흑두(黑豆) / 콩

 익생양술에서 "콩"로 처방에 사용됨
 동의보감에서 "흑두(黑豆) / 콩"로 처방에 사용되었음.
분포 전국 각지 채취기간 9~10월
60~100cm 취급요령 말려 쓴다.
생지 밭에 재배 성미 평온하며, 달다.
분류 한해살이풀 독성여부 없다.
번식 씨(콩) 1회사용량 씨 10~15개
약효 사용범위 오래 써도 무방하다.
어긋나며 3개의 작은 잎으로 구성된 깃꼴겹잎이다. 작은 잎은 달걀꼴 또는 타원형이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끝이 약간 뾰족하다. 표면은 짧은 털로 덮여 있다.
7~8월에 자줏빛이 도는 홍색 또는 흰색으로 피는데 나비 모양을 한 7~30개의 꽃이 잎겨드랑이에서 총상 꽃차례를 이루며 달린다. 꽃받침은 종 모양이며 끝이 5개로 갈라지는데 밑의 것이 가장 길다. 수술은 10개이며 각각 2개로 갈라지고 암술은 1개이다.
열매
9~10월에 협과인 꼬투리가 달려 익는데 납작한 선 모양의 타원형이며 거친 털이 많이 나 있고 그 속에 씨가 1~7개 들어 있다. 씨를 콩이라 한다.
특징 및 사용
뿌리에는 많은 뿌리혹이 달린다. 온포기에 황갈색 털이 촘촘히 나 있다. 줄기는 둥글고 목질화되어 굳으며 속이 차 있다. 옛날에는 콩이라 하면 대두(大豆)를 가리켰으나 오늘날에는 식용으로 이용되는 ‘콩과 식물’의 씨를 총칭하는 경우가 많다. 콩을 용도에 따라 분류하면 일반용으로 쓰이는 보통콩(일반콩), 기름을 짜기에 알맞은 기름콩, 밥에 넣어 먹기에 알맞은 밥밑콩, 콩나물을 기르기에 알맞은 콩나물콩(쥐눈이콩), 가축의 사료로 이용하는 풋베기콩 등으로 구별된다. 공업용ㆍ사료ㆍ식용ㆍ약용으로 이용된다. 콩에는 30~50%의 단백질을 비롯하여 13~25%의 지방, 비타민 등 많은 영양소가 들어 있어 주로 식용하는데 밥에 넣거나 된장ㆍ간장ㆍ고추장ㆍ두부ㆍ비지 등을 만들어 먹고 콩나물을 길러 먹는다. 또 기름을 짜서 여러 가지 용도로 쓰며 콩깻묵도 거름과 사료로 널리 이용한다. 콩깍지는 좋은 사료가 되며 풋베기하여 가축에게 먹인다. 또한 콩은 접착제, 셀룰로이드 대용품, 플라스틱, 수용성 페인트, 글리세린, 비누 등 다양한 공업 제품의 원료로 쓰인다. 약으로 쓰이는 콩은 주로 대두와 검은콩이다. 약으로 사용할 때는 주로 날것으로 쓰되 씹지 않고 물로 삼킨다. 서리태는 술을 담가서도 쓴다.
익생양술 효능
주로 소화기 질환을 다스리며, 강장 보호에 효험이 있다.
흑두(黑豆) / 검은콩
라틴명 Glycinis Nigrae Semen
약재의 효능 조중(調中)  (중초(中焦)를 조화롭게 하는 효능임)
하기(下氣)  (인체 하부의 기(氣)를 말함.)
제열(除熱)  (열(熱)을 제거하는 효능임)
거풍(祛風)  (안과 밖, 경락(經絡)및 장부(臟腑) 사이에 머물러 있는 풍사(風邪)를 제거하는 것임)
이수(利水)  (수(水)를 원활하게 빼는 효능임)
화곡(化穀)  (곡기(穀氣) 즉, 음식물 따위를 소화시키는 효능임)
활혈(活血)  (혈(血)의 운행을 활발히 하는 효능임)
소종(消腫)  (옹저(癰疽)나 상처가 부은 것을 가라앉히는 치료법임)
지통(止痛)  (통증(痛症)을 그치게 하는 효능임)
명목(明目)  (눈을 밝게 하는 효능임)
보신(補腎)  (신(腎)을 보하는 효능임)
진심(鎭心)  (심(心)을 진정시키는 효능임)
통관맥(通關脈)  (관맥을 소통시키는 효능임)
오수발(烏鬚髮)  (머리와 수염을 검게 하는 효능임)
해독(解毒)  (독성(毒性)을 풀어주는 효능임)
호안색(好顔色)  (얼굴색이 좋아지게 하는 효능임)
변백(變白)  (안색이나 기타의 색이 흰색으로 변하는 것임.)
불로(不老)
영인신중(令人身重)
작용부위 간(肝) , 신(腎)
성미 감(甘) , 평(平)
약전기재 한국생약규격집
독성 Mild; active, but toxicity appears very mild unless used for long time 1,2).
1) H.K. Do, Shin Rhong Bon Cho Kyung, 452.
2) H.T. Rhu, Hyang Yak Jip Sung Bang, 1431.
약재사용처방 가미양영환(加味養榮丸) /  태동불안(胎動不安)무자(無子)
감두탕(甘豆湯) /  백물독(百物毒)
급풍산(急風散) /  제창(諸瘡)파상풍(破傷風)
단학여성환(斷瘧如聖丸) /  학질(瘧疾)
대녕산(大寧散) /  자리(子痢)
대두감초탕(大豆甘草湯) /  음식창(陰蝕瘡)하감창(下疳瘡)
대조경산(大調經散) /  산후소변불리(産後小便不利)산후부종(産後浮腫)
대황감초음자(大黃甘草飮子) /  소갈(消渴)
두림주(豆淋酒) /  산후풍치(産後風痓)
묘복산(猫蝠散) /  나력(瘰癧)
벽사단(辟邪丹)[1] /  귀학(鬼瘧)장학(瘴瘧)
사피음(四皮飮) /  두후생예막(痘後生瞖膜)
사향원(麝香元) /  백호역절풍(白虎歷節風)
삼두해정탕(三豆解컲湯) /  주상(酒傷)
생숙음자(生熟飮子) /  적리(積痢)
신선탈명단(神仙奪命丹) /  구토(嘔吐)
십보환(十補丸) /  한산(寒疝)음랭(陰冷)
오금산(烏金散)[2] /  산후혈훈(産後血暈)산후오로부진(産後惡露不盡)
오두탕(五豆湯) /  주갈(酒渴)
오매탕(烏梅湯)[2] /  두창번갈(痘瘡煩渴)두출불쾌(痘出不快)
오생환(五生丸) /  전간(癲癎)
웅주단(雄朱丹) /  귀학(鬼瘧)
자탕(紫湯) /  산후풍치(産後風痓)
착호단(捉虎丹)[2] /  한습각기(寒濕脚氣)백호역절풍(白虎歷節風)
통치백물독일방(通治百物毒一方)[12] /  제반중독(諸般中毒)
팔미흑신산(八味黑神散) /  산후오로부진(産後惡露不盡)혈훈(血暈)
해감수독일방(解甘遂毒一方) /  감수독(甘遂毒)
해금은동석철독(解金銀銅錫鐵毒) /  금은동석철독(金銀銅錫鐵毒)
해반묘원청독방(解斑猫芫靑毒方) /  반묘원청독(斑猫芫靑毒)
해반석독일방(解礬石毒一方) /  반석독(礬石毒)
해백물독일방(解百物毒一方)[8] /  백물독(百物毒)
해어독해독일방(解魚毒蟹毒一方)[2] /  해독(蟹毒)어독(魚毒)
해울육포독방(解鬱肉脯毒方) /  수육독(獸肉毒)
해척촉독일방(解躑躅毒一方) /  척촉독(躑躅毒)
해천초독일방(解川椒毒一方) /  천초독(川椒毒)
해초오천오천웅부자독방(解草烏川烏天雄附子毒方) /  부자독(附子毒)천웅독(天雄毒)천오독(川烏毒)초오독(草烏毒)
해파두독방(解巴豆毒方) /  파두독(巴豆毒)
흑두(黑豆)[11] /  자사복중(子死腹中)
흑두(黑豆)[3] /  소장기통(小腸氣痛)
흑두(黑豆)[4] /  두항강급(頭項强急)
흑두(黑豆)[5] /  각기충심(脚氣衝心)
흑두(黑豆)[6] /  중풍불어(中風不語)
흑두(黑豆)[7] /  번갈(煩渴)대소변불리(大小便不利)
흑두(黑豆)[8] /  부종(浮腫)
흑두(黑豆)[9] /  창만(脹滿)