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하국(半夏麴) / 반하

 익생양술에서 "반하"로 처방에 사용됨
 동의보감에서 "반하국(半夏麴) / 반하"로 처방에 사용되었음.
분포 전국 각지 채취기간 7~9월
20~40cm 취급요령 햇볕에 말려 쓴다.
생지 밭, 습지 성미 따뜻하며, 맵다.
분류 여러해살이풀 독성여부 있다.
번식 분주ㆍ씨 1회사용량 알줄기 4~6g
약효 알줄기 사용범위 많이 쓰지 않는 것이 좋다.
알줄기에서 길이 10~20cm의 긴 잎자루에 달린 겹잎이 1~2개 나오는데 3개의 작은 잎으로 구성되어 있다. 길이 3~12cm, 나비 1~5cm인 작은 잎은 달걀꼴, 달걀을 닮은 타원형, 긴 타원형, 선 모양의 댓잎피침형 등 모양에 변화가 많은데 양 끝이 좁으며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양면에 털은 없다. 작은 잎에는 잎자루가 거의 없다.
6월에 뿌리(잎줄기)에서 솟은 꽃줄기 끝에 엷은 황백색 꽃이 육수 꽃차례를 이루며 달려 핀다. 꽃턱잎은 녹색이며 길이 6~7cm이고 겉에 털이 없으나 안쪽에 털이 있다. 암꽃은 꽃차례의 밑 부분에 달려 꽃턱잎과 완전히 붙는다. 약간 떨어진 위쪽에는 수꽃이 1cm 정도의 길이에 붙어 달리고 끝이 길게 자라 비스듬히 선다.
열매
7~8월에 녹색의 장과가 달려 익는데 가늘고 작다.
특징 및 사용
끼무릇ㆍ법반하ㆍ소천남성이라고도 한다. 반 여름에 싹이 나와 꽃이 핀다고 하여 반하라는 이름이 붙었다. 땅 속에 있는 알줄기는 둥글며 지름이 1cm 정도인데 여러 개의 긴 실뿌리를 낸다. 잎자루의 밑 부분 안쪽이나 때로는 위 끝에 작은 살눈이 1개씩 생겼다가 떨어져 번식한다. 하늘의 닭인 꿩이 반하를 캐 오라는 천제(天帝)의 명을 받고 지상에 내려와 반하를 캐서 먹어 보고는 하도 맛이 좋아 계속 캐 먹으며 하늘로 올라갈 생각을 않자, 화가 난 천제가 천둥 번개로 호령하여 돌아오기를 재촉하니, 꿩이 ‘반하를 캐거든 가지고 올라가겠다’며 ‘캐거덩 캐거덩’ 하고 하소연했다는 이야기가 전해질 정도로 꿩이 제일 좋아하는 풀로 알려져 있다. 알줄기에 독성이 있으나 약재로 이용된다. 약으로 쓸 때는 탕으로 하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사용하며, 술을 담가서도 쓴다. 생강과 함께 쓰면 더욱 효과적이다.
반하국(半夏麴) / 반하국
라틴명 Pinelliae Rhizoma Fermentata
약재의 효능 소식(消食)  (음식을 소화시키는 효능임)
화체(化滯)  (정체된 것을 풀어주는 효능임)
개울(開鬱)  (막힌 것을 열어주는 효능임)
조습(燥濕)  (고조(苦燥)한 약물로 습사(濕邪)를 제거하는 방법으로 중초습증(中焦濕證)에 적용.)
화담(化痰)  (담(痰)을 삭이는 방법을 말함)
지해(止咳)  (기침을 그치게 하는 효능임)
작용부위 위(胃) , 폐(肺)
성미 고신(苦辛) , 온(溫)
약전기재 중국약전
주의사항 반하를 생강즙, 소맥분과 섞어 띄워서 그독성을 경감시킴.
독성 Low / toxic class of herbaceous folk medicine.(toxic; active but toxic, cautious/very toxic, at small dose, usually used for emergency case) 1,2).
1) H.K. Do, Shin Rhong Bon Cho Kyung, 452.
2) H.T. Rhu, Hyang Yak Jip Sung Bang, 1431.
약재사용처방 가미불환금정기산(加味不換金正氣散) /  옹저(癰疽)
가미인삼자완산(加味人蔘紫菀散) /  노수(勞嗽)
강출탕(薑朮湯) /  정충(怔忡)
겁로산(劫勞散) /  노수(勞嗽)폐위(肺痿)
과루환(瓜蔞丸) /  식적수(食積嗽)
궁궁산(芎藭散)[1] /  풍훈(風暈)간허두훈(肝虛頭暈)
기실소비환(枳實消痞丸) /  흉비통(胸痞痛)
대이향산(大異香散) /  곡창(穀脹)기창(氣脹)
두구귤홍산(豆蔲橘紅散) /  식상(食傷)
마황백출탕(麻黃白朮湯) /  풍학(風瘧)
목향반하환(木香半夏丸) /  체이(滯頤)
목향빈랑환(木香檳榔丸)[4] /  기창(氣脹)곡창(穀脹)
반하국(半夏麴) /  습담(濕痰)담화(痰火)노담(老痰)풍담(風痰)
보심환(補心丸) /  심허수전(心虛手戰)
복령조혈탕(茯苓調血湯) /  요혈(尿血)
분기음(分氣飮) /  천급(喘急)수종(水腫)
비방화체환(秘方化滯丸) /  적취(積聚)징벽(癥癖)
비전강기탕(秘傳降氣湯) /  기역(氣逆)
삼기탕(蔘芪湯)[2] /  도한(盜汗)
삼습탕(渗濕湯)[2] /  한습(寒濕)
생위단(生胃丹) /  불사식(不思食)비위허약(脾胃虛弱)
선복화탕(旋覆花湯) /  산후천급(産後喘急)
소자강기탕(蘇子降氣湯) /  상기천급(上氣喘急)
소핵환(消核丸) /  경항결핵(頸項結核)
안위산(安胃散) /  불사식(不思食)내상비위증(內傷脾胃證)
양심탕(養心湯) /  경계(驚悸)소수(少睡)
영양각산(羚羊角散)[1] /  녹풍내장(綠風內障)
옥지원(玉芝元) /  담수(痰嗽)
온비단(溫脾丹) /  체이(滯頤)
온위탕(溫胃湯)[3] /  한창(寒脹)
온해산(溫解散) /  누창(瘻瘡)감루(疳瘻)
응신음자(凝神飮子) /  노채(勞瘵)
이국원(二麴元) /  내상비위증(內傷脾胃證)불사식(不思食)
이향산(二香散)[2] /  옹저(癰疽)
인삼산(人蔘散)[3] /  담수(痰嗽)
인삼전호탕(人蔘前胡湯) /  담훈(痰暈)
인삼정천탕(人蔘定喘湯) /  풍한천(風寒喘)
인삼청기산(人蔘淸肌散) /  골증(骨蒸)무한(無汗)
인삼평보탕(人蔘平補湯) /  신허(腎虛)
자비환(滋脾丸) /  식상(食傷)
자침환(紫沈丸) /  열격(噎膈)
적담환(敵痰丸) /  담음(痰飮)
주적환(酒積丸) /  주적(酒積)
천금지미환(千金指迷丸) /  담음(痰飮)
청금탕(淸金湯) /  기천(氣喘)
치오심열일방(治五心熱一方) /  오심번열(五心煩熱)
침향마비산(沈香磨脾散) /  한복통(寒腹痛)
통치성음약일방(通治聲音藥一方) /  성아(聲啞)건해(乾咳)건수(乾嗽)
팔선산(八仙散) /  만경풍(慢驚風)
화중길경탕(和中桔梗湯) /  상초열(上焦熱)구토(嘔吐)
황과루환(黃瓜蔞丸) /  식적담수(食積痰嗽)
후박탕(厚朴湯)[1] /  대변비결(大便秘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