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성(南星) / 둥근잎천남성

 동의보감에서 "남성(南星) / 둥근잎천남성"로 처방에 사용되었음.
남성(南星) / 둥근잎천남성 괴근
라틴명 Arisaematis Rhizoma
약재의 효능 조습(燥濕)  (고조(苦燥)한 약물로 습사(濕邪)를 제거하는 방법으로 중초습증(中焦濕證)에 적용.)
화담(化痰)  (담(痰)을 삭이는 방법을 말함)
산혈(散血)  (혈(血)을 흩뜨리는 효능임)
거풍(祛風)  (안과 밖, 경락(經絡)및 장부(臟腑) 사이에 머물러 있는 풍사(風邪)를 제거하는 것임)
지경(止痙)  (힘줄이 땅기는 등 경련을 치료하는 효능임)
산결(散結)  (맺힌 것을 푸는 효능임)
소종(消腫)  (옹저(癰疽)나 상처가 부은 것을 가라앉히는 치료법임)
이흉격(利胸膈)  (흉격(胸膈)을 편하게 하는 효능임)
공견적(攻堅積)
치풍산혈(治風散血)
승습제담(勝濕除痰)
작용부위 간(肝) , 비(脾) , 폐(肺)
성미 고신(苦辛) , 온(溫) , 유독(有毒)
주의사항 코르크층을 벗긴 덩이뿌리.
독성 Toxic effects include loss of touch and taste sensations, salivation, ulceration of the mucosa, pharyngeal edema, and in severe cases, loss of the voice. The LD50 in mice is 13.5 g/kg (I.p.).1). Low / toxic class of herbaceous folk medicine.(toxic; active but toxic, cautious/very toxic, at small dose, usually used for emergency case) 2,3).
1) Huang, K.C., The pharmacology of Chinese herbs II, CRC press, 1999.
2) H.K. Do, Shin Rhong Bon Cho Kyung, 452.
3) H.T. Rhu, Hyang Yak Jip Sung Bang, 1431.
약재사용처방 가감도담탕(加減導痰湯) /  중풍불어(中風不語)
가감윤조탕(加減潤燥湯) /  수족탄탄(手足癱瘓)
가미사칠탕(加味四七湯)[1] /  매핵기(梅核氣)기담(氣痰)
가미사칠탕(加味四七湯)[3] /  매핵기(梅核氣)
가미소위단(加味小胃丹) /  담괴(痰塊)
가미윤하환(加味潤下丸) /  열담(熱痰)
갈부산(蝎附散) /  만비풍(慢脾風)
갈사백원자(蝎麝白元子) /  담연옹성(痰涎壅盛)중풍(中風)
강계환(薑桂丸) /  한수(寒嗽)
개결기실환(開結枳實丸) /  기체(氣滯)담음(痰飮)
개결서경탕(開結舒經湯) /  마목(麻木)
개관산(開關散)[2] /  경풍(驚風)
거담화환(祛痰火丸) /  애기(噯氣)
거풍도담탕(祛風導痰湯) /  담연옹성(痰涎壅盛)중풍(中風)
경기원(驚氣元) /  전간(癲癎)
계향산(桂香散)[1] /  이롱(耳聾)
구선탈명단(九仙奪命丹) /  반위(反胃)열식(噎食)
궁신도담탕(芎辛導痰湯) /  담궐두통(痰厥頭痛)
금박진심환(金箔鎭心丸)[1] /  전간(癲癎)정충(怔忡)경계(驚悸)
남성고(南星膏)[2] /  영류(瘿瘤)
남성음(南星飮)[2] /  만경풍(慢驚風)
대나조환(大蘿皂丸) /  담천(痰喘)기천(氣喘)
대성풍탕(大省風湯) /  중풍구안와사(中風口眼喎斜)
도담탕(導痰湯) /  풍담(風痰)
묘두환(猫頭丸) /  나력(瘰癧)마도창(馬刀瘡)
반하금출탕(半夏芩朮湯)[1] /  담음비통(痰飮臂痛)
반하금출탕(半夏芩朮湯)[2] /  비통(臂痛)역절풍(歷節風)
백병자(白餠子) /  적취(積聚)
백부자산(白附子散)[1] /  궐역두통(厥逆頭痛)
백원자(白圓子) /  담수(痰嗽)
백출환(白朮丸) /  습수(濕嗽)
보명단(保命丹) /  급경풍(急驚風)만경풍(慢驚風)
보심환(補心丸) /  심허수전(心虛手戰)
보유화풍단(保幼化風丹) /  급경풍(急驚風)
비룡탈명단(飛龍奪命丹) /  발배(發背)유옹(乳癰)정창(釘瘡)
빙매환(氷梅丸) /  인후폐쇄(咽喉閉鎖)
사보단(四寶丹)[1] /  달벽(疸癖)황달(黃疸)
사보단(四寶丹)[2] /  달벽(疸癖)황달(黃疸)
사보단(四寶丹)[3] /  달벽(疸癖)황달(黃疸)
사보단(四寶丹)[4] /  달벽(疸癖)황달(黃疸)
사호산(四虎散) /  옹저(癰疽)
삼릉화적환(三稜化積丸) /  적취(積聚)
삼생음(三生飮) /  중풍(中風)담연옹성(痰涎壅盛)
삼선환(三仙丸) /  습담(濕痰)
삼성단(三聖丹) /  담수(痰嗽)
상청백부자환(上淸白附子丸) /  담궐두통(痰厥頭痛)목현(目眩)
서죽당화담환(瑞竹堂化痰丸) /  주담(酒痰)
선갈산(蟬蝎散) /  만경풍(慢驚風)
섭생음(攝生飮) /  졸중풍(卒中風)
성반탕(星半湯) /  애기(噯氣)
성반합분환(星半蛤粉丸) /  소변백탁(小便白濁)
성부산(星附散) /  탄탄(癱瘓)중풍(中風)
성풍탕(省風湯) /  졸중풍(卒中風)인사불성(人事不省)
성향산(星香散) /  만경풍(慢驚風)급경풍(急驚風)
성향환(星香丸) /  기수(氣嗽)
소나조환(小蘿皂丸) /  구천(久喘)
소농음(消膿飮) /  폐옹(肺癰)
소아초생구급방(小兒初生救急方)[10] /  초생대변불통(初生大便不通)
소자도담강기탕(蘇子導痰降氣湯) /  담천(痰喘)
소풍순기탕(疏風順氣湯) /  반신불수(半身不遂)중풍(中風)
소풍화담탕(疏風化痰湯) /  나력(瘰癧)
소풍활혈탕(疎風活血湯) /  역절풍(歷節風)
소해산(消解散) /  후균(喉菌)후류(喉瘤)
소화환(消化丸) /  폐위(肺痿)허로(虛勞)
소황환(小黃丸) /  열수(熱嗽)
순기도담탕(順氣導痰湯)[1] /  담음(痰飮)
순기도담탕(順氣導痰湯)[2] /  중풍불어(中風不語)
안신환(安神丸) /  전간(癲癎)경광(驚狂)
양영탕(養榮湯) /  수족불인(手足不仁)불어(不語)풍중혈맥(風中血脈)
어풍단(禦風丹) /  구안와사(口眼喎斜)중풍(中風)반신불수(半身不遂)
여성병자(如聖餠子) /  정두통(正頭痛)
연생단(延生丹) /  만경풍(慢驚風)
연심산(蓮心散)[2] /  노채(勞瘵)
영신도담탕(寧神導痰湯) /  중풍혼도(中風昏倒)
영지화담탕(寧志化痰湯) /  전광(癲狂)
오간환(五癎丸) /  전간(癲癎)
오갈산(烏蝎散) /  만경풍(慢驚風)
옥분환(玉粉丸)[2] /  기담(氣痰)
옥분환(玉粉丸)[3] /  기수(氣嗽)
옥지원(玉芝元) /  담수(痰嗽)
옥호환(玉壺丸) /  담궐두통(痰厥頭痛)
온백환(溫白丸) /  만경풍(慢驚風)
우황정지환(牛黃定志丸) /  중풍(中風)혼모(昏冒)
원지환(遠志丸) /  대경불어(大驚不語)
위약(圍藥) /  옹저(癰疽)
이기거풍산(理氣祛風散) /  중풍구안와사(中風口眼喎斜)
이향환(二香丸) /  호산(狐疝)
익기안신탕(益氣安神湯) /  경계(驚悸)다몽(多夢)
인삼반하환(人蔘半夏丸) /  구천(久喘)
인삼전호탕(人蔘前胡湯) /  담훈(痰暈)
일자경금산(一字輕金散) /  정두통(正頭痛)
자음영신탕(滋陰寧神湯) /  전간(癲癎)
절풍환(截風丸) /  급경풍(急驚風)
정천화담탕(定喘化痰湯) /  담천(痰喘)
정풍병자(定風餠子)[1] /  담궐두통(痰厥頭痛)
정풍병자(定風餠子)[2] /  중풍구안와사(中風口眼喎斜)
주사환(朱砂丸) /  초생토유(初生吐乳)
죽력기출환(竹瀝枳朮丸) /  담음(痰飮)
지성보명단(至聖保命丹) /  만경풍(慢驚風)급경풍(急驚風)
징청음(澄淸飮) /  담수(痰嗽)
창백저피환(蒼柏樗皮丸) /  백대(白帶)
척담탕(滌痰湯) /  중풍(中風)담미심규(痰迷心竅)
천민도담탕(千緡導痰湯) /  담천(痰喘)
천민탕(千緡湯) /  담천(痰喘)
천선고(天仙膏) /  졸중풍(卒中風)구안와사(口眼喎斜)
천향산(天香散) /  두풍(頭風)
철분산(鐵粉散) /  전광(癲狂)
청기화담환(淸氣化痰丸)[2] /  담음(痰飮)주적(酒積)식적(食積)
청담순기탕(淸痰順氣湯) /  중풍구안와사(中風口眼喎斜)
청신해어탕(淸神解語湯) /  중풍(中風)어삽(語澁)
청열도담탕(淸熱導痰湯)[1] /  열담(熱痰)
청열도담탕(淸熱導痰湯)[2] /  중풍(中風)
청화활담환(淸火豁痰丸) /  울담(鬱痰)
청훈화담탕(淸暈化痰湯) /  담훈(痰暈)
추풍산(追風散)[1] /  편두풍(偏頭風)정두풍(正頭風)
치결핵일방(治結核一方)[3] /  흘답(疙瘩)담결(痰結)
치결핵일방(治結核一方)[4] /  결핵(結核)
치나력세부방(治瘰癧洗敷方) /  나력(瘰癧)
치달벽일방(治疸癖一方)[1] /  달벽(疸癖)
치황달애끽다엽일방(治黃疸愛喫茶葉一方) /  담벽(痰癖)
치황달애끽잡물일방(治黃疸愛喫雜物一方) /  담벽(痰癖)
치흘탑일방(治疙瘩一方)[1] /  담핵흘답(痰核疙瘩)
치흘탑일방(治疙瘩一方)[2] /  담핵흘답(痰核疙瘩)
칠생환(七生丸) /  두풍(頭風)
침수고(沈水膏) /  옹저(癰疽)발배(發背)
침향반하탕(沈香半夏湯) /  중풍(中風)
통관산(通關散)[3] /  졸중풍(卒中風)
통천유풍탕(通天愈風湯) /  구안와사(口眼喎斜)유연(流涎)
팔선산(八仙散) /  만경풍(慢驚風)
패모고(貝母膏) /  악창(惡瘡)
해어환(解語丸) /  중풍(中風)어삽(語澁)
화담청화탕(化痰淸火湯) /  조잡(嘈雜)
활락단(活絡丹) /  근맥구련(筋脈拘攣)통풍(痛風)
활신환(活腎丸) /  목신(木腎)
황금이격환(黃芩利膈丸) /  열담(熱痰)
회생양위단(回生養胃丹) /  반위(反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