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창미(陳倉米) / 벼

 익생양술에서 "벼"로 처방에 사용됨
 동의보감에서 "진창미(陳倉米) / 벼"로 처방에 사용되었음.
분포 전국 각지 채취기간 7~10월
50~100cm 취급요령 햇볕에 말려 도정한다.
생지 논과 밭에 재배 성미 따뜻하며, 달다.
분류 한해살이풀 독성여부 없다.
번식 1회사용량 볏짚 5~8g
약효 볏짚 사용범위 치유되는 대로 중단한다.
어긋나며 길이 30cm, 나비 3~5mm로서 전체적으로 좁고 긴 선형인데 끝이 뾰족하고 평행맥이 있으며 표면과 가장자리가 거칠다. 잎은 줄기의 밑에서부터 위로 올라가면서 마디마다 1장씩 나오는데 보통 12~21장의 잎이 나오지만 새로운 잎이 증가함에 따라 늙은 잎은 차차 말라 죽는다. 맨 위에서부터 2~4번째 잎이 가장 크다. 잎은 잎집ㆍ잎몸ㆍ잎혀ㆍ잎귀로 구성되어 있는데 잎집은 줄기를 둘러싸서 보호하고, 잎몸은 광합성 작용을 하며, 잎혀는 줄기와 잎몸 사이를 밀폐하는 구실을 하고, 잎귀는 잎몸이 줄기에서 떨어지지 않게 줄기를 감싼다.
7~8월에 줄기의 끝에서 나온 이삭 위에 희고 작은 꽃들이 원추 꽃차례를 이루며 달려 핀다. 꽃이삭은 꽃이 필 때는 곧게 서지만 벼가 익을 때는 밑으로 처지는데 많은 작은 이삭들이 이삭 가지에 어긋나게 달린다. 벼꽃을 영화(穎花)라 하며 6개의 수술과 1개의 암술로 되어 있다.
열매
9~10월에 긴 타원형의 영과가 달려 익는다. 이 열매를 벼라고 한다. 벼의 씨는 현미(玄米)와 이를 둘러싸고 있는 껍질, 즉 왕겨로 구성되어 있다.
특징 및 사용
나록(羅祿)이라고도 한다. 줄기는 속이 비어 있고 12~18개의 마디가 있는데 위쪽에 있는 마디 4~5개가 길고 그 밑의 마디는 줄기의 밑 부분에 밀집되어 있다. 마디의 표면은 볼록하며 잎은 이 부분에서 나온다. 마디 사이는 원통형이고 위쪽 부분을 제외하고는 잎집에 둘러싸여 있다. 열매인 벼의 껍질을 벗긴 것이 쌀인데 우리가 매일 먹는 주식이다. 공업용ㆍ식용으로 널리 이용된다. 벼에서 얻어지는 것은 나락과 볏짚인데 나락은 도정하여 쌀과 왕겨ㆍ쌀겨로 나누어진다. 쌀은 밥을 짓는 데 주로 쓰이고 술ㆍ떡ㆍ과자ㆍ엿 등의 원료로 이용된다. 볏짚과 왕겨는 연료와 퇴비로 많이 쓰이나 특히 볏짚은 가마니ㆍ새끼 등의 짚 세공용으로 쓰이며 예전에는 초가집의 지붕을 덮는 데 이용되었다. 또 쌀겨는 기름을 짜거나 사료ㆍ비료ㆍ약용 등으로 많이 쓰인다. 약으로 쓸 때는 주로 탕으로 하여 사용한다.
진창미(陳倉米) / 묵은 쌀
라틴명 Arida Oryza Distillata
약재의 효능 보중(補中)  (비위(脾胃)를 보(補)하는 효능임.)
익기(益氣)
양위(養胃)  (위(胃)가 마르고 진액(津液)이 상한 것과 위음(胃陰)이 부족하여 위부작통(胃部灼痛), 위중불서(胃中不舒), 이기(易饑), 대변조결(大便燥結) 등의 증상이 나타났을 때 위음(胃陰)을 청양(淸養)시키는 방법임)
지갈(止渴)  (갈증을 그치게하는 효능임)
삼습제번(渗濕除煩)  (습사(濕邪)를 완만하게 소변으로 빼내고 번조(煩燥)를 없애는 효능임)
관중(寬中)  (속을 편안하게 하는 효능임)
하기(下氣)  (인체 하부의 기(氣)를 말함.)
난비(暖脾)  (비(脾)를 따뜻하게 하는 효능임)
삽장(澁腸)  (설사를 그치게 하는 효능임)
제열(除熱)  (열(熱)을 제거하는 효능임)
통혈맥(通血脈)  (혈맥이 잘 흐르게 하는 효능임)
진식(進食)  (식욕이 좋아져서 지난날보다 음식을 더 먹는 것을 뜻하는 용어임.)
소식(消食)  (음식을 소화시키는 효능임)
견근골(堅筋骨)  (근육과 뼈를 견고하게 하는 효능임)
이소변(利小便)  (소변을 잘 나오게 하는 효능임)
기양도(起陽道)  (기혈(氣血)이 체표(體表)로 퍼져 생리기능이 원활하도록 하는 음양(陰陽)의 양적(陽的)인 작용을 원활하게 하는 효능임)
작용부위 비(脾) , 심(心) , 위(胃)
성미 감담(甘淡) , 평(平)
주의사항 쪄서 말리거나 볶은 쌀
독성 Mild; active, but toxicity appears very mild unless used for long time 1,2).
1) H.K. Do, Shin Rhong Bon Cho Kyung, 452.
2) H.T. Rhu, Hyang Yak Jip Sung Bang, 1431.
약재사용처방 마적원(磨積元)[2] /  다적(茶積)
비화음(比和飮) /  구토(嘔吐)
창름탕(倉廩湯) /  금구리(噤口痢)
체침환(替鍼丸)[2] /  옹저(癰疽)
태창환(太倉丸) /  열격(噎膈)반위(反胃)
향각환(香殼丸)[2] /  식상(食傷)
화중음(和中飮) /  적백리(赤白痢)구리(久痢)
황미환(黃米丸) /  수종(水腫)