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매육(烏梅肉) / 매실나무

 익생양술에서 "매실나무"로 처방에 사용됨
 동의보감에서 "오매육(烏梅肉) / 매실나무"로 처방에 사용되었음.
분포 황해도 이남 채취기간 6월
5m 정도 취급요령 날것 또는 소금에 절이거나 불에 말려 쓴다.
생지 마을 부근 식재 성미 따뜻하며, 시다.
분류 상록 활엽 소교목 독성여부 없다.
번식 접목ㆍ씨 1회사용량 열매 5~10개
약효 열매 사용범위 오래 써도 무방하다.
동속약초 흰매실ㆍ만첩흰매화ㆍ만첩홍매화
어긋나는데 길이 4~10cm의 달걀꼴 또는 넓은 달걀꼴로서 끝이 뾰족하고 밑은 뭉뚝하며 가장자리에 날카로운 잔톱니가 있다. 양면에 털이 나며 잎자루에 선이 있다.
4월에 잎보다 먼저 연한 홍색이 도는 흰빛으로 가지에 1~2개씩 달려 피는데 꽃자루는 없고 향기가 강하다. 꽃잎은 5개인 것이 기본형이지만 그 이상인 것도 있다. 꽃잎은 거꿀달걀꼴이며 털이 없고 꽃받침 조각은 둥글다. 수술은 많은데 꽃잎보다 짧다.
열매
7월에 지름 2~3cm 정도인 녹색의 둥근 핵과가 달려 황색으로 익는데 이것을 매실이라 한다. 겉에 비단털이 촘촘히 나고 맛은 매우 시다. 살구와 비슷하게 생겨 혼동하기 쉽다.
특징 및 사용
매화ㆍ매화나무ㆍ일지춘(一枝春)ㆍ군자향(君子香)이라고도 한다. 예로부터 난초ㆍ국화ㆍ대나무와 더불어 4군자의 하나로 유명하다. 매실나무는 흰 꽃이 피는 것을 기본형으로 삼고 있으나 분홍 꽃이 피는 것과 구별하기 위하여 흰매화(흰매실)라 부르며 분홍 꽃이 피는 것은 분홍매화(분홍매실), 꽃잎이 5개보다 많은 것은 많첩흰매화(많첩흰매실)ㆍ많첩분홍매화(많첩분홍매실) 등으로 구분하고 있다. 여기에서 많첩은 겹꽃을 뜻한다. 관상용ㆍ식용ㆍ약용으로 이용된다. 뿌리는 매근(梅根), 가지는 매지(梅枝), 잎은 매엽(梅葉), 씨는 매인(梅仁)이라 하여 예로부터 약용하였다. 약효의 핵심인 열매는 식용 또는 약용하는데 식용 방법은 매우 다양하며 약으로 쓸 때는 탕으로 하거나 술을 담가 사용한다. 매실주는 열매가 완전히 익기 전에 따서 담근다. 열매를 말려서 쓸 때 황색으로 익기 전에 따서 소금에 절였다가 햇볕에 말린 것을 백매(白梅), 소금에 절이지 않고 볏짚을 태워 연기를 쐬면서 말린 것을 오매(烏梅)라 하여 예로부터 약으로 썼다. 그러나 집에서 간편하게 말려 두고 사용할 때는 푸른 열매를 따서 섭씨 40~45도의 열에 건조시키면 된다. 다만 위산과다인 경우에는 복용을 금한다.
익생양술 효능
주로 소화기 질환을 다스리고, 건위제로 효험이 있다.
오매육(烏梅肉) / 매실
라틴명 Mume Fructus Praeparatum
약재의 효능 염폐(斂肺)  (폐(肺)의 기운을 수렴하여 기침등을 멈추는 효능임)
삽장(澁腸)  (설사를 그치게 하는 효능임)
생진(生津)  (진액을 자양하는 약물을 사용하여 고열 등의 원인으로 인한 진액 손상을 치료하는 방법.)
지갈(止渴)  (갈증을 그치게하는 효능임)
소종(消腫)  (옹저(癰疽)나 상처가 부은 것을 가라앉히는 치료법임)
하기(下氣)  (인체 하부의 기(氣)를 말함.)
조중(調中)  (중초(中焦)를 조화롭게 하는 효능임)
정심(定心)  (마음을 안정시키는 효능임)
안면(安眠)  (편히 잠을 잘 수 있게 하는 효능임)
안회(安蛔)
지해(止咳)  (기침을 그치게 하는 효능임)
제열(除熱)  (열(熱)을 제거하는 효능임)
용담(涌痰)  (담(痰)을 뱉아내게 하는 효능임)
성주(醒酒)  (술을 깨는 효능임)
거비(去痺)  (비(痺)를 제거하는 효능임)
구충(驅蟲)  (기생충을 없애는 약물을 써서 인체 내부의 기생충병을 치료하는 효능임)
해독(解毒)  (독성(毒性)을 풀어주는 효능임)
지혈(止血)  (출혈(出血)을 그치게 하는 효능임)
이근맥(利筋脈)  (근맥(筋脈)을 이롭게 하는 효능임)
거악육(去惡肉)  (악육(惡肉)을 제거하는 효능임)
염폐삽장(斂肺澁腸)  (염폐(斂肺)하고 설사를 멎게 하는 효능임)
용담소종(涌痰消腫)  (담(痰)을 뱉아내게 하고 종기를 없애는 효능임)
작용부위 간(肝) , 대장(大腸) , 비(脾) , 폐(肺)
성미 산(酸) , 삽(澁) , 평(平)
주의사항 훈증한 미숙과. 복용 중 돼지고기를 먹지 말 것.
독성 Mild; active, but toxicity appears very mild unless used for long time 1,2).
1) H.K. Do, Shin Rhong Bon Cho Kyung, 452.
2) H.T. Rhu, Hyang Yak Jip Sung Bang, 1431.
약재사용처방 가미상청환(加味上淸丸) /  해수(咳嗽)실음(失音)
관음원(觀音元) /  장학(瘴瘧)
괴화산(槐花散)[1] /  변혈(便血)하혈(下血)
백출안위단(白朮安胃丹) /  설리(泄痢)농혈리(膿血痢)
비방화체환(秘方化滯丸) /  징벽(癥癖)적취(積聚)
상산음(常山飮) /  노학(勞瘧)
석영산(石英散) /  석가(石瘕)
소적환(消積丸) /  기급(氣急)복창(腹脹)유식적체(乳食積滯)
소청비탕(小淸脾湯) /  위학(胃瘧)
신기산(神奇散)[1] /  반위(反胃)열격(噎膈)
신효환(神效丸) /  휴식리(休息痢)
양위단(養胃丹) /  구학(久瘧)
여지고(荔枝膏) /  소갈(消渴)
연담환(連膽丸) /  오감(五疳)
오로원(五勞元) /  노학(勞瘧)장학(瘴瘧)
오매육(烏梅肉) /  작반(雀斑)흑지(黑痣)
오매환(烏梅丸)[2] /  열리(熱痢)
오즙옥천환(五汁玉泉丸) /  소갈(消渴)
옥쇄단(玉鎖丹) /  탈정(脫精)유정(遺精)
요격탕(撩膈湯) /  상한대결흉(傷寒大結胸)
윤폐제수음(潤肺除嗽飮) /  구수(久嗽)
이감탕(二甘湯) /  자한(自汗)
자침환(紫沈丸) /  열격(噎膈)
제호탕(醍湖湯) /  서열번갈(暑熱煩渴)
주적환(酒積丸) /  주적(酒積)
축비음(縮脾飮) /  중서(中暑)
치설리일방(治泄痢一方) /  설리(泄痢)
탁열산(濯熱散) /  서열번갈(暑熱煩渴)
평폐산(平肺散) /  담천(痰喘)
행소음(杏蘇飮) /  기천(氣喘)
향박음자(香朴飮子) /  상서토사(傷暑吐瀉)
황제도용금면방(皇帝塗容金面方) /  면상잡병(面上雜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