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시마

 익생양술에서 "다시마"로 처방에 사용되었음.
 동의보감에서 "곤포(昆布)/다시마"로 처방에 사용됨
분포 동ㆍ서ㆍ남해안 채취기간 여름~가을
1.5~3.5m 취급요령 햇볕에 말려 쓴다.
생지 바다에서 양식 성미 차며, 짜다.
분류 여러해살이 대형 바닷말 독성여부 없다.
번식 포자 1회사용량 6~12g
약효 온포기 사용범위 오래 써도 해롭지 않다.
동속약초 참미역ㆍ미역의 엽상 전초
황갈색 또는 흑갈색의 넓은 띠 모양으로 길게 자라는데 바탕이 두껍고 표면은 미끄러우며 가장자리에 약간 쭈글쭈글한 물결 모양의 주름이 있다. 중간 부분보다 약간 아래쪽이 가장 넓어 보통 나비 25~40cm, 길이 1.5~3.5m 정도로 큰다. 중앙 부분은 다소 두꺼워 두께 1.8~3.5mm 가량 된다. 어릴 때는 세로로 용무늬가 생기나 자라면서 없어진다.
포자
가을(11월이 최성기)에 엽체 표면에 무성 포자가 만들어지고 이어 모체 밖으로 방출된다. 방출된 포자는 얼마 동안 물 속을 헤엄쳐 다니다가 바닥에 붙어 발아하여 불과 수십 세포 정도로 된 실 모양의 유성 생식 배우체를 형성하는데 몸 길이가 5mm 정도밖에 되지 않으나 유성체로서 수컷 배우체와 암컷 배우체가 반반 가량의 비율로 나타난다. 이윽고 수온 10℃ 이하의 조건이 되면 수컷 배우체에서 정자를 만들어 방출하여 암컷 배우체에서 형성된 알과 수정한다.
곤포(昆布) / 다시마
라틴명 Laminariae Thallus
약재의 효능 연견화담(軟堅化痰)  (뭉쳐 있는 담(痰)을 연견(軟堅)시켜 담을 제거하는 효능임)
파적취(破積聚)  (몸 안의 적취(積聚)를 흩어 주는 효능임)
이수도(利水道)  (요도를 통하게 하는 효능임)
연견(軟堅)  (대변(大便)이나 종괴(腫塊) 등의 딱딱하게 굳은 것을 무르게 해주는 효능임)
작용부위 간(肝) , 신(腎) , 위(胃)
성미 한(寒) , 함(鹹)
약전기재 중국약전 , 한국생약규격집
독성 Adverse effects include headache and heart palpitations. Because of its high idone content, this herb should be used cautiously in cases of acute tuberculosis and chronic bronchitis.1).Mild; active, but toxicity appears very mild unless used for long time 2,3).
1) Huang, K.C., The pharmacology of Chinese herbs II, CRC press, 1999.
2) H.K. Do, Shin Rhong Bon Cho Kyung, 452.
3) H.T. Rhu, Hyang Yak Jip Sung Bang, 1431.
약재사용처방 곤포(昆布)[1] /  방광병(膀胱病)
곤포(昆布)[2] /  비만(肥滿)
귤핵환(橘核丸) /  퇴산(㿉疝)난종(卵腫)
동원서점자탕(東垣鼠粘子湯) /  이내생창(耳內生瘡)농이(膿耳)
마린화환(馬藺花丸) /  퇴산(㿉疝)음란편추(陰卵偏墜)
반하후박탕(半夏厚朴湯) /  창만(脹滿)
비기환(肥氣丸) /  간적(肝積)
산종궤견탕(散腫潰堅湯) /  나력(瘰癧)마도창(馬刀瘡)
용천산(龍泉散) /  나력(瘰癧)
인삼화영단(人蔘化癭丹) /  영류(瘿瘤)
증손오적환(增損五積丸)[1] /  오적(五積)비적(脾積)
지장산(舐掌散)[2] /  영류(瘿瘤)
치영류우방(治瘿瘤又方)[3] /  영류(瘿瘤)
파결산(破結散) /  영류(瘿瘤)
해조산견환(海藻散堅丸) /  기영(氣癭)나력(瘰癧)마도창(馬刀瘡)
활신환(活腎丸) /  목신(木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