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초(通草) / 통탈목

 익생양술에서 "통탈목"로 처방에 사용됨
 동의보감에서 "통초(通草) / 통탈목"로 처방에 사용되었음.
분포 제주도, 남부 지방 채취기간 가을
3~8m 취급요령 고갱이를 채취하여 햇볕에 말려 쓴다.
생지 숲 속의 습한 그늘 성미 서늘하며, 달다.
분류 상록 활엽 관목 또는 소교목 독성여부 없다.
번식 꺾꽂이ㆍ분주ㆍ씨 1회사용량 2~3g
약효 나뭇고갱이(2~3년 묵은 나뭇가지의 심) 사용범위 치유되는 대로 중단한다.
가지 끝에서 모여나와 손바닥 모양으로 갈라지는데 잎자루의 길이는 50cm 정도이다. 잎몸은 둥글고 막질이며 지름 25~70cm이고 가장자리가 5~7개로 갈라진다. 갈라진 조각은 다시 2~3개로 갈라지며 톱니가 있다. 앞면은 짙은 녹색이고 뒷면은 흰 털로 덮여 있다.
10월에 흰 꽃이 줄기 끝과 가지 끝에서 원추 꽃차례를 이루며 촘촘히 달려 핀다. 꽃차례의 지름은 약 45cm이고 꽃차례에 흰 털이 많이 난다. 꽃받침 조각과 꽃잎ㆍ수술은 각각 4개씩이다.
열매
11~12월에 둥근 핵과가 달려 검게 익는다.
특징 및 사용
땅속줄기가 뻗어 나가며 잘 퍼진다. 나무껍질은 회백색이고 잘게 갈라지며 마디 같은 잎자루 흔적이 있다. 나무줄기는 단단하지 않으며 속은 희고 빈 곳에 계단 모양의 격막이 있다. 원산지에서는 코르크의 대용품으로 쓰인다. 관상용ㆍ약용으로 이용된다. 약으로 쓸 때는 탕으로 하거나 환제 또는 산제로 하여 사용한다. 산제로 하여 쓸 때는 가루를 콧속에 넣는다.
익생양술 효능
주로 폐경과 위경에 효험이 있다.
통초(通草) / 통탈목
라틴명 Tetrapanacis Medulla
약재의 효능 사폐(瀉肺)  (폐내(肺內)에 쌓인 열을 청사(淸瀉)하는 방법임.)
이수(利水)  (수(水)를 원활하게 빼는 효능임)
청열이뇨(淸熱利尿)  (열기를 식히고 소변을 잘 나가게 하여 이를 통해 열기를 빼내는 효능임)
삼리설탁(渗利泄濁)  (탁한 것들을 완만하게 소변으로 배출시키는 효능임)
소통경락(疏通經絡)  (경락(經絡)의 흐름을 소통시키는 효능임)
명목(明目)  (눈을 밝게 하는 효능임)
최생(催生)  (약으로 산모(産母)의 정기(正氣)를 도와 빨리 분만시키는 방법임.)
통기하유(通氣下乳)  (기운을 소통시키고 유즙이 잘 나오게 하는 효능임)
해제독(解諸毒)  (배 속에 있는 독충(毒蟲)을 치료하는 처방임.)
이수퇴열(利水退熱)  (소변(小便)을 잘 나가게 하고 열(熱)을 물리치는 효능임)
작용부위 위(胃) , 폐(肺)
성미 감담(甘淡) , 미한(微寒)
약전기재 중국약전 , 한국생약규격집
주의사항 허탈자(虛脫者)와 임산부는 복용하지 말 것.
독성 Mild; active, but toxicity appears very mild unless used for long time 1,2).
1) H.K. Do, Shin Rhong Bon Cho Kyung, 452.
2) H.T. Rhu, Hyang Yak Jip Sung Bang, 1431.
약재사용처방 귤피건강탕(橘皮乾薑湯) /  위랭(胃冷)
귤피반하생강탕(橘皮半夏生薑湯) /  위랭(胃冷)
당귀사역탕(當歸四逆湯)[2] /  상한궐음증(傷寒厥陰證)
복신탕(茯神湯)[1] /  육맥허약(六脈虛弱)
소계음자(小薊飮子)[1] /  요혈(尿血)
소계음자(小薊飮子)[2] /  혈림(血淋)
인삼형개산(人蔘荊芥散)[1] /  풍한졸아(風寒卒牙)
저제죽(猪蹄粥) /  유즙불행(乳汁不行)
지부자탕(地膚子湯)[1] /  소변불통(小便不通)
지부자탕(地膚子湯)[2] /  자림(子淋)
청폐산(淸肺散)[1] /  소변불통(小便不通)
통유탕(通乳湯) /  유즙삽소(乳汁澁少)
통초(通草)[1] /  비달(脾疸)
통초(通草)[3] /  기면(嗜眠)비단(脾癉)
통초탕(通草湯)[1] /  오림(五淋)
통초탕(通草湯)[2] /  유즙불행(乳汁不行)
파결산(破結散) /  영류(瘿瘤)
해조산견환(海藻散堅丸) /  마도창(馬刀瘡)기영(氣癭)나력(瘰癧)
황련복령탕(黃連茯苓湯) /  신열(身熱)해역상기(咳逆上氣)음궐(陰厥)번조(煩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