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강(生薑) / 생강

 익생양술에서 "생강"로 처방에 사용됨
 동의보감에서 "생강(生薑) / 생강"로 처방에 사용되었음.
분포 경기도 이남 채취기간 9~10월(서리 내리기 전)
30~50cm 취급요령 날것 또는 말려 쓴다.
생지 밭에 재배 성미 따뜻하며, 맵다.
분류 여러해살이풀 독성여부 없다.
번식 덩이줄기(뿌리) 1회사용량 덩이줄기 3~6g
약효 덩이줄기 사용범위 오래 써도 해롭지 않다.
잎은 줄기의 위쪽에 두 줄로 어긋나며 배열된다. 잎몸은 선 모양의 댓잎피침형으로서 양 끝이 좁으며 밑 부분이 긴 잎집으로 되어 있는데 마치 대나무 잎처럼 생겼다.
온대지방인 우리나라에서는 꽃이 피지 않으나 더운 열대지방에서는 8월경에 잎집에 싸인 길이 20~25cm의 꽃줄기 끝에 여러 개의 꽃턱잎에 둘러싸인 녹색 또는 황록색의 잔꽃이 수상 꽃차례로 달려 핀다. 꽃은 꽃턱잎 사이에서 나오고 길이는 4~7.6cm이다. 꽃받침은 짧은 통 모양을 하고 있다. 꽃부리의 끝은 3개로 갈라졌으며 갈라진 조각은 끝이 뾰족하다. 수술은 1개이고 꽃밥은 황색이다. 씨방은 하위이고 암술대는 실처럼 가늘다.
열매
8~9월에 삭과가 달리나 보기가 매우 힘들다.
특징 및 사용
새앙ㆍ새양ㆍ생이라고도 한다. 땅 속에서 굵은 덩이줄기가 옆으로 자라는데 덩어리 모양에다 황색에 다육질이며 매운맛과 향긋한 냄새를 풍긴다. 이 덩이줄기, 즉 뿌리를 식물의 이름과 함께 생강이라고 한다. 우리 식생활에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채소이다. 덩이줄기의 각 마디에서 잎집으로 형성된 헛줄기가 곧게 선다. 건강(乾薑)은 생강을 물에 담갔다 말린 것, 흑강(黑薑)은 검게 될 때까지 구운 것, 건생강(乾生薑)은 캐서 볕에 말린 것을 말한다. 향신료ㆍ식용ㆍ약용으로 이용된다. 주로 양념으로 쓰이는데 생선ㆍ고기의 냄새를 없애준다. 또한 카레ㆍ소스 등의 원료와 과자ㆍ빵ㆍ피클 등의 향신료, 설탕절임ㆍ생강차ㆍ생강주 등의 주재료로 널리 애용된다. 약으로 쓸 때는 날것으로 탕을 하여 사용하거나 술을 담가서 쓴다. 복용 중에 당귀ㆍ현삼ㆍ황금ㆍ황련ㆍ하눌타리ㆍ천화분(天花粉 : 하눌타리 뿌리의 가루)ㆍ박쥐 똥 등을 금한다.
익생양술 효능
주로 호흡기ㆍ소화기 질환을 다스리며, 건위제로 효험이 있다.
생강(生薑) / 생강
라틴명 Zingiberis Rhizoma Recens
약재의 효능 건비(健脾)  (비(脾)가 허(虛)한 것을 보(補)하여 운화기능(運化機能)이 약화된 것을 치료하는 방법)
개위(開胃)  (위(胃)를 열어주는 효능임)
선결(宣結)  (결체(結滯)된 것을 편다는 것임.)
조습(燥濕)  (고조(苦燥)한 약물로 습사(濕邪)를 제거하는 방법으로 중초습증(中焦濕證)에 적용.)
소담(消痰)  (막혀 있는 탁한 담(痰)을 쳐 내리는 거담(祛痰) 방법임.)
해표(解表)  (인체의 가장 바깥 즉, 피부에 맺힌 사기(邪氣)를 풀어주는 효능임)
온중(溫中)  (중초(中焦)를 따뜻하게 하는 효능임)
산한(散寒)  (한사(寒邪)를 없애는 효능임)
회양(回陽)  (양기(陽氣)를 다시 회복시키는 효능임)
통맥(通脈)  (혈맥을 통하게 하는 방법임)
하기(下氣)  (인체 하부의 기(氣)를 말함.)
지혈(止血)  (출혈(出血)을 그치게 하는 효능임)
거체(去滯)  (막한 것을 제거하는 효능임)
소식(消食)  (음식을 소화시키는 효능임)
이폐(利肺)  (폐(肺)를 이롭게 하는 효능임)
지구(止嘔)  (구역(嘔逆)을 멈추게 하는 효능임)
지해(止咳)  (기침을 그치게 하는 효능임)
해사독(解蛇毒)  (사독(蛇毒)이 풀리도록 하는 것임.)
통절맥(通絶脈)  (맥기가 끊어진 것을 원활히 소통시키는 효능임)
회원양(回元陽)  (으뜸이 되는 양기(陽氣) 즉, 신양(腎陽)을 다시 회복시켜 주는 효능임)
통심양(通心陽)  (심(心)의 양기를 소통시키는 효능임)
작용부위 비(脾) , 위(胃) , 폐(肺)
성미 신(辛) , 온(溫)
약전기재 대한약전 , 일본약국방 , 중국약전
주의사항 신선한 뿌리줄기
독성 Not to be used during pregnancy 1, 2). Persons with gallstones should consult a practitioner prior to use 2).Mild; active, but toxicity appears very mild unless used for long time 3,4).
1) Yeung, H., Handbook of Chinese Herbs and Formulas, volume 1., Los Angeles; Institute of Chinese Medicine, 1985.
2)Blumenthal, M., ed; S. Klein, trans., Therapeutic monographs on medicinal plants for human use of the commission E Special expert committee, Fedral Health Agency, Germany, Austin;American Botanical Council, 1993.
3) H.K. Do, Shin Rhong Bon Cho Kyung, 452.
4) H.T. Rhu, Hyang Yak Jip Sung Bang, 1431.
약재사용처방 가감복령환(加減茯苓丸) /  비통(臂痛)
가감속명탕(加減續命湯)[1] /  풍중부(風中腑)태양중풍(太陽中風)
가미대보탕(加味大補湯) /  탄탄(癱瘓)
강갈산(薑蝎散) /  신허이롱(腎虛耳聾)
강다탕(薑茶湯) /  역리(疫痢)
강밀탕(薑蜜湯) /  요혈(尿血)
강염탕(薑鹽湯) /  건곽란(乾霍亂)
개금탕(開噤湯) /  금구리(噤口痢)
거령환(去鈴丸) /  퇴산(㿉疝)
경지고(瓊脂膏) /  조증(燥證)
계지용골모려탕(桂枝龍骨牡蠣湯) /  정활(精滑)실정(失精)탈정(脫精)
계향산(桂香散)[2] /  한복통(寒腹痛)
교가산(交加散)[2] /  산후풍치(産後風痓)
교감지황전원(交感地黃煎元) /  산후망견망언(産後妄見妄言)
귤감산(橘甘散) /  담수(痰嗽)
귤강환(橘薑丸) /  기수(氣嗽)
금화선방(噙化仙方) /  폐위(肺痿)해역상기(咳逆上氣)
내소산(內消散) /  식적(食積)
노강양위탕(露薑養胃湯) /  구학(久瘧)
노강음(露薑飮) /  담학(痰馭)
당귀양육탕(當歸羊肉湯) /  산후허리(産後虛羸)
당기아위원(撞氣阿魏元) /  기통(氣痛)
도씨계지탕(陶氏桂枝湯) /  상한태양병(傷寒太陽病)
만병오령산(萬病五苓散) /  습설(濕泄)
목향산(木香散)[3] /  구리(久痢)혈리(血痢)
목향순기탕(木香順氣湯) /  진창(䐜脹)
반하생강탕(半夏生薑湯) /  해역(咳逆)
반하탕(半夏湯) /  담열(膽熱)
발운탕(撥雲湯) /  예막(翳膜)
백배환(百杯丸) /  상주(傷酒)징벽(癥癖)
사수음(四獸飮) /  구학(久瘧)
사신환(四神丸)[2] /  신설(腎泄)
삼미삼유탕(三味蔘萸湯) /  상한궐음증(傷寒厥陰證)
생강(生薑)[10] /  해수(咳嗽)
생강(生薑)[1] /  기울(氣鬱)
생강(生薑)[3] /  냉담(冷痰)
생강(生薑)[6] /  심하급통(心下急痛)
생강(生薑)[7] /  호취(狐臭)
생강(生薑)[8] /  곽란전근(霍亂轉筋)
생강(生薑)[9] /  반위(反胃)건구(乾嘔)구토(嘔吐)
생강감길탕(生薑甘桔湯) /  옹저구역(癰疽嘔逆)
생강감초탕(生薑甘草湯) /  폐위(肺痿)
생강귤피탕(生薑橘皮湯) /  건구(乾嘔)오심(惡心)
생강사심탕(生薑瀉心湯) /  상한비기(傷寒痞氣)
생강즙(生薑汁)[1] /  지조파면(指爪破面)
생강즙(生薑汁)[2] /  중열(中熱)
생숙음자(生熟飮子) /  적리(積痢)
서죽당화담환(瑞竹堂化痰丸) /  주담(酒痰)
소수독음자(消水毒飮子) /  수독(水毒)
소자전(蘇子煎) /  기수(氣嗽)
승마황련환(升麻黃連丸) /  구취(口臭)
신력탕(腎瀝湯) /  신장풍(腎臟風)
쌍해음자(雙解飮子) /  한학(寒瘧)장학(瘴瘧)
압자전(鴨子煎) /  자리(子痢)
양육탕(羊肉湯)[1] /  한산(寒疝)
양육탕(羊肉湯)[2] /  한산(寒疝)
어한고(禦寒膏) /  배한(背寒)
여지고(荔枝膏) /  소갈(消渴)
오백환(烏白丸) /  주적(酒積)
오선고(五仙膏) /  적취(積聚)비괴(痞塊)
오신탕(五神湯) /  부인토혈(婦人吐血)
오통고(五通膏) /  제풍(臍風)촬구(撮口)
옥액탕(玉液湯) /  기훈(氣暈)미능골통(眉稜骨痛)
윤장고(潤腸膏) /  반위(反胃)열격(噎膈)
윤폐고(潤肺膏)[2] /  담천(痰喘)
응통원(應痛元) /  견비통(肩臂痛)
이생고(二生膏)[1] /  골절(骨折)근단(筋斷)
이신환(二神丸)[2] /  식감(食減)비신구허(脾腎俱虛)
인삼호도탕(人蔘胡桃湯) /  천급(喘急)해수(咳嗽)
인진귤피탕(茵蔯橘皮湯) /  음황(陰黃)
일복산(一服散) /  천행해수(天行咳嗽)
입효산(立效散)[6] /  취유(吹乳)
자영산(滋榮散) /  수발황락(鬚髮黃落)
정향시체산(丁香枾蒂散) /  위랭(胃冷)
조육평위산(棗肉平胃散) /  식상(食傷)
중만분소탕(中滿分消湯) /  중만(中滿)한창(寒脹)
철분산(鐵粉散) /  전광(癲狂)
청금탕(淸金湯) /  기천(氣喘)
청신익기탕(淸神益氣湯) /  비위구허(脾胃俱虛)
청아원(靑娥元) /  신허요통(腎虛腰痛)
총백탕(蔥白湯)[4] /  임신상한(妊娠傷寒)
치강음(梔薑飮) /  열심통(熱心痛)
치시생강탕(梔豉生薑湯) /  상한허번(傷寒虛煩)
치포의불하일방(治胞衣不下一方)[3] /  포의불하(胞衣不下)
칠미총백산(七味蔥白散) /  상한노복발열(傷寒勞復發熱)식복(食復)
칠생탕(七生湯) /  구혈(嘔血)토혈(吐血)
팔선고(八仙膏) /  열식(噎食)
평폐탕(平肺湯) /  수천(水喘)
평혈음(平血飮) /  편신생창(遍身生瘡)
해금환(解噤丸) /  금구리(噤口痢)
해반하독일방(解半夏毒一方) /  반하독(半夏毒)
해초오천오천웅부자독방(解草烏川烏天雄附子毒方) /  초오독(草烏毒)천오독(川烏毒)부자독(附子毒)천웅독(天雄毒)
행인전(杏仁煎) /  실음(失音)
향강산(香薑散) /  신설(腎泄)
현상고(玄霜膏) /  토혈(吐血)객혈(喀血)
현상설리고(玄霜雪梨膏)[2] /  객혈(喀血)노수(勞嗽)타혈(唾血)
협골법(夾骨法) /  골절(骨折)
활룡산(活龍散) /  상한양독(傷寒陽毒)
황련음(黃連飮) /  야제(夜啼)
후박전(厚朴煎) /  하혈(下血)변혈(便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