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뇌(小腦) / 녹나무

 익생양술에서 "녹나무"로 처방에 사용됨
 동의보감에서 "소뇌(小腦) / 녹나무"로 처방에 사용되었음.
분포 제주도, 남해안 지방 채취기간 겨울
20m 정도 취급요령 햇볕에 말려 쓴다.
생지 산기슭 양지 성미 따뜻하며, 맵다.
분류 상록 활엽 교목 독성여부 없다.
번식 1회사용량 잎ㆍ나무껍질ㆍ씨 6~12g
약효 잎ㆍ나무껍질ㆍ씨 사용범위 해롭지는 않으나 치유되는 대로 중단한다.
어긋나는데 길이 6~10cm, 나비 3~6cm의 달걀꼴 또는 달걀 모양의 타원형이다. 끝이 뾰족하고 밑은 뭉뚝하며 가장자리에 물결 모양의 톱니가 있다. 뒷면은 회록색이지만 어린잎은 붉은빛이 돈다. 표면은 윤기가 나며 질감이 좋고 향기가 있다. 잎자루는 길이 1.5~2.5cm이고 털이 없다.
5월에 양성화가 새 가지의 잎겨드랑이에서 나오는 원추 꽃차례에 달려 피는데 흰색에서 노란색으로 변한다. 꽃덮이 조각은 3개씩 2줄로 배열된다. 4줄로 배열된 12개의 수술이 있는데 안쪽의 수술에는 꽃밥이 없다. 암술은 1개이다.
열매
10월에 지름 8mm쯤의 둥근 핵과가 달려 흑자색으로 익는다.
특징 및 사용
여장(櫲樟)ㆍ장목ㆍ장뇌목(樟腦木)ㆍ 장수(樟樹)라고도 한다. 나무의 지름이 2m에 달한다. 나무껍질은 회갈색 또는 황갈색이다. 작은 가지는 황록색이며 윤기가 나고 털이 없다. 잎을 장수엽(樟樹葉), 열매를 장수자(樟樹子), 나무껍질을 장수피(樟樹皮)라 한다. 녹나무를 수증기로 증류하면 무색 투명하고 광택이 있는 결정체를 얻을 수 있는데 이를 장뇌(樟腦)라 한다. 또한 이때 함께 나오는 황갈색의 액체를 장뇌유(樟腦油)라고 하는데 장뇌와 장뇌유 모두 방부제ㆍ방충제ㆍ방취제ㆍ강심제를 만드는 원료가 된다. 또한 이 나무는 강한 방향(芳香)이 있어 벌레가 먹지 않고 썩지 않으며 보존성이 높다. 예로부터 왕후귀족의 관(棺)을 만드는 재료로 많이 쓰였으며, 특히 사찰의 목어(木魚)를 만드는 데 최고급 목재가 된다. 약으로 쓸 때는 탕으로 하거나 술을 담가 사용한다.
익생양술 효능
주로 신경계ㆍ운동계 질환을 다스리고, 통증에 효험이 있다.
소뇌(小腦) / 녹나무
라틴명 Camphora
약재의 효능 통규(通竅)  (구규(九竅)를 막히지 않게 소통시키는 효능임)
제습(除濕)  (습기(濕氣)를 제거하는 효능임)
거풍(祛風)  (안과 밖, 경락(經絡)및 장부(臟腑) 사이에 머물러 있는 풍사(風邪)를 제거하는 것임)
벽두(辟蠹)  (좀을 피하게 해주는 처방임)
지통(止痛)  (통증(痛症)을 그치게 하는 효능임)
살충(殺蟲)  (기생충을 없애는 효능임)
이관절(利關節)  (관절의 움직임을 편하게 하는 효능임)
이체기(利滯氣)
행기혈(行氣血)  (기(氣)와 혈(血)을 순행시키는 효능임)
흥분방부(興奮防腐)
거습벽악(祛濕辟惡)
작용부위 비(脾) , 심(心) , 위(胃)
성미 신(辛) , 온(溫)
주의사항 임산부는 복용하지 말 것.
독성 The carcinogen safrole occurs in the oil. Toxic doses of camphor taken internally result in convulsions, accompanied by vertigo and mental confusion, and may lead to delirium, and even to coma and death. As little as 700 mg can cause narcosis, 2000 mg inducing dulled senses, hallucinations, cramps, and unconsciousness. There may be intense burning in the stomach accompanied by illness and nausea. Paralysis may follow, finally affecting the respiratory and vasomotor centers 1). Psychological symptoms, convulsion, dilatation of pupil 2). Pregnancy 3) due to its emmenagogue effect and the uterine stimulant activity 4) and fetocidal effects when isolated camphor used 3). On damaged skin 4) due to the rubefacient effect of its monoterpene camphor 3). Use of camphor near the nose of infants or small children 5.6) since its inhalation and absorption in small doses can result in CNS overstimulation and seizures 3).
Proloned use 6) due to potential CNS toxicity from being stored in fat 3).
1) List, P.H. and Horhammer, L., Hager,s Handbuch der Pharmazeutischen Praxis, Vols. 2 to 6, Springer-Verlag, Berlin, 1969-1979.
2) Chang H.M. et al., Advances in chinese medicinal research, world scientific pub. Co., Singapore, 114, 1984.
3) Brinker F. The Toxicology of Botanical Medicines, rev. 2nd ed., Eclectic Medical Pub., Sandy, Ore., 1996.
4) Farnsworth NR et al., J. Pharm.Sci., 64, 535, 1975.
5) De Smet PAGM et al.(eds.). Adverse Effects of Herb Drugs 2, Springer-Verlag, Berlin, 1993.
8) Harper-Shove F. Prescriber and Clinical Repertory of Medicinal Herbs, Health Science Press, Rustington, Sussex, Eng., 1952.
9) McGuffin M. Hobbs C, Upton R, Goldberg A(ed.). Botanical Safety Handbook, CRC Press, Boca Raton, 1997.
약재사용처방 구선영응산(九仙靈應散) /  음위(陰痿)
사향환(麝香丸) /  무자(無子)백대(白帶)부인음랭(婦人陰冷)
황제도용금면방(皇帝塗容金面方) /  면상잡병(面上雜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