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미(糯米) / 벼

 익생양술에서 "벼"로 처방에 사용됨
 동의보감에서 "나미(糯米) / 벼"로 처방에 사용되었음.
분포 전국 각지 채취기간 7~10월
50~100cm 취급요령 햇볕에 말려 도정한다.
생지 논과 밭에 재배 성미 따뜻하며, 달다.
분류 한해살이풀 독성여부 없다.
번식 1회사용량 볏짚 5~8g
약효 볏짚 사용범위 치유되는 대로 중단한다.
어긋나며 길이 30cm, 나비 3~5mm로서 전체적으로 좁고 긴 선형인데 끝이 뾰족하고 평행맥이 있으며 표면과 가장자리가 거칠다. 잎은 줄기의 밑에서부터 위로 올라가면서 마디마다 1장씩 나오는데 보통 12~21장의 잎이 나오지만 새로운 잎이 증가함에 따라 늙은 잎은 차차 말라 죽는다. 맨 위에서부터 2~4번째 잎이 가장 크다. 잎은 잎집ㆍ잎몸ㆍ잎혀ㆍ잎귀로 구성되어 있는데 잎집은 줄기를 둘러싸서 보호하고, 잎몸은 광합성 작용을 하며, 잎혀는 줄기와 잎몸 사이를 밀폐하는 구실을 하고, 잎귀는 잎몸이 줄기에서 떨어지지 않게 줄기를 감싼다.
7~8월에 줄기의 끝에서 나온 이삭 위에 희고 작은 꽃들이 원추 꽃차례를 이루며 달려 핀다. 꽃이삭은 꽃이 필 때는 곧게 서지만 벼가 익을 때는 밑으로 처지는데 많은 작은 이삭들이 이삭 가지에 어긋나게 달린다. 벼꽃을 영화(穎花)라 하며 6개의 수술과 1개의 암술로 되어 있다.
열매
9~10월에 긴 타원형의 영과가 달려 익는다. 이 열매를 벼라고 한다. 벼의 씨는 현미(玄米)와 이를 둘러싸고 있는 껍질, 즉 왕겨로 구성되어 있다.
특징 및 사용
나록(羅祿)이라고도 한다. 줄기는 속이 비어 있고 12~18개의 마디가 있는데 위쪽에 있는 마디 4~5개가 길고 그 밑의 마디는 줄기의 밑 부분에 밀집되어 있다. 마디의 표면은 볼록하며 잎은 이 부분에서 나온다. 마디 사이는 원통형이고 위쪽 부분을 제외하고는 잎집에 둘러싸여 있다. 열매인 벼의 껍질을 벗긴 것이 쌀인데 우리가 매일 먹는 주식이다. 공업용ㆍ식용으로 널리 이용된다. 벼에서 얻어지는 것은 나락과 볏짚인데 나락은 도정하여 쌀과 왕겨ㆍ쌀겨로 나누어진다. 쌀은 밥을 짓는 데 주로 쓰이고 술ㆍ떡ㆍ과자ㆍ엿 등의 원료로 이용된다. 볏짚과 왕겨는 연료와 퇴비로 많이 쓰이나 특히 볏짚은 가마니ㆍ새끼 등의 짚 세공용으로 쓰이며 예전에는 초가집의 지붕을 덮는 데 이용되었다. 또 쌀겨는 기름을 짜거나 사료ㆍ비료ㆍ약용 등으로 많이 쓰인다. 약으로 쓸 때는 주로 탕으로 하여 사용한다.
나미(糯米) / 찹쌀
라틴명 Oryzae Semen
약재의 효능 온중(溫中)  (중초(中焦)를 따뜻하게 하는 효능임)
익기(益氣)
행혈(行血)  (치법의 하나. 혈액순환을 촉진하는 방법으로서, 주로 어혈증(瘀血證)에 적용함.)
보비폐(補脾肺)  (비폐(脾肺)를 보하는 효능임)
난위장(暖胃臟)  (온위산한(溫胃散寒)이라고도 하며 위(胃)를 따뜻하게 한다는 뜻으로 쓰이는 말임.)
고태원(固胎元)  (자궁을 튼튼하게 하는 효능임)
견대변(堅大便)  (대변(大便)을 굳게 하는 효능임)
축소변(縮小便)  (소변이 너무 잦을때 하초의 기운을 공고히 하여 이를 다스리는 효능임)
발두창(發痘瘡)  (두창(痘瘡)이 체표(體表)로 배출되도록 하는 효능임)
행영위중혈적(行營衛中血積)  (영분(營分)과 위분(衛分)에 쌓인 혈적(血積)을 소통시켜 없애는 효능임)
작용부위 비(脾) , 위(胃) , 폐(肺)
성미 감(甘) , 온(溫)
독성 Mild; active, but toxicity appears very mild unless used for long time 1,2).
1) H.K. Do, Shin Rhong Bon Cho Kyung, 452.
2) H.T. Rhu, Hyang Yak Jip Sung Bang, 1431.
약재사용처방 거수고(去水膏) /  옹저(癰疽)
거흑염자방(去黑쵡子方) /  흑지(黑痣)
나미(糯米)[1] /  비병(脾病)
나미(糯米)[2] /  설사(泄瀉)
나미(糯米)[3] /  곽란번갈(霍亂煩渴)
나미(糯米)[4] /  소갈(消渴)
나미고(糯米膏)[1] /  발배(發背)옹저(癰疽)악창(惡瘡)
나미고(糯米膏)[2] /  근단(筋斷)골절(骨折)타박상(打撲傷)
내소산(來甦散) /  난산(難産)인사불성(人事不省)
도화탕(桃花湯) /  상한소음병(傷寒少陰病)농혈리(膿血痢)
매화탕(梅花湯) /  소갈(消渴)
백설고(白雪糕) /  비위허한(脾胃虛寒)
백화사주법(白花蛇酒法) /  백라창(白癩瘡)
보령단(保靈丹) /  약독(藥毒)고독(蠱毒)
보원탕(保元湯)[4] /  두창(痘瘡)
보원탕(保元湯)[6] /  두창(痘瘡)
보원탕(保元湯)[7] /  두창(痘瘡)
보폐산(補肺散) /  폐기상역(肺氣上逆)
비전삼선고(秘傳三仙糕)[1] /  비위허약(脾胃虛弱)
생지황죽(生地黃粥) /  태루(胎漏)
신공산(神功散) /  두출과밀(痘出過密)
안영탕(安榮湯) /  반산(半産)
안태산(安胎散)[1] /  하혈(下血)태동불안(胎動不安)
양원산(養元散) /  허설(虛泄)
연심산(蓮心散)[1] /  노심토혈(勞心吐血)
옥용산(玉容散) /  면상잡병(面上雜病)
옥천산(玉泉散) /  소갈(消渴)
입효방(立效方) /  유즙불행(乳汁不行)
자초목통탕(紫草木通湯) /  두창요삽(痘瘡尿澁)
저강환(杵糠丸) /  오격(五膈)
제음단(濟陰丹) /  무사(無嗣)
조태산(罩胎散)[2] /  임신두창(妊娠痘瘡)
천진원(天眞元) /  비신구허(脾腎俱虛)
체침환(替鍼丸)[1] /  옹저(癰疽)
총죽(蔥粥) /  태동불안(胎動不安)
취지병약(取痣餠藥) /  흑지(黑痣)
치두불기창우방(治痘不起脹又方)[6] /  두진불기창(痘疹不起脹)
팔선고(八仙糕) /  손설(飱泄)
해금육중독일방(解禽肉中毒一方)[1] /  아압육중독(鵝鴨肉中毒)
해반묘원청독방(解斑猫芫靑毒方) /  반묘원청독(斑猫芫靑毒)
화제추도산(和劑抽刀散) /  한적복통(寒積腹痛)