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초용(紫草茸)A / 지치

 익생양술에서 "지치"로 처방에 사용됨
 동의보감에서 "자초용(紫草茸)A / 지치"로 처방에 사용되었음.
분포 전국 각지 채취기간 9월~이듬해 봄
30~70cm 취급요령 햇볕 또는 불에 말려 쓴다.
생지 산과 들의 풀밭 성미 차며, 달고 짜다.
분류 여러해살이풀 독성여부 없다
번식 1회사용량 뿌리 4~8g, 싹 5~8g
약효 뿌리ㆍ싹 사용범위 해롭지는 않으나 치유되는 대로 중단한다.
어긋나며 두껍고 잎자루가 없다. 길이 3~7cm의 댓잎피침형 또는 긴 타원 모양의 댓잎피침형으로서 끝이 뾰족하고 밑이 좁아 잎자루 같으며 줄기와 함께 거친 털이 빽빽이 나 있다. 앞면은 잎맥을 따라 깊게 주름이 있고 2~3개의 측맥이 뚜렷하며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5~6월에 흰색으로 피는데 줄기 끝과 가지 끝에서 수상 꽃차례를 이루며 달린다. 꽃턱잎은 잎처럼 생겼다. 꽃받침은 녹색이며 5개로 깊게 갈라지는데 갈라진 조각은 넓은 선형으로서 끝이 둔하고 꽃부리의 통 부분보다 길다. 꽃부리는 길이 6~7mm이고 끝이 5개로 얕게 갈라지는데 갈라진 조각은 둥글고 거의 수평으로 퍼진다. 수술은 5개, 암술은 1개이며 씨방에는 십자형의 홈이 있다.
열매
8~9월에 둥근 달걀꼴의 엷은 갈색 또는 회백색 분과가 달려 익는데 겉은 매끄럽고 윤기가 있다.
특징 및 사용
자지(紫芝)ㆍ자초(紫草)ㆍ지초(芝草)라고도 한다. 뿌리는 굵고 땅 속 깊이 뻗어 인삼 모양으로 갈라져 있으며 자주색을 띤다. 줄기는 곧게 서서 자라며 가지가 갈라지는데 전체에 위로 향한 잔털이 많다. 관상용ㆍ염료ㆍ식용ㆍ약용으로 이용된다. 뿌리를 자근(紫根) 또는 자초라 하여 약재로 쓰며 예로부터 민간에서는 불로약으로 사용해 왔다. 옛날에는 자줏빛 물감으로 이용했다. 지치는 염색 외에 나물로도 식용하였으며 약식에 넣어 식용 색소로도 사용하였다. 약으로 쓸 때는 탕으로 하거나 산제로 하여 사용하며, 술을 담가서도 쓴다.
자초용(紫草茸)A / 지치 뿌리
라틴명 Lithospermi Radix
약재의 효능 청열(淸熱)  (열기를 성질이 차거나 서늘한 약으로 식히는 효능임)
해독(解毒)  (독성(毒性)을 풀어주는 효능임)
투진(透疹)  (진독(疹毒)을 배설시켜 진자(疹子)가 쉽게 나오게 하는 치료법임)
양혈(凉血)  (청열법(淸熱法)의 일종으로서, 혈분(血分)의 열사(熱邪)를 제거하는 치법.)
활혈(活血)  (혈(血)의 운행을 활발히 하는 효능임)
통구규(通九竅)  (구규(九竅)를 막히지 않게 소통시키는 효능임)
이대장(利大腸)  (대장(大腸)을 이롭게 하는 효능임)
작용부위 간(肝) , 심포(心包)
성미 고함(苦鹹) , 한(寒)
독성 This herb is toxic. Experimentally, in a group of mice fed a 30% extract for a week, most of the animals lost weight and died of fatty degeneration of tissures. Rabbits fed with the root at a dose of 5 g/kg developed diarrhea and renal irritation.1).Mild; active, but toxicity appears very mild unless used for long time 2,3).
1) Huang, K.C., The pharmacology of Chinese herbs II, CRC press, 1999.
2) H.K. Do, Shin Rhong Bon Cho Kyung, 452.
3) H.T. Rhu, Hyang Yak Jip Sung Bang, 1431.
약재사용처방 가감홍면산(加減紅綿散) /  두창경축(痘瘡驚搐)
사성산(四聖散)[2] /  두출불쾌(痘出不快)
인삼선태산(人蔘蟬蛻散) /  두창요삽(痘瘡尿澁)
자초고(紫草膏)[2] /  두진불기창(痘疹不起脹)
자초목통탕(紫草木通湯) /  두창요삽(痘瘡尿澁)
조해산(調解散) /  두창도함(痘瘡倒陷)
쾌반산(快斑散) /  두출불쾌(痘出不快)
화독탕(化毒湯) /  두출불쾌(痘出不快)