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현호색

 익생양술에서 "들현호색"로 처방에 사용되었음.
 동의보감에서 "현호색(玄胡索)/들현호색"로 처방에 사용됨
분포 전국 각지 채취기간 봄~여름
15cm 정도 취급요령 햇볕에 말려 쓴다.
생지 산기슭, 논밭 근처 성미 따뜻하며, 맵고 쓰다.
분류 여러해살이풀 독성여부 있다.
번식 실생ㆍ분주 1회사용량 4~6g
약효 덩이줄기 사용범위 독성이 있으므로 복용할 때 주의를 요한다.
동속약초 현호색ㆍ왜현호색ㆍ댓잎현호색의 덩이줄기
어긋나며 밑 부분에 긴 잎자루가 있으나 위로 올라갈수록 짧아지고, 작은 잎이 3개씩 달리는 3출엽이다. 작은 잎은 길이 8~20mm의 달걀꼴 또는 달걀 모양의 타원형으로서 밑은 좁고 끝은 뭉뚝하며 가장자리에 패어 들어간 모양의 거친 톱니가 있다.
4월에 붉은 보랏빛으로 총상 꽃차례를 이루며 줄기 끝에 달려 피는데, 꽃대는 가늘고 길며 약간 많은 꽃이 달리고 달걀을 닮은 댓잎피침형의 꽃턱잎이 붙는다. 꽃부리의 한쪽은 입술 모양이고 다른 한쪽은 약간 구부러진 좁은 통 모양의 꿀주머니가 있다. 6개인 수술은 2개의 수술대 끝에 3개씩 달린다.
열매
6~7월에 긴 타원형의 삭과가 달려 익는데 끝이 뾰족하다.
특징 및 사용
땅속줄기가 옆으로 뻗고 곳곳에 둥근 덩이줄기를 형성하며 덩이줄기에서 새싹이 나와 번식한다. 덩이줄기는 둥글며 표면은 흑갈색이다. 줄기는 홀로 또는 밑동에서 여러 개가 모여난다. 들판의 논두렁에서 많이 자라기 때문에 들현호색이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현호색보다 키가 크고 꽃의 색깔도 다르다. 우리나라 특산종이다. 관상용ㆍ약용으로 이용된다. 약으로 쓸 때는 탕으로 하거나 환제 또는 산제로 하여 사용한다.
현호색(玄胡索) / 들현호색
라틴명 Corydalis Tuber
약재의 효능 활혈(活血)  (혈(血)의 운행을 활발히 하는 효능임)
산어(散瘀)  (어혈(瘀血)을 제거하는 효능임)
제풍(除風)  (풍(風)의 기운을 제거하는 효능임)
파혈(破血)  (어혈을 비교적 독하고 강한 거어약(袪瘀藥)을 사용하여 없애는 방법임)
이기(利氣)  (기(氣)를 이롭게 하는 치료방법임)
지통(止痛)  (통증(痛症)을 그치게 하는 효능임)
통경락(通經絡)  (경락을 소통시키는 효능임)
난요슬(暖腰膝)  (허리와 무릎을 따뜻하게 하는 효능임)
이소변(利小便)  (소변을 잘 나오게 하는 효능임)
이기활혈(利氣活血)
작용부위 간(肝) , 비(脾)
성미 신고(辛苦) , 온(溫)
약전기재 대한약전
주의사항 체허붕루(體虛崩漏), 산후혈허(産後血虛) 등의 증상이 있는 경우에는 복용하지 말 것.
독성 Overdosage intoxication leads to CNS depression and muscle relaxation. The LD50 of dl-tetrahydropalmatine in mice is 151 mg/kg (I.v.).1). Mild; active, but toxicity appears very mild unless used for long time 2,3)
1) Huang, K.C., The pharmacology of Chinese herbs II, CRC press, 1999.
2) H.K. Do, Shin Rhong Bon Cho Kyung, 452.
3) H.T. Rhu, Hyang Yak Jip Sung Bang, 1431.
약재사용처방 가감향령산(加減香苓散) /  음란편추(陰卵偏墜)
견통원(蠲痛元) /  퇴산(㿉疝)
공연단(控涎丹) /  담음유주(痰飮流注)
교감지황전원(交感地黃煎元) /  산후망견망언(産後妄見妄言)
귤핵환(橘核丸) /  퇴산(㿉疝)난종(卵腫)
금령자산(金鈴子散) /  열궐심통(熱厥心痛)
기침산(起枕散) /  아침통(兒枕痛)
당귀사역탕(當歸四逆湯)[1] /  한산(寒疝)
도노산(桃奴散) /  혈고(血蠱)월경불통(月經不通)
도노환(桃奴丸) /  혈창(血脹)월경불통(月經不通)
마린화환(馬藺花丸) /  음란편추(陰卵偏墜)퇴산(㿉疝)
만응환(萬應丸)[2] /  적취(積聚)
목향금령환(木香金鈴丸) /  외신종창통(外腎腫脹痛)산(疝)
목향분기환(木香分氣丸) /  천급(喘急)창만(脹滿)담수(痰嗽)
반총산(蟠蔥散) /  한산(寒疝)
반현환(斑玄丸) /  징가(癥瘕)
보신탕(補腎湯) /  신허요통(腎虛腰痛)
복원통기산(復元通氣散) /  기통(氣痛)
분돈환(奔豚丸) /  신적(腎積)
불와산(不臥散)[1] /  두통(頭痛)
비전수유내소원(秘傳茱萸內消元) /  수산(水疝)
사물고련탕(四物苦練湯) /  제복냉통(臍腹冷痛)
사물조경탕(四物調經湯) /  월경불통(月經不通)혈가(血瘕)
사미탕(四味湯) /  산후혈훈(産後血暈)
삼간단(三癎丹) /  식간(食癎)
삼령호박탕(蔘苓琥珀湯) /  경중양통(莖中痒痛)소변임력(小便淋瀝)
삼성산(三聖散)[2] /  아침통(兒枕痛)
삼신환(三神丸)[1] /  월경부조(月經不調)
서근산(舒筋散) /  좌섬요통(挫閃腰痛)혈력요통(血瀝腰痛)
서금산(瑞金散) /  월경불통(月經不通)
소적정원산(消積正元散) /  담음(痰飮)기혈응체(氣血凝滯)식적(食積)
수념산(手拈散) /  구종심통(九種心痛)
수유내소원(茱萸內消元) /  음란편추(陰卵偏墜)
승금단(勝金丹)[3] /  무사(無嗣)
승금산(勝金散)[1] /  혈심통(血心痛)
시향산(柴香散) /  비괴(痞塊)징가(癥瘕)
신효산(神效散)[2] /  냉심통(冷心痛)
십미창백산(十味蒼柏散) /  산통(疝痛)
십보환(十補丸) /  음랭(陰冷)한산(寒疝)
여신탕(如神湯) /  좌섬요통(挫閃腰痛)
옥약계영환(玉鑰啓榮丸) /  무사(無嗣)
유통산(愈痛散) /  졸심통(卒心痛)
이호산(二胡散) /  심복통(心腹痛)
일날금산(一捏金散) /  분돈산(奔豚疝)
일념금원(一捻金元) /  부인음정(婦人陰挺)
입안산(立安散) /  좌섬요통(挫閃腰痛)
자음백보환(滋陰百補丸) /  산후사한사열(産後乍寒乍熱)
작약산(芍藥散) /  풍한협통(風寒脇痛)
정향연실환(丁香練實丸) /  칠산(七疝)가취(瘕聚)
조경양혈원(調經養血元) /  무자(無子)
조경종옥탕(調經種玉湯) /  무사(無嗣)
주자당귀환(酒煮當歸丸) /  백대(白帶)
증손오적환(增損五積丸)[3] /  신적(腎積)오적(五積)
청대산(靑黛散)[2] /  풍담옹색(風痰壅塞)
청열조혈탕(淸熱調血湯) /  월경통(月經痛)
취향음자(聚香飮子) /  기산(氣疝)
칠제향부환(七製香附丸) /  징가(癥瘕)월경부조(月經不調)골증(骨蒸)
통기산(通氣散) /  대두온(大頭瘟)
현호색(玄胡索)[1] /  월경부조(月經不調)붕중(崩中)
현호색(玄胡索)[2] /  혈심통(血心痛)
현호색(玄胡索)[3] /  소장산(小腸疝)
현호색(玄胡索)[4] /  징벽(癥癖)
현호색(玄胡索)[5] /  산후혈훈(産後血暈)아침통(兒枕痛)
현호색산(玄胡索散) /  혈결흉(血結胸)
현호색환(玄胡索丸) /  혈심통(血心痛)
화통탕(和痛湯) /  반산(半産)
회향안신탕(茴香安腎湯) /  음란편추(陰卵偏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