고 수도(水道)를 소통, 조절하여 이수화습(利水化濕)하는 방법의 하나.)
작용부위 소장(小腸) , 심(心) , 폐(肺)
성미 감담(甘淡) , 미한(微寒)
약전기재 중국약전 , 한국생약규격집
주의사항 허탈·중한소변불금자(虛脫·中寒小便不禁者)는 복용하지 말 것.
약재사용처방 가미청심음(加味淸心飮) /  소변적탁(小便赤濁)
도기제조탕(導氣除燥湯) /  소변불통(小便不通)
등심초(燈心草) /  오림(五淋)
복령조혈탕(茯苓調血湯) /  요혈(尿血)
안영산(安榮散) /  자림(子淋)
저령탕(猪苓湯)[1] /  소변불통(小便不通)열결(熱結)
천을환(天乙丸) /  경풍(驚風)단독(丹毒)
청폐산(淸肺散)[1] /  소변불통(小便不通)
팔정산(八正散) /  융폐(癃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