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초절(甘草節) / 감초

 익생양술에서 "감초"로 처방에 사용됨
 동의보감에서 "감초절(甘草節) / 감초"로 처방에 사용되었음.
분포 남부 지방 채취기간 가을
100cm 정도 취급요령 햇볕에 말려 쓴다.
생지 밭에 재배 성미 평온하며, 달다.
분류 여러해살이풀 독성여부 없다.
번식 1회사용량 뿌리 3~6g
약효 뿌리 사용범위 해롭지는 않으나 치유되는 대로 중단한다.
동속약초 양감초ㆍ황감초
어긋나고 홀수 깃꼴겹잎으로 작은 잎이 7~17개씩 달리는데 달걀 모양의 타원형이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없으며 끝이 뾰족하다. 잎의 크기는 길이 2~5cm, 나비 1~3cm이며 흰 털과 샘점이 있다.
7~8월에 남자색 꽃이 총상 꽃차례를 이루며 잎겨드랑이에 달려 핀다. 꽃의 크기는 1.4~2.5cm 정도이다.
열매
8~9월에 협과가 달려 익는데 꼬투리는 편평한 선 모양이고 활처럼 굽으며 바늘 같은 갈색 털이 촘촘히 나 있다. 신장 모양을 닮은 씨가 6~8개씩 들어 있는데 검은색으로 윤기가 난다.
특징 및 사용
뿌리줄기는 원기둥 모양이고 거기에 연결된 원뿌리는 땅 속 깊숙이 뻗어 있다. 곧게 서 있는 땅위줄기는 모가 지며 흰색의 가느다란 짧은 털이 촘촘히 나 있어 회백색으로 보인다. 방향성이 있다. 뿌리를 국로(國老)라고 하며 그 맛이 달아 감초라고 부른다. 예전에 생선 장수들이 생태를 20마리(1코)씩 감초 줄기로 꿰어서 팔았는데 그렇게 하면 잡균이 붙지 않는다고 전해진다. 약용ㆍ감미료(간장 담그는 데)로 이용된다. 한방에서는 모든 약물과 배합이 잘 되어 다른 약의 작용을 순하게 하므로 다른 약에 첨가하여 중화제(조화제)ㆍ해독제로 쓴다. 약으로 쓸 때는 탕으로 하거나 환제 또는 산제로 하여 사용하며, 술을 담가서도 쓴다.
익생양술 효능
주로 소화기ㆍ순환계ㆍ이비인후과 질환을 다스리며, 약재의 중화제ㆍ해독제로 쓴다.
감초절(甘草節) / 감초 진
라틴명 Glycyrrhizae Resina
약재의 효능 소종(消腫)  (옹저(癰疽)나 상처가 부은 것을 가라앉히는 치료법임)
배독(排毒)  (독을 없애는 효능임)
지통(止痛)  (통증(痛症)을 그치게 하는 효능임)
해독(解毒)  (독성(毒性)을 풀어주는 효능임)
작용부위 간(肝) , 위(胃)
성미 감(甘) , 평(平)
약재사용처방 과루산(瓜蔞散) /  유옹(乳癰)
귤엽산(橘葉散) /  유방결핵(乳房結核)유옹(乳癰)
길경탕(桔梗湯)[5] /  폐옹(肺癰)
내소옥설탕(內消沃雪湯) /  두옹(肚癰)내저(內疽)위완옹(胃脘癰)
독승산(獨勝散)[3] /  고독(蠱毒)약물중독(藥物中毒)사충교(蛇蟲咬)
복령탕(茯苓湯)[2] /  천포창(天疱瘡)양매창(楊梅瘡)
비방탈명산(秘方奪命散) /  옹저(癰疽)무명종독(無名腫毒)
선방활명음(仙方活命飮) /  옹저(癰疽)악창(惡瘡)
선전화독탕(仙傳化毒湯) /  무명종독(無名腫毒)유옹(乳癰)발배(發背)내저(內疽)
소독탕(消毒湯) /  두후옹절(痘後癰癤)
소핵환(消核丸) /  경항결핵(頸項結核)
오령지산(五靈脂散) /  견비통(肩臂痛)
이활산(二活散) /  정창(釘瘡)
자음청위환(滋陰淸胃丸) /  위열치통(胃熱齒痛)
천금내소산(千金內消散) /  장옹(腸癰)유옹(乳癰)옹저(癰疽)
청초창백탕(靑草蒼柏湯) /  부골저(附骨疽)
타농산(打膿散) /  옹저(癰疽)
황감산(黃甘散) /  옹저(癰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