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두구(草豆蔲) / 초두구

 동의보감에서 "초두구(草豆蔲) / 초두구"로 처방에 사용되었음.
초두구(草豆蔲) / 초두구
라틴명 Alpiniae Katsumadaii Semen
약재의 효능 건비(健脾)  (비(脾)가 허(虛)한 것을 보(補)하여 운화기능(運化機能)이 약화된 것을 치료하는 방법)
온중(溫中)  (중초(中焦)를 따뜻하게 하는 효능임)
산한(散寒)  (한사(寒邪)를 없애는 효능임)
조습(燥濕)  (고조(苦燥)한 약물로 습사(濕邪)를 제거하는 방법으로 중초습증(中焦濕證)에 적용.)
개울(開鬱)  (막힌 것을 열어주는 효능임)
파기(破氣)  (기기(氣機)의 소통을 원활하게 함으로써 울결, 적체된 기(氣)를 풀어주는 치법.)
지구(止嘔)  (구역(嘔逆)을 멈추게 하는 효능임)
해독(解毒)  (독성(毒性)을 풀어주는 효능임)
거한습울체(祛寒濕鬱滯)
작용부위 비(脾) , 위(胃)
성미 신(辛) , 온(溫)
약전기재 중국약전 , 한국생약규격집
주의사항 철기(鐵器)를 쓰지 말 것.
약재사용처방 가감백통탕(加減白通湯) /  제복냉통(臍腹冷痛)고냉(痼冷)
가미기출환(加味枳朮丸) /  위심통(胃心痛)식적(食積)
갈초산(蝎梢散)[1] /  치통(齒痛)
강활산(羌活散) /  치근동요(齒根動搖)풍랭치통(風冷齒痛)치아탈락(齒牙脫落)
개회산(開懷散) /  비괴(痞塊)
계향산(桂香散)[2] /  한복통(寒腹痛)
관중진식환(寬中進食丸) /  불사식(不思食)내상비위증(內傷脾胃證)
광출궤견탕(廣朮潰堅湯) /  복창(腹脹)중만(中滿)대소변불통(大小便不通)
교해음(交解飮) /  한학(寒瘧)
균기환(均氣丸) /  애기(噯氣)
당귀용담산(當歸龍膽散) /  치통(齒痛)
마황창출탕(麻黃蒼朮湯) /  야수(夜嗽)
목향견현환(木香見睍丸) /  상식(傷食)
목향순기탕(木香順氣湯) /  진창(䐜脹)
목향화체탕(木香化滯湯) /  상식(傷食)심하비만(心下痞滿)
반하후박탕(半夏厚朴湯) /  창만(脹滿)
부양조위탕(扶陽助胃湯) /  냉심통(冷心痛)
부자온중탕(附子溫中湯) /  한설(寒泄)
성비음자(醒脾飮子) /  한학(寒瘧)자학(子瘧)
성산자(聖散子) /  역려(疫癘)습온(濕溫)풍온(風溫)
세신산(細辛散) /  치통(齒痛)
승마부자탕(升麻附子湯) /  면한(面寒)
승마위풍탕(升麻胃風湯) /  면종(面腫)위풍(胃風)
승양순기탕(升陽順氣湯)[1] /  노기상간(怒氣傷肝)전광(癲狂)
승양순기탕(升陽順氣湯)[2] /  내상(內傷)중기부족(中氣不足)노권(勞倦)
신성복기탕(神聖復氣湯) /  신심통(腎心痛)
쌍해음자(雙解飮子) /  장학(瘴瘧)한학(寒瘧)
인진부자건강탕(茵蔯附子乾薑湯) /  음황(陰黃)
정향안위탕(丁香安胃湯) /  위한건구(胃寒乾嘔)
중만분소탕(中滿分消湯) /  중만(中滿)한창(寒脹)
초두구(草豆蔲) /  심복냉통(心腹冷痛)
초두구환(草豆蔲丸) /  심흉통(心胸痛)
충화보기탕(沖和補氣湯) /  마목(麻木)
후박온중탕(厚朴溫中湯) /  한복통(寒腹痛)