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강(良薑) / 고량강

 동의보감에서 "양강(良薑) / 고량강"로 처방에 사용되었음.
양강(良薑) / 고량강
라틴명 Alpiniae Officinarum Rhizoma
약재의 효능 온위(溫胃)  (위(胃)를 따뜻하게 하는 효능임)
산한(散寒)  (한사(寒邪)를 없애는 효능임)
하기(下氣)  (인체 하부의 기(氣)를 말함.)
소식(消食)  (음식을 소화시키는 효능임)
지통(止痛)  (통증(痛症)을 그치게 하는 효능임)
행체(行滯)  (기(氣)나 물질 따위가 체한 것을 소통시켜 주는 효능임)
익성(益聲)  (목소리를 좋게 만드는 효능임)
거풍(祛風)  (안과 밖, 경락(經絡)및 장부(臟腑) 사이에 머물러 있는 풍사(風邪)를 제거하는 것임)
선조(宣燥)  (인체에 쌓인 습(濕)을 원활하게 제거하는 효능임)
건비위(健脾胃)  (비위(脾胃)를 튼튼하게 하는 효능임)
해주독(解酒毒)  (술을 과하게 마셔 그 후유증으로 생긴 독(毒)을 풀어주는 효능임)
택안색(澤顔色)  (얼굴을 윤택하게 하는 효능임)
온중산한(溫中散寒)  (중초(中焦)를 따뜻하게 하여 한사(寒邪)를 제거하는 효능임)
작용부위 비(脾) , 위(胃)
성미 신(辛) , 열(熱)
약재사용처방 가감목향산(加減木香散) /  손설(飱泄)
가미이진탕(加味二陳湯)[3] /  담궐(痰厥)
가자산(訶子散)[3] /  심비통(心脾痛)
가출산(訶朮散) /  임신설사(妊娠泄瀉)자리(子痢)
개소산(開笑散) /  풍랭치통(風冷齒痛)
견통원(蠲痛元) /  퇴산(㿉疝)
계령산(桂靈散) /  심복통(心腹痛)
계설향산(鷄舌香散) /  심복냉통(心腹冷痛)
계향산(桂香散)[2] /  한복통(寒腹痛)
고장환(固腸丸)[1] /  설사(泄瀉)
곡래소거산(哭來笑去散) /  아치종통(牙齒腫痛)
관중환(寬中丸) /  적취(積聚)
구사탕(驅邪湯)[2] /  자학(子瘧)
구학탕(驅瘧湯) /  해학(痎瘧)구학(久瘧)
노학음(老瘧飮) /  학모(瘧母)
대단하환(大斷下丸) /  허리(虛痢)구리(久痢)
만응환(萬應丸)[2] /  적취(積聚)
비적원(脾積元) /  대변비결(大便秘結)
사미회향산(四味茴香散) /  퇴산(㿉疝)
상산음(常山飮) /  노학(勞瘧)
선적환(宣積丸) /  대변비결(大便秘結)
성산자(聖散子) /  역려(疫癘)습온(濕溫)풍온(風溫)
소청비탕(小淸脾湯) /  위학(胃瘧)
순기목향산(順氣木香散) /  한창(寒脹)
승홍원(勝紅元) /  주적(酒積)혈적(血積)
신령단(神靈丹) /  졸심통(卒心痛)
신효월도산(神效越桃散) /  복통(腹痛)이질(痢疾)
염통산(拈痛散) /  통풍(痛風)
오수유탕(吳茱萸湯)[2] /  음랭(陰冷)
온중화담환(溫中化痰丸) /  한담(寒痰)
운모고(雲母膏)[1] /  골저(骨疽)내저(內疽)나력(瘰癧)
유통산(愈痛散) /  졸심통(卒心痛)
이강환(二薑丸) /  냉심통(冷心痛)
이초향량산(二炒香良散) /  심복통(心腹痛)
장수산(漿水散) /  폭설(暴泄)
정향비적환(丁香脾積丸) /  식적복통(食積腹痛)
정향시체산(丁香枾蒂散) /  위랭(胃冷)
주자당귀환(酒煮當歸丸) /  백대(白帶)
천금양비원(千金養脾元) /  반위(反胃)열격(噎膈)
천태오약산(天臺烏藥散) /  퇴산(㿉疝)
초과음(草果飮) /  한학(寒瘧)
침향온위환(沈香溫胃丸) /  비위허한(脾胃虛寒)곽란(霍亂)
파담소음원(破痰消飮元) /  담음(痰飮)
화제추도산(和劑抽刀散) /  한적복통(寒積腹痛)
후박귤피전(厚朴橘皮煎) /  한창(寒脹)
흑룡단(黑龍丹)[1] /  사태불하(死胎不下)난산(難産)
흑룡단(黑龍丹)[2] /  사태불하(死胎不下)난산(難産)태의불하(胎衣不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