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배자(五倍子) / 붉나무

 익생양술에서 "붉나무"로 처방에 사용됨
 동의보감에서 "오배자(五倍子) / 붉나무"로 처방에 사용되었음.
분포 전국 각지 채취기간 10월(열매 성숙기)
3m 정도 취급요령 햇볕에 말려 쓴다.
생지 산지, 들 성미 서늘하며, 시다.
분류 낙엽 활엽 관목 또는 소교목 독성여부 없다.
번식 분주 1회사용량 씨ㆍ잎ㆍ나무껍질 6~10g
약효 씨ㆍ잎ㆍ나무껍질 사용범위 해롭지는 않으나 치유되는 대로 중단한다.
동속약초 개옻나무ㆍ거먕옻나무ㆍ옻나무
어긋나고 7~13개의 작은 잎으로 구성된 홀수 1회 깃꼴겹잎이며 깃 축에 날개가 있다. 작은 잎은 달걀꼴이며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에 굵은 톱니가 있다. 뒷면은 갈색의 잔털이 있고 회색을 띠나 가을에는 붉게 변한다.
8~9월에 백색 또는 황백색의 오판화가 원추 꽃차례로 가지 끝에 촘촘히 달려 피는데 꽃차례에 털이 있다. 암수딴그루이다. 꽃받침 조각과 꽃잎은 각각 5개씩이다. 암꽃에는 퇴화한 5개의 수술과 3개의 암술대가 달린 1개의 씨방이 있다.
열매
10월에 동글납작한 황적색의 핵과가 달려 익는데 황갈색의 털로 덮여 있다. 열매는 시고 짠맛이 나는 껍질로 덮여 있으며 겉에는 흰색의 물질이 소금처럼 생긴다. 이 때문에 붉나무를 염부목이라고 한다.
특징 및 사용
오배자나무ㆍ굴나무ㆍ뿔나무ㆍ불나무ㆍ염부목(鹽膚木)ㆍ천금목(千金木)이라고도 한다. 옻나무에 속하지만 독성이 없다. 잎은 가을에 빨갛게 단풍이 든다. 굵은 가지가 드문드문 나오며 작은 가지에는 황갈색의 털이 있다. 가지를 불사르면 폭음이 난다. 열매를 염부자, 잎은 염부엽(鹽麩葉), 나무껍질은 염부백피(鹽麩白皮), 뿌리는 염부목근(鹽麩木根)이라 하며 약으로 쓴다. 잎자루 날개에 붉나무진딧물이 기생하여 만든 주머니 모양의 벌레집(벌레혹 : 蟲廮)을 오배자(五倍子)라고 하는데 딱딱하나 부서지기 쉽고 속은 비어 있으며 그 안에 벌레와 그 벌레가 분비한 물질이 있다. 벌레혹 안에는 날개가 달린 암벌레 1만 마리 정도가 들어 있으며 근처의 이끼 틈에서 겨울을 지낸다. 오배자의 맛은 매우 떫으며 냄새가 특이한데 타닌이 많이 들어 있어 약용 또는 잉크의 원료로 이용된다. 한방에서는 7월에 벌레혹을 채취하여 불에 쪼여 벌레를 죽인 뒤 햇볕에 말려 약재로 쓴다. 약으로 쓸 때는 탕으로 하거나 산제로 하여 사용한다.
오배자(五倍子) / 붉나무
라틴명 Galla Rhois
약재의 효능 염폐(斂肺)  (폐(肺)의 기운을 수렴하여 기침등을 멈추는 효능임)
강화(降火)  (화(火)를 내리는 효능임)
염한(斂汗)  (표(表)가 허(虛)해서 저절로 땀이 나고 식은 땀이 나는 것을 약으로 수렴(收斂)시키는 방법임.)
지혈(止血)  (출혈(出血)을 그치게 하는 효능임)
삽장(澁腸)  (설사를 그치게 하는 효능임)
지사(止瀉)  (설사(泄瀉)를 치료하는 효능임)
수습염창(收濕斂瘡)
오수발(烏鬚髮)  (머리와 수염을 검게 하는 효능임)
지해수(止咳嗽)  (해수(咳嗽), 기침을 제거하는 효능임)
지구토(止嘔吐)  (구토(嘔吐)를 그치게하는 효능임)
해독(解毒)  (독성(毒性)을 풀어주는 효능임)
염폐강화(斂肺降火)  (염폐(斂肺)하여 화(火)를 내리는 효능임)
작용부위 대장(大腸) , 신(腎) , 폐(肺)
성미 산(酸) , 삽(澁) , 한(寒)
약전기재 대한약전 , 중국약전
독성 The tannic acid can also precipitative toxic substances in the intestinal lumen, converting them into insoluble substances, making it useful as a detoxicant. When tannic acid is absorbed in excessive amounts, it may cause liver damage.1). Mild; active, but toxicity appears very mild unless used for long time 2,3).
1) Huang, K.C., The pharmacology of Chinese herbs II, CRC press, 1999.
2) H.K. Do, Shin Rhong Bon Cho Kyung, 452.
3) H.T. Rhu, Hyang Yak Jip Sung Bang, 1431.
약재사용처방 각독탕(却毒湯) /  치루(痔瘻)
구풍산(驅風散) /  난현풍(爛弦風)부예내장(浮翳內障)노육반정(努肉攀睛)
녹반환(綠礬丸) /  황달(黃疸)
독승산(獨勝散)[1] /  자한(自汗)도한(盜汗)
독호산(獨虎散) /  탈항(脫肛)
동록산(銅綠散) /  음식창(陰蝕瘡)순긴(脣緊)
두충환(杜仲丸) /  신허요통(腎虛腰痛)
무운산(巫雲散) /  수발황락(鬚髮黃落)
문합산(蚊蛤散)[1] /  설뉵(舌衄)
문합산(蚊蛤散)[2] /  탈항(脫肛)
부연산(赴宴散)[1] /  구창(口瘡)
삼신환(三神丸)[3] /  치(痔)
연상산(連床散) /  나두창(癩頭瘡)
염기산(斂肌散) /  두후옹절(痘後癰癤)
오감보동원(五疳保童元) /  오장감(五臟疳)
오배자(五倍子)[1] /  장허설리(腸虛泄痢)
오배자(五倍子)[2] /  장허설리(腸虛泄痢)
오배자(五倍子)[3] /  노육반정(努肉攀睛)부예내장(浮翳內障)
오배자(五倍子)[4] /  구창(口瘡)
오배자(五倍子)[5] /  수족군열(手足皸裂)
오배자(五倍子)[6] /  오치(五痔)탈항(脫肛)장풍(腸風)
오배자(五倍子)[7] /  탈항(脫肛)
위약(圍藥) /  옹저(癰疽)
유향용골산(乳香龍骨散) /  음낭습양(陰囊濕痒)
윤폐환(潤肺丸)[1] /  성시(聲嘶)
입효산(立效散)[10] /  주마아감(走馬牙疳)
진주산(珍珠散) /  하감창(下疳瘡)
청금산(靑金散) /  백구창(白口瘡)
치설리일방(治泄痢一方) /  설리(泄痢)
탁열산(濯熱散) /  서열번갈(暑熱煩渴)
통치백물독일방(通治百物毒一方)[2] /  제반중독(諸般中毒)
패모고(貝母膏) /  악창(惡瘡)
해백물독일방(解百物毒一方)[1] /  백물독(百物毒)
황납고(黃蠟膏)[1] /  수족군열(手足皸裂)
황백산(黃柏散)[1] /  견순(繭脣)
훈누창방(熏漏瘡方) /  누창(瘻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