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지(桂枝) / 계수나무

 익생양술에서 "계수나무"로 처방에 사용됨
 동의보감에서 "계지(桂枝) / 계수나무"로 처방에 사용되었음.
분포 중부 이남 채취기간 가을~이듬해 봄
7m 정도 취급요령 그늘에서 말려 쓴다.
생지 냇가, 양지바른 곳, 정원에 식재 성미 따뜻하며, 달고 시다.
분류 낙엽 활엽 교목 독성여부 없다.
번식 꺾꽂이ㆍ분주 1회사용량 나무껍질 5~6g
약효 나무껍질 사용범위 해롭지는 않으나 치유되는 대로 중단한다.
마주나는데 넓은 달걀꼴이며 밑부분은 심장 밑을 닮았고 끝은 다소 둔하다. 길이와 나비는 각각 3~7cm이다. 앞면은 윤기가 나며 녹색이고 뒷면은 분백색이다. 손바닥 모양의 맥이 5~7개 정도 있으며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다. 길이 2~2.5cm인 잎자루는 붉은빛이 돈다.
5월에 원추 꽃차례로 황백색 또는 연노란색의 단성화가 잎보다 먼저 잎겨드랑이에 1개씩 달려 핀다. 꽃덮이는 없고 작은 꽃자루에 꽃턱잎이 있다. 수꽃에는 많은 수술이 있으며, 꽃밥은 길이 3~4mm로서 선형이다. 암꽃에는 3~5개의 암술이 있고, 암술머리는 실같이 가늘며 연한 홍색이다.
열매
3~5개씩 달리는 장과가 12월에 짙은 자주색으로 익는데 굽은 원기둥 모양이고 길이는 15mm 정도이다. 씨는 편평하며 한쪽에 날개가 있고 길이는 5~6.5mm이다.
특징 및 사용
계수ㆍ간과라고도 한다. 높이 25m, 지름 1.3m에 달하는 것도 있다. 곧게 자라고 굵은 가지가 많이 갈라지며 잔가지가 있다. 나무껍질에 적갈색ㆍ회갈색의 무늬가 있는데 껍질이 세로로 얇게 갈라진다. 안쪽은 짙은 적갈색이다. 관상용ㆍ공업용ㆍ향료ㆍ약용으로 이용된다. 가지를 계지(桂枝), 나무껍질을 계피라고 하는데 특이한 방향(芳香)이 있어 향료의 원료로 널리 쓰인다. 약으로 쓸 때는 탕으로 하거나 환제 또는 산제로 하여 사용하며, 술을 담가서도 쓴다. 복용 중에 옻나무를 금한다. 임산부는 복용을 금한다.
계지(桂枝) / 계수나무 가지
라틴명 Cinnamomi Ramulus
약재의 효능 온경(溫經)  (경맥(經脈)을 따뜻하게 해주는 것.)
산한(散寒)  (한사(寒邪)를 없애는 효능임)
해기(解肌)  (기표(肌表)의 사기(邪氣)를 제거하는 것인데, 외감증의 초기에 발한(發汗)시키는 치법.)
발한(發汗)  (땀을 내게 하는 효능임)
조양화기(助陽化氣)  (양기(陽氣)를 도우며 기(氣)를 화(化)하는 효능임)
평충강기(平衝降氣)
지번(止煩)  (번조(煩躁)를 그치게 효능임)
지타(止唾)  (침을 흘리는 것을 그치게 하는 효능임)
제사(除邪)  (사기(邪氣)를 제거하는 효능임)
이폐기(利肺氣)  (폐기(肺氣)를 원활하게 하는 효능임)
조영위(調營衛)  (영기(營氣)와 위기(衛氣)를 도와주는 효능임)
화음(化飮)  (몸 안에 생긴 수음(水飮)을 없애는 효능임)
인혈귀경(引血歸經)  (혈(血)이 경맥(經脈)으로 돌아오게 하는 효능임)
조화영위(調和榮衛)
실표거사(實表去邪)  (위기(衛氣)를 증강시키고 사기(邪氣)를 물리치는 효능임)
하행발표(下行發表)  (기운을 아래로 통하게 하고 표부(表部)에 맺힌 사기(邪氣)를 밖으로 뿜어내는 효능임)
작용부위 방광(膀胱) , 심(心) , 폐(肺)
성미 신감(辛甘) , 온(溫)
약전기재 중국약전 , 한국생약규격집
독성 The drug is contraindicated in cases of fever of unknown origin, prgnancy, stomach or duodenal ulcers 1, 2, 3), and in patients with an allergy to cinnamon or Peru balsam 2).
Available data are not sufficient for an adequate benefit / risk assessment. Therefore, Cinnamomum cassia should not be used during lactation.
The safety and efficacy of the drug in children have not been established.
Allergic reactions of the skin and mucosa have been reported 1, 4-7).
1) German Commission E Monograph, Cinnamomum cassia cortex. Bundesanzeiger, 1990, 22: 1 February.
2) Bisset NG. Max Wichtl's herbal drugs & phytopharmaceuticals. Boca Raton, FL, CRC Press, 1994:148-150.
3) Medicinal plants in China. Manila, World Health Organization, 1989: 78-79 (WHO Regional Publications, Western Pacific Serirs, No. 2).
4) Nixon R. Vignette in contact dermatology. Cinnamon allergy in bakers. Australian journal of dermatology, 1995, 36:41.
5) Hausen BJM. Allergiepflanzen-Pflanzenallergene. Landsberg, Ecomed, 1988: 95-96.
6) Calnan CD. Cinnamon dermatitis from an ointment. Contact dermatitis, 1976, 2:167-170.
7) Drake TE, Maibach HI. Allergic contact dermatitis and stomatitis caused by cinnamic aldehyde-flavored toothpaste. Archives of dermatology, 1976, 112:202-203.
약재사용처방 갈근해기탕(葛根解肌湯)[2] /  온역(瘟疫)
갈초산(蝎梢散)[1] /  치통(齒痛)
감리근탕(甘李根湯) /  상한동기(傷寒動氣)기상충(氣上衝)
감초부자탕(甘草附子湯) /  풍습(風濕)
감초탕(甘草湯)[2] /  상한음독(傷寒陰毒)
강활산(羌活散) /  치아탈락(齒牙脫落)치근동요(齒根動搖)풍랭치통(風冷齒痛)
개결서경탕(開結舒經湯) /  마목(麻木)
계령백출산(桂苓白朮散) /  곽란(霍亂)중서(中暑)
계마각반탕(桂麻各半湯) /  상한태양병(傷寒太陽病)
계부탕(桂附湯)[1] /  자한(自汗)
계비각반탕(桂婢各半湯) /  상한태양병(傷寒太陽病)
계지(桂枝) /  표허자한(表虛自汗)
계지감초탕(桂枝甘草湯) /  심계(心悸)
계지강활탕(桂枝羌活湯) /  태양학(太陽瘧)자한(自汗)
계지도인탕(桂枝桃仁湯) /  한산(寒疝)
계지부자탕(桂枝附子湯) /  망양(亡陽)
계지사칠탕(桂枝四七湯) /  냉심통(冷心痛)
계지석고탕(桂枝石膏湯) /  태양양명합병(太陽陽明合病)간일학(間日瘧)
계지용골모려탕(桂枝龍骨牡蠣湯) /  정활(精滑)실정(失精)탈정(脫精)
계지인삼탕(桂枝人蔘湯)[1] /  지결(支結)
계지인삼탕(桂枝人蔘湯)[2] /  심하비만(心下痞滿)상한비기(傷寒痞氣)
계지작약탕(桂枝芍藥湯) /  태양학(太陽瘧)열학(熱瘧)
계지탕(桂枝湯)[1] /  기울협통(氣鬱脇痛)
계지탕(桂枝湯)[2] /  상한태양병(傷寒太陽病)
계지홍화탕(桂枝紅花湯) /  열결흉(熱結胸)
계지황금탕(桂枝黃芩湯) /  태양양명소양합병(太陽陽明少陽合病)
계지황기탕(桂枝黃芪湯) /  황한(黃汗)
궁갈탕(芎葛湯) /  풍한협통(風寒脇痛)
길경탕(桔梗湯)[2] /  후비(喉痺)실음(失音)
당귀사역탕(當歸四逆湯)[2] /  상한궐음증(傷寒厥陰證)
대정기산(大正氣散) /  창만(脹滿)
대청룡탕(大靑龍湯) /  상한양감(傷寒兩感)
도씨계지탕(陶氏桂枝湯) /  상한태양병(傷寒太陽病)
도씨마황탕(陶氏麻黃湯) /  상한태양병(傷寒太陽病)
도씨재조산(陶氏再造散) /  상한망양(傷寒亡陽)
마황계지탕(麻黃桂枝湯)[1] /  토혈(吐血)상한육혈(傷寒衄血)
마황계지탕(麻黃桂枝湯)[2] /  심위통(心胃痛)
마황계지탕(麻黃桂枝湯)[3] /  상한태양병(傷寒太陽病)
마황탕(麻黃湯)[1] /  상한축혈증(傷寒蓄血證)
목향산(木香散)[5] /  두창설사(痘瘡泄瀉)
반하계감탕(半夏桂甘湯) /  상한인통(傷寒咽痛)
반하산(半夏散) /  상한소음병(傷寒少陰病)
방기복령탕(防己茯苓湯) /  피수(皮水)
백호계지탕(白虎桂枝湯) /  온학(溫瘧)
보비익진탕(補脾益眞湯) /  만비풍(慢脾風)
복량환(伏粱丸) /  심적(心積)
복령계감탕(茯苓桂甘湯) /  분돈(奔豚)상한제하계(傷寒臍下悸)
세신산(細辛散) /  치통(齒痛)
소건중탕(小建中湯)[1] /  표허자한(表虛自汗)
소건중탕(小建中湯)[2] /  허로(虛勞)
소청룡탕(小靑龍湯) /  상한표증(傷寒表證)
소풍탕(疎風湯) /  풍중부(風中腑)수족불인(手足不仁)
소풍활혈탕(疎風活血湯) /  역절풍(歷節風)
수념산(手捻散) /  복통(腹痛)요통(腰痛)
승금산(勝金散)[1] /  혈심통(血心痛)
승습탕(勝濕湯) /  중습(中濕)
시호가계탕(柴胡加桂湯) /  상한소양병(傷寒少陽病)소양학(少陽瘧)
시호계강탕(柴胡桂薑湯) /  소양학(少陽瘧)
시호계지탕(柴胡桂枝湯)[1] /  상한동기(傷寒動氣)
시호계지탕(柴胡桂枝湯)[2] /  소양학(少陽瘧)
양단탕(陽旦湯) /  상한양증(傷寒陽證)
영계출감탕(苓桂朮甘湯)[1] /  단기(短氣)
영계출감탕(苓桂朮甘湯)[2] /  담음(痰飮)
오물탕(五物湯) /  혈비(血痺)
오적산(五積散) /  상한음증(傷寒陰證)
음단탕(陰旦湯) /  상한음증(傷寒陰證)
익지화중탕(益智和中湯) /  하혈(下血)장벽(腸澼)
인삼자완탕(人蔘紫菀湯) /  구천(久喘)
인삼절학음(人蔘截瘧飮) /  허인학질(虛人瘧疾)
자감초탕(炙甘草湯) /  상한맥결대(傷寒脈結代)
작약감초탕(芍藥甘草湯)[2] /  상한(傷寒)각련(脚攣)오한(惡寒)번조(煩躁)
정기탕(正氣湯)[2] /  풍학(風瘧)
조중탕(調中湯)[1] /  음증발반(陰證發斑)
죽엽방풍탕(竹葉防風湯) /  산후발열(産後發熱)
진교승마탕(秦艽升麻湯) /  중풍(中風)구안와사(口眼喎斜)
청양탕(淸陽湯) /  중풍구안와사(中風口眼喎斜)
탈명환(奪命丸) /  사태불하(死胎不下)
황련탕(黃連湯)[2] /  복통(腹痛)구토(嘔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