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내(三奈) / 닥나무

 익생양술에서 "닥나무"로 처방에 사용됨
 동의보감에서 "삼내(三奈) / 닥나무"로 처방에 사용되었음.
분포 전국 각지 채취기간 9~10월
3m 정도 취급요령 햇볕에 말려 쓴다.
생지 산기슭 양지, 밭둑 성미 차며, 달다.
분류 낙엽 활엽 관목 독성여부 없다.
번식 분주ㆍ씨 1회사용량 4~6g
약효 열매 사용범위 해롭지는 않으나 치유되는 대로 중단한다.
동속약초 꾸지나무ㆍ애기닥나무의 열매
어긋나는데 간혹 마주나기도 한다. 길이 5~20cm의 달걀꼴 또는 길쭉한 달걀꼴인데 끝은 길게 뾰족하고 밑은 둥글다. 가장자리에 날카로운 톱니가 있고 2~3곳은 깊게 패어 들어가 있다. 앞면은 거칠고 뒷면에는 처음에 털이 있다. 잎자루는 1~2cm이고 꼬부라진 털이 있으나 점차 없어진다.
5월에 둥근 꽃차례를 이루며 위쪽의 잎겨드랑이에서 잎과 같이 달려 핀다. 암수한그루이다. 수꽃이삭은 타원형이고 어린 가지 밑 부분에 달리는데 수술은 4개이다. 암꽃이삭은 둥글고 가지 위쪽의 잎겨드랑이에 달리는데 끝이 2~4개로 갈라진 통 모양의 꽃덮이와 대가 있는 씨방에 실 같은 암술대가 있다.
열매
9~10월에 둥근 핵과가 붉은빛으로 달려 익는데 뱀딸기와 비슷하게 생겼다.
특징 및 사용
저상(楮桑)이라고도 한다. 나무껍질은 회갈색이다. 작은 가지에 갈색 또는 자줏빛이 돌며 짧은 털이 촘촘히 나지만 곧 떨어진다. 절단하면 유액이 나온다. 잎을 저엽(楮葉), 껍질을 저백피(楮白皮), 가지를 저경(楮莖)이라 하고 열매를 저실자(楮實子)라 한다. 공업용(제지 원료)ㆍ식용ㆍ약용으로 이용된다. 닥나무는 옛날에는 저포라고 불리는 일종의 피륙을 짜는 데 사용되었고, 제지 원료로 사용되기 시작한 것은 고려 시대 이후인 것으로 믿어진다. 조선 시대에 이르러서는 닥나무를 원료로 하여 종이를 만드는 일이 본격화되었다. 어린잎은 식용한다. 약으로 쓸 때는 탕으로 하거나 환제 또는 산제로 하여 사용하며 술에 담가서도 쓴다.
익생양술 효능
주로 소화기 계통의 질병을 다스린다.
삼내(三奈) / 닥나무 열매
라틴명 Kaempferiae Rhizoma
약재의 효능 행기(行氣)  (기를 잘 돌게 하는 방법을 말함.)
온중(溫中)  (중초(中焦)를 따뜻하게 하는 효능임)
산한(散寒)  (한사(寒邪)를 없애는 효능임)
제습(除濕)  (습기(濕氣)를 제거하는 효능임)
벽예(辟穢)  (일체의 더러운 것들을 몰아내는 효능임)
소식(消食)  (음식을 소화시키는 효능임)
지통(止痛)  (통증(痛症)을 그치게 하는 효능임)
작용부위 위(胃)
성미 신(辛) , 온(溫)
독성 Narcotic hallucinogen 1).
1) Duke, J.A, Handbook of Medicinal Herbs, CRC press, Boca Raton Florida, 259, 1986.
약재사용처방 옥용서시산(玉容西施散) /  풍자(風刺)흑염정(黑靨疔)
육향고(六香膏) /  동창(凍瘡)
홍옥산(紅玉散)[1] /  면상잡병(面上雜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