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복피(大腹皮) / 빈랑나무

 동의보감에서 "대복피(大腹皮) / 빈랑나무"로 처방에 사용되었음.
대복피(大腹皮) / 빈랑나무 과피
라틴명 Arecae Pericarpium
약재의 효능 하기(下氣)  (인체 하부의 기(氣)를 말함.)
관중(寬中)  (속을 편안하게 하는 효능임)
행수(行水)  (기기(氣機)를 잘 통하게 하고 수도(水道)를 소통, 조절하여 이수화습(利水化濕)하는 방법의 하나.)
소종(消腫)  (옹저(癰疽)나 상처가 부은 것을 가라앉히는 치료법임)
건비개위(健脾開胃)  (비(脾)를 튼튼하게 하고 위(胃)를 열어주는 효능임)
통대소장(通大小腸)  (대장과 소장의 기운을 소통시키는 효능임)
작용부위 대장(大腸) , 비(脾) , 소장(小腸) , 위(胃)
성미 미온(微溫) , 신(辛)
약전기재 중국약전 , 한국생약규격집
주의사항 성숙과피. 허약자(虛弱者)는 쓰지 말 것.
독성 Narcotic 1). Excessive use of betal nut causes black teeth, inappetence, salivation, and general degeneration of the body. Arecaine is poisonous and affects respiration, the heart, increases peristalsis of intestines, and causes tetanic convulsions, Large doses(8 to 10g seed) can be fatal; due to cardiac or respiratory failure 2).Pregnancy3) due to the tetratogenic and fetotoxic effects of its aqueous extract(in mice) 4). Asthma due to bronchoconstrictive effect(po in human case reports) due to its cholinergic alkaloid arecoline 5).
1) Emboden, W.A., Jr., Narcotic Plants, Macmillan, New York, 168, 1972.
2) List, P.H. and Horhammer, L., Hager's Handbuch der Pharmazeutischen Praxis, Vols. 2to 6, Springer-Verlag, Berlin, 1969-1979.
3) Brinker F. The Toxicology of Botanical Medicines, rev. 2nd ed., Eclectic Medical Pub., Sandy, Ore., 1996.
4) Sinha A et al., Toxicol., 37, 315, 1985.
5) Stockley IH. Drug interactions, 4th ed., Pharmaceutical Press, London, 1996.
약재사용처방 가감위령탕(加減胃苓湯)[1] /  부종(浮腫)
가감위령탕(加減胃苓湯)[2] /  황달(黃疸)
계령탕(桂苓湯) /  혈분증(血分證)
곽향정기산(藿香正氣散) /  상한음증(傷寒陰證)두통(頭痛)
구보음(九寶飮) /  구수(久嗽)한수(寒嗽)
마두령산(馬兜鈴散) /  자수(子嗽)
목향산(木香散)[5] /  두창설사(痘瘡泄瀉)
목향순기환(木香順氣丸)[1] /  기통(氣痛)
목향유기음(木香流氣飮) /  종창(腫脹)기통(氣痛)
부종통치일방(浮腫通治一方) /  음종(陰腫)
분기음(分氣飮) /  수종(水腫)천급(喘急)
분소탕(分消湯) /  중만(中滿)창만(脹滿)
분심기음(分心氣飮) /  대소변불통(大小便不通)
사령오피탕(四令五皮湯) /  부종(浮腫)
삼완산(三脘散) /  각기충심(脚氣衝心)
삼절탕(杉節湯) /  각기위증(脚氣危證)
삼화산(三和散) /  기울(氣鬱)
삼화탕(三和湯)[2] /  대변비결(大便秘結)
삼화탕(三和湯)[3] /  기창(氣脹)대소변불리(大小便不利)
세누창방(洗漏瘡方)[2] /  누창(瘻瘡)
소창음자(消脹飮子) /  고창(蠱脹)
수유내소원(茱萸內消元) /  음란편추(陰卵偏墜)
실비음(實脾飮) /  수종(水腫)
안태산(安胎散)[2] /  임신두창(妊娠痘瘡)
오피산(五皮散) /  수종(水腫)
옹저창구심대방(癰疽瘡口深大方) /  옹저(癰疽)
자소음(紫蘇飮) /  자현(子懸)난산(難産)
전생백출산(全生白朮散) /  자종(子腫)
제생자소자탕(濟生紫蘇子湯) /  복창(腹脹)대소변불통(大小便不通)
초과평위산(草果平胃散) /  비학(脾虐)
치주피추창일방(治走皮皺瘡一方)[3] /  주피추창(走皮趨瘡)
침향강기산(沈香降氣散) /  기울협통(氣鬱脇痛)
행삼산(杏蔘散)[1] /  외상천급(外傷喘急)
행소음(杏蘇飮) /  기천(氣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