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실(枳實) / 광귤나무

 익생양술에서 "광귤나무"로 처방에 사용됨
 동의보감에서 "기실(枳實) / 광귤나무"로 처방에 사용되었음.
분포 제주 채취기간 7~8월
4m 정도 취급요령 열매를 반으로 쪼개 햇볕에 말려 쓴다.
생지 인가 부근 식재 성미 서늘하며, 쓰고 맵다.
분류 상록 활엽 관목 독성여부 없다.
번식 실생ㆍ접목 1회사용량 6~8g
약효 나무껍질, 덜 익은 열매, 꽃 사용범위 null
어긋나며 단신 겹잎으로서 길이 7~10cm의 달걀꼴이고 끝이 뾰족하다. 질이 두껍고 윤기가 나며 가장자리에 물결 모양의 톱니가 있다. 잎자루에 넓은 날개가 있다.
5~6월에 흰색으로 피며 잎겨드랑이에 총상 꽃차례로 1개 또는 몇 개씩 달린다. 꽃받침과 꽃잎은 각각 5개씩이고 20~24개의 수술과 1개의 암술이 있다. 씨방은 둥글고 녹색이다.
열매
10월에 둥글면서도 편평한 황갈색의 장과가 지름 6~8cm의 크기로 달려 익는데 다음해 여름까지 가지에 매달려 있다. 씨는 쐐기 모양의 달걀꼴이며 편평하다.
특징 및 사용
광궤나무ㆍ산등ㆍ등자나무ㆍ등자목이라고도 한다. 줄기에 3개의 능선이 있고 가지에 가시가 있으며 잎이 많이 달려 무성하다. 방향성이 있다. 화장품의 향료(향수의 원료)와 관상용ㆍ약용으로 이용된다. 제주도에서 과수로도 심는다. 약으로 쓸 때는 탕으로 하여 사용한다. 기혈이 부족하거나 비위가 허약한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기실(枳實) / 광귤
라틴명 Aurantii Fructus Immaturus
약재의 효능 파기(破氣)  (기기(氣機)의 소통을 원활하게 함으로써 울결, 적체된 기(氣)를 풀어주는 치법.)
소적(消積)  (적취(積聚)를 제거하는 효능임)
화담(化痰)  (담(痰)을 삭이는 방법을 말함)
제비(除痺})  (비(痞)를 제거하는 효능임)
축수(逐水)  (몸속의 수기를 빼내는 효능임)
산어(散瘀)  (어혈(瘀血)을 제거하는 효능임)
건비기(健脾氣)
이오장(利五臟)  (오장(五臟)의 기능을 윤활하게 하는 효능임)
이격관흉(利膈寬胸)
안위기(安胃氣)
파기행담(破氣行痰)
경신(輕身)  (몸을 가볍게 하는 효능임)
명목(明目)  (눈을 밝게 하는 효능임)
익기(益氣)
작용부위 비(脾) , 위(胃)
성미 고신산(苦辛酸) , 온(溫)
약전기재 중국약전
주의사항 미숙과를 둘로 쪼개 말림. 오래될수록 좋음. 비허자(脾虛者), 임산부는 복용하지 말 것.
독성 Mild; active, but toxicity appears very mild unless used for long time 1,2).
1) H.K. Do, Shin Rhong Bon Cho Kyung, 452.
2) H.T. Rhu, Hyang Yak Jip Sung Bang, 1431.
약재사용처방 가감보화환(加減保和丸) /  식상(食傷)숙식(宿食)
가감온담탕(加減溫膽湯) /  경계(驚悸)정충(怔忡)
가감이진탕(加減二陳湯) /  울담(鬱痰)
가미기출환(加味枳朮丸) /  위심통(胃心痛)식적(食積)
가미사칠탕(加味四七湯)[1] /  매핵기(梅核氣)기담(氣痰)
가미사칠탕(加味四七湯)[3] /  매핵기(梅核氣)
가미소위단(加味小胃丹) /  담괴(痰塊)
가미온담탕(加味溫膽湯)[1] /  경계(驚悸)
가미온담탕(加味溫膽湯)[2] /  심허담겁(心虛膽怯)허번불수(虛煩不睡)
가미이진탕(加味二陳湯)[3] /  담궐(痰厥)
갈출탕(葛朮湯) /  주달(酒疸)
강활도체탕(羌活導滯湯) /  각기(脚氣)
강활창출탕(羌活蒼朮湯) /  장학(瘴瘧)열학(熱瘧)한학(寒瘧)
개결기실환(開結枳實丸) /  기체(氣滯)담음(痰飮)
개결도인환(開結導引丸) /  각기(脚氣)
개기소담탕(開氣消痰湯)[1] /  담괴(痰塊)
개기소담탕(開氣消痰湯)[2] /  결핵(結核)
개회산(開懷散) /  비괴(痞塊)
건위보화원(健胃保和元) /  식상(食傷)
견음기실환(蠲飮枳實丸) /  담음(痰飮)
고침무우산(高枕無憂散) /  허번불수(虛煩不睡)
과루기실탕(瓜蔞枳實湯)[1] /  울담(鬱痰)
과루기실탕(瓜蔞枳實湯)[2] /  담화치(痰火痓)
관중진식환(寬中進食丸) /  불사식(不思食)내상비위증(內傷脾胃證)
교태환(交泰丸) /  조잡(嘈雜)
국얼기출환(麴蘖枳朮丸) /  식상(食傷)
궤견탕(潰堅湯) /  오적(五積)육취(六聚)비괴(痞塊)
궤견환(潰堅丸) /  비괴(痞塊)육취(六聚)오적(五積)
규자탕(葵子湯) /  소변불통(小便不通)방광실열(膀胱實熱)
귤련기출환(橘連枳朮丸) /  심하비(心下痞)식상(食傷)
귤반기출환(橘半枳朮丸) /  식상(食傷)
귤피기출환(橘皮枳朮丸) /  수곡불화(水穀不化)심하비만(心下痞滿)
귤핵환(橘核丸) /  난종(卵腫)퇴산(㿉疝)
기궁산(枳芎散) /  좌협통(左脇痛)
기귤울법(枳橘蔚法) /  부인음종(婦人陰腫)
기실(枳實)[1] /  담벽(痰癖)
기실(枳實)[2] /  심하비(心下痞)
기실(枳實)[3] /  풍한협통(風寒脇痛)
기실(枳實)[4] /  부인음종(婦人陰腫)
기실대황탕(枳實大黃湯)[1] /  각기(脚氣)
기실대황탕(枳實大黃湯)[2] /  식상(食傷)
기실도체환(枳實導滯丸) /  상식(傷食)
기실산(枳實散) /  간허협통(肝虛脇痛)
기실소비환(枳實消痞丸) /  흉비통(胸痞痛)
기실이중원(枳實理中元) /  흉비(胸痺)
기실주(枳實酒) /  백진(白疹)피부소양증(皮膚瘙痒症)
기축이진탕(枳縮二陳湯) /  관격(關格)
기출탕(枳朮湯) /  수결흉(水結胸)
기출환(枳朮丸) /  식상(食傷)
길경탕(桔梗湯)[4] /  해수(咳嗽)담연옹성(痰涎壅盛)
내소산(內消散) /  식적(食積)
내소승마탕(內消升麻湯) /  부골저(附骨疽)
누로음자(漏蘆飮子) /  악창(惡瘡)부골저(附骨疽)
당귀백출탕(當歸白朮湯) /  주달(酒疸)
당귀승기탕(當歸承氣湯)[2] /  변혈(便血)
당귀양혈탕(當歸養血湯) /  열격(噎膈)
당귀욱리인탕(當歸郁李仁湯) /  치루(痔瘻)항문양통(肛門痒痛)
대승기탕(大承氣湯) /  상한이증(傷寒裏證)흉복창만(胸腹脹滿)
대시호탕(大柴胡湯) /  상한양명병(傷寒陽明病)
도씨도담탕(陶氏導痰湯) /  담미심규(痰迷心竅)
도씨인진탕(陶氏茵蔯湯) /  대소변불리(大小便不利)황달(黃疸)
도씨평위산(陶氏平胃散) /  식적(食積)
도씨황룡탕(陶氏黃龍湯) /  심하비경(心下痞硬)상한이증(傷寒裏證)
마린화환(馬藺花丸) /  퇴산(㿉疝)음란편추(陰卵偏墜)
목향기각환(木香枳殼丸) /  적취(積聚)탄산(呑酸)
목향기출환(木香枳朮丸) /  숙식(宿食)
목향도체환(木香導滯丸) /  상식(傷食)
목향빈랑환(木香檳榔丸)[3] /  식적복통(食積腹痛)기체복통(氣滯腹痛)
목향화체탕(木香化滯湯) /  심하비만(心下痞滿)상식(傷食)
반하기출환(半夏枳朮丸) /  식상(食傷)
발운퇴예환(撥雲退翳丸) /  예막(翳膜)
백출화위환(白朮和胃丸) /  내상비위증(內傷脾胃證)
보화환(保和丸)[1] /  비괴(痞塊)적취(積聚)
복령삼습탕(茯苓渗濕湯) /  습열황달(濕熱黃疸)
부화탕(敷和湯) /  온려(瘟癘)황달(黃疸)도현(掉眩)이명(耳鳴)
분소탕(分消湯) /  창만(脹滿)중만(中滿)
비약환(脾約丸) /  비약증(脾約證)
사간탕(射干湯)[1] /  풍한졸아(風寒卒牙)후아실성(喉{아}失聲)
사역산(四逆散) /  상한소음병(傷寒少陰病)
사자조중탕(四子調中湯) /  담연옹성(痰涎壅盛)반위(反胃)대소변불리(大小便不利)
사화청폐탕(瀉火淸肺湯) /  화천(火喘)
삼귀별갑음(蔘歸鱉甲飮) /  학모(瘧母)
삼릉화적환(三稜化積丸) /  적취(積聚)
삼보기출환(三補枳朮丸) /  열중(熱中)
삼일승기탕(三一承氣湯)[1] /  대소변불통(大小便不通)
삼일승기탕(三一承氣湯)[2] /  상한이증(傷寒裏證)
삼일승기탕(三一承氣湯)[3] /  반위(反胃)구토(嘔吐)열격(噎膈)대변비결(大便秘結)
삼출건비탕(蔘朮健脾湯) /  식상(食傷)
삼화탕(三化湯) /  풍중장(風中臟)풍중부(風中腑)
삼황기출환(三黃枳朮丸) /  상식(傷食)
생진보혈탕(生津補血湯) /  소아열격(小兒熱膈)
성비육위탕(醒脾育胃湯) /  허비(虛痞)중초기부족(中焦氣不足)탄산(呑酸)
소승기탕(小承氣湯) /  상한이증(傷寒裏證)
소자도담강기탕(蘇子導痰降氣湯) /  담천(痰喘)
소적정원산(消積正元散) /  기혈응체(氣血凝滯)식적(食積)담음(痰飮)
소해산(消解散) /  후류(喉瘤)후균(喉菌)
소화환(消化丸) /  허로(虛勞)폐위(肺痿)
수자목향산(水煮木香散) /  이질(痢疾)
수풍윤장환(搜風潤腸丸) /  대변비결(大便秘結)
수풍환(搜風丸)[1] /  각기(脚氣)
순기도담탕(順氣導痰湯)[1] /  담음(痰飮)
순기산(順氣散) /  중소(中消)
순기화중탕(順氣和中湯)[2] /  반위(反胃)조잡(嘈雜)구토(嘔吐)
승마창출탕(升麻蒼朮湯) /  산람장기(山嵐瘴氣)
시향산(柴香散) /  비괴(痞塊)징가(癥瘕)
시호승마탕(柴胡升麻湯)[1] /  상한해수성시(傷寒咳嗽聲嘶)
신기산(神奇散)[1] /  열격(噎膈)반위(反胃)
신선퇴운환(神仙退雲丸) /  예막(翳膜)내장(內障)외장(外障)
안중조기환(安中調氣丸) /  반위(反胃)
양영탕(養榮湯) /  수족불인(手足不仁)불어(不語)풍중혈맥(風中血脈)
영선제통음(靈仙除痛飮) /  역절풍(歷節風)
오음탕(五飮湯) /  유음(留飮)벽음(癖飮)일음(溢飮)
온담탕(溫膽湯) /  허번불수(虛煩不睡)
운림윤신환(雲林潤身丸) /  내상비위증(內傷脾胃證)
월국보화환(越麴保和丸) /  울증(鬱證)
유기음자(流氣飮子) /  기통(氣痛)
육일순기탕(六一順氣湯) /  상한이증(傷寒裏證)
이모영수탕(二母寧嗽湯) /  식적수(食積嗽)
이중활담탕(理中豁痰湯) /  열담(熱痰)
이황환(二黃丸) /  상식(傷食)
인삼양폐탕(人蔘養肺湯) /  폐위(肺痿)
인진부자건강탕(茵蔯附子乾薑湯) /  음황(陰黃)
인진산(茵蔯散) /  황달(黃疸)
인진치자탕(茵蔯梔子湯) /  곡달(穀疸)
저근백피환(樗根白皮丸) /  유정(遺精)
주적환(酒積丸) /  주적(酒積)
죽력기출환(竹瀝枳朮丸) /  담음(痰飮)
중만분소환(中滿分消丸) /  중만(中滿)열창(熱脹)
증미이진탕(增味二陳湯) /  탄산(呑酸)
지부자탕(地膚子湯)[1] /  소변불통(小便不通)
진교당귀탕(秦艽當歸湯) /  항문양통(肛門痒痛)치루(痔瘻)
진교백출환(秦艽白朮丸) /  항문양통(肛門痒痛)
진인화철탕(眞仁化鐵湯) /  현벽(痃癖)징가(癥瘕)
척담탕(滌痰湯) /  담미심규(痰迷心竅)중풍(中風)
천금양비원(千金養脾元) /  반위(反胃)열격(噎膈)
청기화담환(淸氣化痰丸)[2] /  주적(酒積)식적(食積)담음(痰飮)
청몽석환(靑礞石丸) /  식적담수(食積痰嗽)
청신해어탕(淸神解語湯) /  어삽(語澁)중풍(中風)
청심온담탕(淸心溫膽湯) /  전간(癲癎)
청열도담탕(淸熱導痰湯)[1] /  열담(熱痰)
청화활담환(淸火豁痰丸) /  울담(鬱痰)
청훈화담탕(淸暈化痰湯) /  담훈(痰暈)
초두구환(草豆蔲丸) /  심흉통(心胸痛)
추기양혈환(推氣養血丸) /  산후협통(産後脇痛)
추기환(推氣丸) /  대소변불통(大小便不通)
치시기실탕(梔豉枳實湯) /  상한노복발열(傷寒勞復發熱)
치자대황탕(梔子大黃湯) /  주달(酒疸)
치자후박탕(梔子厚朴湯) /  상한번조(傷寒煩躁)
칠물후박탕(七物厚朴湯) /  열창(熱脹)
태화환(太和丸) /  비위허약(脾胃虛弱)
통경탕(通經湯) /  월경불통(月經不通)
파울단(破鬱丹) /  부인애기(婦人촟氣)
파적도음환(破積導飮丸) /  담적(痰積)
팔선고(八仙糕) /  손설(飱泄)
평간순기보중환(平肝順氣保中丸) /  조잡(嘈雜)탄산(呑酸)
평보기출환(平補枳朮丸) /  흉비(胸痞)
향각환(香殼丸)[2] /  식상(食傷)
향릉환(香稜丸) /  오적(五積)육취(六聚)
향사양위탕(香砂養胃湯)[1] /  흉비통(胸痞痛)
향사평위산(香砂平胃散)[1] /  상식(傷食)
화중길경탕(和中桔梗湯) /  구토(嘔吐)상초열(上焦熱)
활신환(活腎丸) /  목신(木腎)
황련소비환(黃連消痞丸) /  흉비통(胸痞痛)
후박기실탕(厚朴枳實湯) /  구설(久泄)
후박탕(厚朴湯)[1] /  대변비결(大便秘結)
후장환(厚腸丸) /  유식적체(乳食積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