측백엽(側柏葉) / 측백나무

 익생양술에서 "측백나무"로 처방에 사용됨
 동의보감에서 "측백엽(側柏葉) / 측백나무"로 처방에 사용되었음.
분포 전국 각지 채취기간 9~10월
25m 정도 취급요령 그늘에 말려 쓴다. 잎은 삶거나 술에 적셔 그늘에 말린다.
생지 울타리, 정원 등에 식재 성미 서늘하며, 맵고 약간 쓰다.
분류 상록 교목 독성여부 없다
번식 1회사용량 잎ㆍ열매 8~10g
약효 잎ㆍ열매 사용범위 치유되는 대로 중단한다.
작은 비늘 모양의 뾰족한 잎들이 다닥다닥 붙어 마주나는데 좌우의 잎과 가운데 달린 잎의 크기가 비슷하기 때문에 세 잎의 윤곽이 W자를 이룬다. 작은 비늘잎들로 구성된 잎이 모서리 모양이어서 작은 가지와 잎의 구분이 뚜렷하지 않다. 곁잎은 달걀꼴을 이루며 청록색 바탕에 흰 점이 약간 있다.
4월에 암수한그루에서 단성화가 핀다. 수꽃은 지난해에 돋은 가지 끝에 한 송이씩 달리는데 10개의 비늘 조각으로 구성되고 각각 2~4개씩의 꽃밥이 있다. 연한 자갈색인 암꽃은 공처럼 둥글며 8개의 실편(實片)으로 구성되고 꽃마다 6개의 밑씨가 있다.
열매
9~10월에 달걀꼴 또는 둥근 달걀 모양의 구과가 달려 청록색에서 자갈색으로 익어 가는데 8개의 실편이 교대로 마주나고 첫째 1쌍에는 씨가 없다.
특징 및 사용
측백ㆍ측백목ㆍ강백(姜栢)이라고도 한다. 가지가 수직 방향으로 벌어져 발달하므로 측백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위쪽에서 가지나 잎이 무성한 부분이 불규칙하게 퍼진다. 나무껍질은 회갈색이며 세로로 갈라진다. 가지는 많은데 큰 가지는 적갈색이며 작은 가지는 녹색이다. 씨를 백자인(柏子仁), 어린가지를 측백엽(側柏葉)이라 한다. 관상용ㆍ울타리ㆍ약용으로 이용된다. 특히 생울타리로 적합하다. 약으로 쓸 때는 탕으로 하거나 환제 또는 산제로 하여 사용하며, 술을 담가서도 쓴다. 복용 중에 국화ㆍ대황ㆍ밀가루 음식ㆍ소리쟁이ㆍ참소리쟁이를 금한다.
측백엽(側柏葉) / 측백나무 잎
라틴명 Biotae Folium
약재의 효능 양혈(凉血)  (청열법(淸熱法)의 일종으로서, 혈분(血分)의 열사(熱邪)를 제거하는 치법.)
지혈(止血)  (출혈(出血)을 그치게 하는 효능임)
거풍습(祛風濕)  (풍습(風濕)을 제거하는 효능임)
소종독(消腫毒)  (헌데나 부스럼을 없애는 효능임)
생기(生肌)  (기육(肌肉)이 생기게 하는 효능임)
지통(止痛)  (통증(痛症)을 그치게 하는 효능임)
산어(散瘀)  (어혈(瘀血)을 제거하는 효능임)
이뇨(利尿)  (소변이 잘 나오게 하는 효능임)
멸반(滅瘢)  (흉터를 없애는 효능임)
오수발(烏鬚髮)  (머리와 수염을 검게 하는 효능임)
경신(輕身)  (몸을 가볍게 하는 효능임)
내한서(耐寒暑)
살오장충(殺五臟蟲)  (오장(五臟)의 기생충을 없애는 효능임)
작용부위 간(肝) , 비(脾) , 폐(肺)
성미 고삽(苦澁) , 한(寒)
약전기재 한국생약규격집
독성 Not for long term use; do not exceed recommended dose 1).
1) AHPA Safety & Labeling Guideliness SubCommittee;Michael McGuffin, Chair; Christopher Hobbs, L.Ac; and Roy Upton.
약재사용처방 가감사물탕(加減四物湯)[1] /  장풍(腸風)변혈(便血)
각독탕(却毒湯) /  치루(痔瘻)
괴화산(槐花散)[2] /  장독(臟毒)
국화산(菊花散)[2] /  수발황락(鬚髮黃落)
백엽탕(柏葉湯) /  장풍(腸風)
보천대조환(補天大造丸) /  허로(虛勞)방로상(房勞傷)
사생환(四生丸)[1] /  토혈(吐血)육혈(衄血)
운모고(雲母膏)[1] /  나력(瘰癧)골저(骨疽)내저(內疽)
운모고(雲母膏)[2] /  옹저(癰疽)
이선환(二仙丸) /  수발황락(鬚髮黃落)
전홍원(剪紅元) /  장독(臟毒)장풍(腸風)
청뉵탕(淸衄湯) /  육혈(衄血)
청장탕(淸臟湯) /  변혈(便血)
측백산(側柏散) /  토혈(吐血)하혈(下血)
측백엽(側柏葉)[1] /  변혈(便血)육혈(衄血)요혈(尿血)토혈(吐血)
측백엽(側柏葉)[2] /  탕화상(燙火傷)
측백탕(側柏湯) /  토혈(吐血)혈붕(血崩)육혈(衄血)혈리(血痢)