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용담(草龍膽) / 용담

 익생양술에서 "용담"로 처방에 사용됨
 동의보감에서 "초용담(草龍膽) / 용담"로 처방에 사용되었음.
분포 전국 각지 채취기간 9∼11월
20∼60cm 취급요령 햇볕에 말려 쓴다.
생지 산지의 풀밭 성미 차며, 쓰다.
분류 여러해살이풀 독성여부 없다.
번식 분근 1회사용량 뿌리 0.5∼1.5g
약효 뿌리 사용범위 치유되는 대로 중단한다.
동속약초 과남풀ㆍ덩굴용담ㆍ칼용담ㆍ 큰용담
마주나는데 길이 4~8cm, 나비 1~3cm의 댓잎피침형으로서 끝이 뾰족하고 밑은 줄기를 감싸며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3개의 큰 맥이 있으며 앞면은 녹색이고 뒷면은 회백색을 띤 연한 녹색이다. 잎자루는 없다.
8∼10월에 자주색 또는 청자색 꽃이 잎겨드랑이에서 4~5개씩 위를 향해 달려 핀다. 꽃자루는 없고 꽃의 길이는 4.5~6cm이며 꽃턱잎은 댓잎피침형이다. 꽃받침은 길이 1.2~1.8mm의 통 모양이며 끝이 뾰족하게 갈라지는데 갈라진 조각들은 약간 뒤로 젖혀진다. 꽃부리는 종 모양이며 5개로 갈라지고 갈라진 조각들 사이에는 작은 부속 조각이 있다. 5개인 수술은 꽃부리통에 붙어 있다. 암술은 1개이며 암술머리는 2개로 갈라진다.
열매
10∼11월에 삭과가 달려 익는데 시든 꽃부리와 꽃받침 안에 들어 있다. 씨방에 씨가 많이 들어 있는데 넓은 댓잎피침형이며 양 끝에 날개가 있다.
특징 및 사용
과남풀ㆍ관음풀ㆍ용담초ㆍ초용담ㆍ초룡담이라고도 한다. 뿌리줄기는 짧고 황백색이며 굵은 수염뿌리가 사방으로 퍼진다. 원줄기는 곧게 서서 자라며 4개의 가는 줄이 있다. 관상용ㆍ식용ㆍ약용으로 이용된다. 어린싹과 잎은 식용한다. 뿌리를 말린 것을 용담이라 하며 주로 약용하는데 맛이 매우 쓰다. 이 쓴맛은 위장에 들어가 담즙 분비를 활성화시키고 위액 분비를 촉진시키므로 고미건위제(苦味健胃劑)로서 건위ㆍ소화 작용을 한다. 약으로 쓸 때는 탕으로 하거나 환제 또는 산제로 하여 사용하며, 술을 담가서도 쓴다. 복용 중에 지황(생지황ㆍ건지황ㆍ숙지황)을 금한다. 약재를 다룰 때 쇠붙이(구리ㆍ철) 도구를 쓰지 않는다. 또한 불을 쓰지 않는다.
초용담(草龍膽) / 용담
라틴명 Gentianae Radix
약재의 효능 사간담방광화(瀉肝膽膀胱火)
제하초습열(除下焦濕熱)
명목(明目)  (눈을 밝게 하는 효능임)
정오장(定五臟)
속절상(續絶傷)  (뼈나 근육이 끊어진 것을 이어주는 효능임)
살고독(殺蠱毒)  (인체의 복부 내에 기생하는 벌레를 죽이는 효능임)
익지(益智)  (지혜를 더하는 효능임)
작용부위 간(肝) , 담(膽)
성미 고(苦) , 한(寒)
주의사항 뿌리 및 뿌리줄기
독성 Overdosage results headache, in nausea and vomiting.1, 2).
1) Huang, K.C., The pharmacology of Chinese herbs II, CRC press, 1999.
2) Chang, H.M. and P.P.H. But., Pharmacology and Applications of Chinese Materia Medica, Philadelphia; World Scientific, 1986.
약재사용처방 가감용회환(加減龍薈丸) /  담화이명(痰火耳鳴)
곡달환(穀疸丸) /  곡달(穀疸)
광대중명탕(廣大重明湯) /  양검적종(兩瞼赤腫)목은삽(目隱澁)
구고탕(救苦湯) /  안목적종(眼目赤腫)
구풍고(驅風膏) /  급경풍(急驚風)
구풍산(驅風散) /  노육반정(努肉攀睛)난현풍(爛弦風)부예내장(浮翳內障)
노회환(蘆薈丸) /  척감(脊疳)
당귀용담산(當歸龍膽散) /  치통(齒痛)
당귀용회환(當歸龍薈丸) /  협통(脇痛)간실열(肝實熱)
동원서점자탕(東垣鼠粘子湯) /  농이(膿耳)이내생창(耳內生瘡)
벽사고(辟邪膏) /  중악(中惡)
사물용담탕(四物龍膽湯) /  운예(雲翳)목적종통(目赤腫痛)
사청환(瀉靑丸)[1] /  간기울결(肝氣鬱結)
사청환(瀉靑丸)[2] /  급경풍(急驚風)축닉(搐搦)
산종궤견탕(散腫潰堅湯) /  마도창(馬刀瘡)나력(瘰癧)
생진감로탕(生津甘露湯) /  소갈(消渴)
서점자탕(鼠粘子湯)[1] /  농이(膿耳)
선화산(蟬花散)[1] /  안목적종(眼目赤腫)유루(流淚)예막(翳膜)
소감패독산(消疳敗毒散) /  하감창(下疳瘡)
소경원(小驚元) /  급경풍(急驚風)
소용회환(小龍薈丸) /  기울협통(氣鬱脇痛)
시호탕(柴胡湯) /  간화성목적종통(肝火盛目赤腫痛)
양경환(凉驚丸) /  급경풍(急驚風)
양담원(凉膽元) /  흑화예(黑花翳)
양혈좌간환(養血佐肝丸) /  산후협통(産後脇痛)
억청명목탕(抑靑明目湯) /  임신안병(妊娠眼病)
여성흑고(如聖黑膏) /  백독창(白禿瘡)
연교산견탕(連翹散堅湯) /  마도창(馬刀瘡)나력(瘰癧)
오감보동원(五疳保童元) /  오장감(五臟疳)
오감소식원(五疳消食元) /  오감(五疳)
용담사간탕(龍膽瀉肝湯)[1] /  구고(口苦)
용담사간탕(龍膽瀉肝湯)[2] /  부인음정(婦人陰挺)근산(筋疝)음균(陰菌)
용담산(龍膽散)[2] /  간열목통(肝熱目痛)
용담원(龍膽元) /  열감(熱疳)
용담음자(龍膽飮子) /  감안(疳眼)
용담탕(龍膽湯)[1] /  이롱(耳聾)
용담탕(龍膽湯)[2] /  소아기병(小兒鬾病)
용담환(龍膽丸) /  뇌감(腦疳)
운모고(雲母膏)[1] /  골저(骨疽)내저(內疽)나력(瘰癧)
운모고(雲母膏)[2] /  옹저(癰疽)
인진대황탕(茵蔯大黃湯) /  상한황달(傷寒黃疸)
입효산(立效散)[5] /  치통(齒痛)
자하거환(紫河車丸) /  전시(傳尸)노채(勞瘵)
진간환(鎭肝丸) /  급경풍(急驚風)
차전산(車前散) /  혈관동인(血灌瞳仁)예장(翳障)
청혼탕(淸魂湯) /  음위(陰痿)음랭(陰冷)
초용담(草龍膽)[2] /  예막(翳膜)안목적종(眼目赤腫)정창(睛脹)
퇴운산(退雲散) /  예막(翳膜)
퇴황산(退黃散) /  황달(黃疸)
파결산(破結散) /  영류(瘿瘤)
풍감환(風疳丸) /  간허작목(肝虛雀目)
필효산(必效散)[2] /  황달(黃疸)
해조산견환(海藻散堅丸) /  마도창(馬刀瘡)기영(氣癭)나력(瘰癧)