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급(白芨) / 자란

 익생양술에서 "자란"로 처방에 사용됨
 동의보감에서 "백급(白芨) / 자란"로 처방에 사용되었음.
분포 남부 지방 채취기간 가을
30~50cm 취급요령 수염뿌리를 제거하고 햇볕에 말려 쓴다.
생지 산과 들의 양지 성미 서늘하며, 달고 쓰다.
분류 여러해살이풀 독성여부 없다
번식 분주 1회사용량 2∼5g
약효 뿌리(덩이줄기)ㆍ온포기 사용범위 치유되는 대로 중단한다.
알뿌리에서 5~6개의 잎이 어긋나와 서로 감싸면서 줄기처럼 되는데 길이 20~30cm, 나비 2~5cm의 긴 타원형으로서 끝이 뾰족하고 밑 부분이 좁아져 잎집처럼 되며 세로 주름이 많이 있다.
5∼6월에 붉은 자주색으로 피는데 잎 사이에서 나온 긴 꽃줄기 끝에 6~7개의 꽃이 총상 꽃차례로 달린다. 꽃의 지름은 3cm 정도이다. 꽃턱잎은 길이 2~3cm이며 꽃이 피기 전에 1개씩 떨어진다. 꽃받침은 좁은 타원형이며 끝이 뾰족하다. 꽃덮이 조각은 길이 2.5~3cm, 나비 6~8mm의 긴 타원형으로서 끝이 뾰족하고 반쯤 벌어지며 세로맥이 있다.
열매
10월에 삭과가 달려 익는다.
특징 및 사용
대암풀ㆍ백급ㆍ주란(朱蘭)이라고도 한다. 자란은 자줏빛 난초라는 뜻이다. 또한 홍란(紅蘭)이라 불리기도 하는데 홍자색의 꽃과 선명한 줄 모양이 있는 잎이 아름답다. 붉은 자줏빛 꽃잎 가운데 혓바닥 모양의 연한 꽃잎이 주름져 있는 모습이 특이하다. 줄기는 단축되어 덩이줄기(알뿌리)로 된다. 알뿌리는 동글납작하게 생겼으며 육질에 속이 희다. 관상용ㆍ약용으로 이용된다. 덩이줄기를 백급 또는 백약(百藥)이라 하며 약재로 쓰고 또 점질이 있어 풀의 원료로도 사용한다. 약으로 쓸 때는 탕으로 하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사용하며, 술을 담가서도 쓴다. 외상에는 가루를 참기름에 개어 바른다.
익생양술 효능
주로 혈증을 다스리며, 호흡기 병증에 효험이 있다.
백급(白芨) / 자란
라틴명 Bletillae Rhizoma
약재의 효능 보폐(補肺)  (폐(肺)를 보하는 효능임)
지혈(止血)  (출혈(出血)을 그치게 하는 효능임)
생기(生肌)  (기육(肌肉)이 생기게 하는 효능임)
소종(消腫)  (옹저(癰疽)나 상처가 부은 것을 가라앉히는 치료법임)
염창(斂瘡)  (창(瘡)을 아물고 수렴시키는 효능을 가리키는 용어임.)
지통(止痛)  (통증(痛症)을 그치게 하는 효능임)
거부(去腐)  (썩은 살을 제거하는 효능임)
살개충(殺疥蟲)  (학질의 기생충을 없애는 효능임)
작용부위 간(肝) , 위(胃) , 폐(肺)
성미 감고(甘苦) , 미한(微寒) , 삽(澁)
약전기재 중국약전 , 한국생약규격집
주의사항 덩이줄기
독성 Low / toxic class of herbaceous folk medicine.(toxic; active but toxic, cautious/very toxic, at small dose, usually used for emergency case) 1,2).
1) H.K. Do, Shin Rhong Bon Cho Kyung, 452.
2) H.T. Rhu, Hyang Yak Jip Sung Bang, 1431.
약재사용처방 가미이모환(加味二母丸) /  식적수(食積嗽)구수(久嗽)노수(勞嗽)
구고고(救苦膏) /  풍습산통(風濕痠痛)
난궁종사환(煖宮螽斯丸) /  무사(無嗣)
도화산(桃花散) /  옹저궤후구불렴(癰疽潰後久不斂)
만응고(萬應膏)[1] /  옹저(癰疽)열독종(熱毒腫)
만응고(萬應膏)[2] /  옹종(癰腫)
백급(白芨) /  육혈(衄血)토혈(吐血)
보포음(補胞飮) /  산후유뇨(産後遺尿)
사황산(四黃散) /  탕화상(燙火傷)
소농음(消膿飮) /  폐옹(肺癰)
수징고(水澄膏) /  옹저(癰疽)수족종통(手足腫痛)
염창산(斂瘡散) /  옹저(癰疽)
옥용고(玉容膏)[1] /  면생창(面生瘡)
옥용고(玉容膏)[2] /  조선(燥癬)
옥용산(玉容散) /  면상잡병(面上雜病)
옥용서시산(玉容西施散) /  흑염정(黑靨疔)풍자(風刺)
운모고(雲母膏)[1] /  나력(瘰癧)골저(骨疽)내저(內疽)
운모고(雲母膏)[2] /  옹저(癰疽)
위약(圍藥) /  옹저(癰疽)
유향용골산(乳香龍骨散) /  음낭습양(陰囊濕痒)
절감산(截疳散) /  누창(瘻瘡)감창(疳瘡)
죽통흡독방(竹筒吸毒方) /  악창(惡瘡)정창(釘瘡)
천금누로탕(千金漏蘆湯) /  발배(發背)내저(內疽)정창(釘瘡)
천선고(天仙膏) /  구안와사(口眼喎斜)졸중풍(卒中風)
청량구고산(淸凉救苦散) /  대두온(大頭瘟)
침수고(沈水膏) /  옹저(癰疽)발배(發背)
홍옥산(紅玉散)[1] /  면상잡병(面上雜病)
환혼산(還魂散) /  정창(釘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