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대(靑黛) / 쪽

 익생양술에서 "쪽"로 처방에 사용됨
 동의보감에서 "청대(靑黛) / 쪽"로 처방에 사용되었음.
분포 전국 각지 채취기간 여름~가을(온포기)
50~60cm 취급요령 햇볕에 말려 쓴다.
생지 밭에 재배 성미 차며, 쓰다.
분류 한해살이풀 독성여부 없다
번식 1회사용량 5~10g
약효 뿌리ㆍ열매ㆍ줄기 사용범위 해롭지는 않으나 치유되는 대로 중단한다.
어긋나고 잎자루가 짧다. 잎몸은 길이 7~9cm의 긴 타원형 또는 달걀꼴이며 양 끝이 좁고 가장자리가 밋밋한데 마르면 검은빛이 도는 남색을 띤다. 턱잎은 잎집 모양이며 막질이고 가장자리에 털이 있다.
8~9월에 붉은색으로 피는데 줄기 위쪽의 잎겨드랑이와 줄기 끝에서 수상 꽃차례를 이루며 자잘한 꽃이 빽빽이 달린다. 꽃받침은 길이 2~2.5cm이며 5개로 깊게 갈라지는데 갈라진 조각은 거꿀달걀꼴이다. 꽃잎은 없다. 수술은 6~8개이며 꽃받침보다 짧고 수술대 밑에 작은 샘이 있다. 꽃밥은 연한 홍색이다. 씨방은 달걀 모양의 타원형이고 끝에 암술대가 3개 있다.
열매
9~10월에 길이 2mm 정도인 세모진 달걀꼴의 수과가 달려 흑갈색으로 익는데 꽃받침에 싸여 있다.
특징 및 사용
남(藍)ㆍ목람(木藍)ㆍ대람(大藍)ㆍ엽람(葉藍)ㆍ이람(泥藍)ㆍ다람(茶藍)ㆍ괴람(槐藍)ㆍ남옥(藍玉)이라고도 한다. 원기둥 모양의 줄기가 곧게 서서 자라는데 다소 연질이며 마디가 뚜렷하고 홍자색을 띤다. 옛날부터 염료 작물로 재배하였는데 잎을 남색의 원료로 이용한다. ‘쪽빛’은 쪽에서 얻은 남빛이 아름다워서 생긴 말이다. 색 자체에 방부ㆍ방충 기능이 있어 한지를 염색하는데도 많이 쓰였다. 공업용ㆍ염료(남색)ㆍ밀원ㆍ약용으로 이용된다. 열매를 남실(藍實), 잎을 남엽(藍葉), 잎 가공품을 청대(靑黛)라 하며 약재로 사용한다. 약으로 쓸 때는 탕으로 하거나 생즙을 내어 사용하며, 술을 담가서도 쓴다.
청대(靑黛) / 쪽 잎
라틴명 Indigo Pulverata Levis
약재의 효능 청열(淸熱)  (열기를 성질이 차거나 서늘한 약으로 식히는 효능임)
해독(解毒)  (독성(毒性)을 풀어주는 효능임)
양혈(凉血)  (청열법(淸熱法)의 일종으로서, 혈분(血分)의 열사(熱邪)를 제거하는 치법.)
정경(定驚)  (놀란 것을 그치게 하는 효능임)
살충(殺蟲)  (기생충을 없애는 효능임)
작용부위 간(肝)
성미 한(寒) , 함(鹹)
약전기재 한국생약규격집
주의사항 쪽잎을 발효시켜 얻은 가루
독성 Mild; active, but toxicity appears very mild unless used for long time 1,2).
1) H.K. Do, Shin Rhong Bon Cho Kyung, 452.
2) H.T. Rhu, Hyang Yak Jip Sung Bang, 1431.
약재사용처방 가감용회환(加減龍薈丸) /  담화이명(痰火耳鳴)
가감진주분환(加減珍珠粉丸) /  적백탁(赤白濁)백음(白淫)
가려륵환(訶黎勒丸)[2] /  울수(鬱嗽)
거연방(去涎方) /  후비(喉痺)
계심산(鷄心散) /  신장풍창(腎臟風瘡)
금백저피환(芩柏樗皮丸) /  대하(帶下)
녹포산(綠袍散)[1] /  치뉵(齒衄)
녹포산(綠袍散)[2] /  구창(口瘡)
당귀용회환(當歸龍薈丸) /  협통(脇痛)간실열(肝實熱)
대나조환(大蘿皂丸) /  기천(氣喘)담천(痰喘)
대청고(大靑膏) /  급경풍(急驚風)
목향환(木香丸) /  냉감(冷疳)
벽금산(碧金散) /  촌백충병(寸白蟲病)
벽설(碧雪) /  구설생창(口舌生瘡)시종(腮腫)
부연산(赴宴散)[2] /  구창(口瘡)
불수산(佛手散)[1] /  전후풍(纏喉風)
불수산(佛手散)[2] /  후옹(喉癰)인후종통(咽喉腫痛)
불와산(不臥散)[1] /  두통(頭痛)
비급단(備急丹) /  단유아(單乳蛾)인후폐쇄(咽喉閉鎖)쌍유아(雙乳蛾)
빙상산(氷霜散) /  탕화상(燙火傷)
사향산(麝香散)[2] /  감닉(疳䘌)
서각화독단(犀角化毒丹) /  두후옹절(痘後癰癤)
성반합분환(星半蛤粉丸) /  소변백탁(小便白濁)
성병자(聖餠子) /  객혈(喀血)
소반청대음(消斑靑黛飮) /  반진(斑疹)양독발반(陽毒發斑)
신선벽하단(神仙碧霞丹) /  학질(瘧疾)
십미노회환(十味蘆薈丸) /  감질(疳疾)
양경환(凉驚丸) /  급경풍(急驚風)
오감보동원(五疳保童元) /  오장감(五臟疳)
오복화독단(五福化毒丹) /  두후옹절(痘後癰癤)열감(熱疳)
옥섬산(玉蟾散) /  감창(疳瘡)
용뇌파독산(龍腦破毒散) /  급후비(急喉痺)
용담탕(龍膽湯)[1] /  이롱(耳聾)
용담환(龍膽丸) /  뇌감(腦疳)
용성단(龍星丹) /  혼모(昏冒)담연옹성(痰涎壅盛)
우황산(牛黃散) /  중악(重顎)중설(重舌)구창(口瘡)
윤폐환(潤肺丸)[2] /  노수(勞嗽)건수(乾嗽)
이경환(利驚丸) /  급경풍(急驚風)
이련환(二連丸) /  무고감(無辜疳)
인삼청진환(人蔘淸鎭丸) /  화수(火嗽)
입효산(立效散)[10] /  주마아감(走馬牙疳)
저백환(樗柏丸) /  소변백탁(小便白濁)
적유산(滴油散) /  담수(痰嗽)
절제화담환(節齊化痰丸) /  울담(鬱痰)노담(老痰)
정지진주분환(定志珍珠粉丸) /  심화몽설(心火夢泄)
천금소벽환(千金消癖丸) /  벽괴(癖塊)
청금산(靑金散) /  백구창(白口瘡)
청대산(靑黛散)[1] /  중설(重舌)
청대산(靑黛散)[2] /  풍담옹색(風痰壅塞)
청화환(淸化丸) /  울수(鬱嗽)
청화활담환(淸火豁痰丸) /  울담(鬱痰)
취이산(吹耳散) /  풍열이롱(風熱耳聾)
취후산(吹喉散)[1] /  쌍유아(雙乳蛾)단유아(單乳蛾)
취후산(吹喉散)[3] /  후폐(喉閉)
치아감약(治牙疳藥) /  아감(牙疳)
치투정창일방(治妬情瘡一方) /  음식창(陰蝕瘡)하감창(下疳瘡)
통애산(通隘散) /  후비(喉痺)실음(失音)
통치백물독일방(通治百物毒一方)[6] /  약독(藥毒)
풍감환(風疳丸) /  간허작목(肝虛雀目)
함화단(含化丹) /  이균(耳菌)
해독환(解毒丸)[2] /  백물독(百物毒)
해백물독일방(解百物毒一方)[3] /  백물독(百物毒)
해비상독일방(解砒霜毒一方)[4] /  비상중독(砒霜中毒)
해청환(海靑丸)[1] /  담설(痰泄)
해청환(海靑丸)[2] /  화수(火嗽)
향부과루청대환(香附瓜蔞靑黛丸) /  주담(酒痰)
호황련환(胡黃連丸) /  열감(熱疳)
화닉환(化䘌丸) /  감닉(疳䘌)폐감(肺疳)
화비단(化痞丹) /  비괴(痞塊)
활명금단(活命金丹) /  몽매(蒙昧)중풍(中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