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련자(川楝子) / 멀구슬나무

 익생양술에서 "멀구슬나무"로 처방에 사용됨
 동의보감에서 "천련자(川楝子) / 멀구슬나무"로 처방에 사용되었음.
분포 남부 지방 채취기간 연중
15m 정도 취급요령 햇볕에 말려 쓴다.
생지 마을 부근 식재 성미 차며, 쓰다.
분류 낙엽 활엽 교목 독성여부 없다.
번식 분주ㆍ씨 1회사용량 3~5g
약효 뿌리ㆍ나무껍질ㆍ씨 사용범위 치유되는 대로 중단한다.
동속약초 당멀구슬나무의 뿌리ㆍ나무껍질
어긋나고 길이 80cm 정도의 홀수 2~3회 깃꼴겹잎이다. 잎자루는 길고 밑 부분이 굵다. 작은 잎은 길이 2~5cm의 달걀꼴 또는 타원형으로서 양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가 패어 들어갔거나 톱니가 있다. 앞면에는 털이 없고 뒷면에는 털이 있으나 점차 없어진다.
5월에 원추 꽃차례를 이루며 연한 자주색의 작은 꽃이 가지 끝과 잎겨드랑이에 달려 핀다. 꽃잎과 꽃받침 조각은 각각 5개씩이다. 수술은 10개인데 합쳐져서 통 모양이 되며 자줏빛을 띤다. 씨방은 대개 5실이며 각각 2개의 암술대가 있다.
열매
9월에 넓은 타원형의 핵과가 달려 노란색으로 익는데 겨울에도 달려 있다.
특징 및 사용
구주목이라고도 한다. 나무껍질은 어두운 갈색이고 잘게 갈라지며 굵은 가지가 사방으로 퍼진다. 어린가지에는 별 모양의 털이 있다. 잎을 고련엽(苦楝葉), 열매를 고련자(苦楝子)라 한다. 공업용ㆍ관상용ㆍ약용으로 이용된다. 약으로 쓸 때는 탕으로 하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사용한다.
익생양술 효능
주로 창독을 다스리며, 통증에도 효험이 있다.
천련자(川楝子) / 멀구슬나무 열매
라틴명 Toosendan Fructus
약재의 효능 설간화(泄肝火)  (간화(肝火)가 울결된 것을 배출시키는 효능임)
청습열(淸濕熱)  (습열의 사기가 침입하였을때 열기를 식히면서 소변을 통해 습사를 빼내는 효능임)
이소변(利小便)  (소변을 잘 나오게 하는 효능임)
살삼충(殺三蟲)  (회충(蛔蟲)과 같은 기생충을 없애는 효능임)
행기지통(行氣止痛)  (기(氣)를 소통시켜 통증을 멎게 하는 효능임)
작용부위 간(肝) , 방광(膀胱) , 소장(小腸)
성미 고(苦) , 유독(小毒) , 한(寒)
약전기재 한국생약규격집
주의사항 비위허한자(脾胃虛寒者)는 복용하지 말 것.
약재사용처방 가감향령산(加減香苓散) /  음란편추(陰卵偏墜)
가미오령산(加味五苓散)[2] /  한산(寒疝)
가미통심음(加味通心飮) /  퇴산(㿉疝)
구명통심산(救命通心散) /  퇴산(㿉疝)
구미안신환(九味安腎丸)[1] /  신허요통(腎虛腰痛)목현(目眩)이롱(耳聾)
귤핵환(橘核丸) /  난종(卵腫)퇴산(㿉疝)
금령산(金鈴散) /  방광기(膀胱氣)퇴산(㿉疝)
당귀사역탕(當歸四逆湯)[1] /  한산(寒疝)
마린화환(馬藺花丸) /  퇴산(㿉疝)음란편추(陰卵偏墜)
목통산(木通散) /  기울협통(氣鬱脇痛)
분돈환(奔豚丸) /  신적(腎積)
사초고진단(四炒固眞丹) /  소변백탁(小便白濁)
세감탕(洗疳湯) /  하감창(下疳瘡)
소안신환(小安腎丸) /  신허요통(腎虛腰痛)이명(耳鳴)
속효산(速效散)[2] /  식적요통(食積腰痛)
수유내소환(茱萸內消丸) /  퇴산(㿉疝)한산(寒疝)
일념금원(一捻金元) /  부인음정(婦人陰挺)
적출원(赤朮元) /  부골저(附骨疽)
주자당귀환(酒煮當歸丸) /  백대(白帶)
창출난명단(蒼朮難名丹) /  임력(淋瀝)소변혼탁(小便混濁)
천련산(川練散) /  분돈(奔豚)목신(木腎)
천련자(川練子) /  산기(疝氣)
천태오약산(天臺烏藥散) /  퇴산(㿉疝)
칠성환(七聖丸)[2] /  유식적체(乳食積滯)
탕산환(蕩疝丸) /  기산(氣疝)
호로파원(胡蘆巴元) /  분돈산(奔豚疝)
회향연실환(茴香楝實丸) /  가취(瘕聚)칠산(七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