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백(蔥白) / 파

 익생양술에서 "파"로 처방에 사용됨
 동의보감에서 "총백(蔥白) / 파"로 처방에 사용되었음.
분포 전국 각지 채취기간 가을~이듬해 5월
70cm 정도 취급요령 날것으로 쓴다.
생지 밭에 재배 성미 따뜻하며, 맵다.
분류 여러해살이풀 독성여부 없다.
번식 1회사용량 뿌리 10~15g(2~3개), 잎줄기 2~5개
약효 뿌리ㆍ비늘줄기 사용범위 오래 써도 무방하다.
동속약초 마늘ㆍ산마늘
뿌리에서 5~6개의 잎이 나와 2줄로 자란다. 잎은 긴 원기둥 모양이며 관처럼 속이 비어 있고 평활하다. 끝은 뾰족하게 닫혀 있으며 밑 부분은 잎집이 되어 서로 감싸고 있다. 녹색 바탕에 흰빛이 돌고 점성이 있다.
6~7월에 백록색의 꽃이 원기둥 모양의 꽃줄기 끝에 공처럼 둥근 산형 꽃차례를 이루며 빽빽이 달려 핀다. 꽃이삭은 처음엔 달걀을 닮은 원형으로서 끝이 뾰족하며 꽃차례받침에 싸여 있으나 개화기에는 꽃차례받침이 터져서 공 모양으로 변한다. 꽃차례받침은 1개이다. 갈라진 꽃덮이 조각은 6개이며 댓잎피침형이고 바깥 조각이 약간 짧다. 수술은 6개이며 꽃 밖으로 길게 나온다.
열매
9월에 3개의 능선이 있는 삭과가 달려 익는다. 열매 속에는 까만 씨가 들어 있는데 세모지고 오목한 물결 모양의 주름이 있다.
특징 및 사용
총(蔥)이라고도 한다. 숙근성(宿根性) 여러해살이풀이지만 1~2년생 작물로 널리 재배하고 있다. 비늘줄기는 흰색인데 그리 굵어지지 않고 많은 수염뿌리가 밑에서 사방으로 퍼진다. 이 흰 부분을 총백이라 한다. 식용ㆍ 약용으로 이용된다. 특이한 향취와 맛이 있어 생식하거나 각종 요리에 두루 사용된다. 식용으로 널리 이용되는 중요한 채소이다. 약으로 쓸 때는 주로 탕으로 하여 사용하며, 술을 담가서도 쓴다. 복용 중에 맥문동ㆍ대추ㆍ백하수오를 금한다.
익생양술 효능
주로 호흡기 질환을 다스리며, 건강 생활에 이용된다.
총백(蔥白) / 파 밑동
라틴명 Allii Bulbus
약재의 효능 발표(發表)  (표사(表邪)를 발산시키는 치료법의 일종임.)
화리(和裏)  (리부(裏部) 즉, 몸 속의 기운을 조화롭게 하는 효능임)
통양(通陽)  (양기(陽氣)가 한습(寒濕)이나 담(痰)이 막아 통하지 못하는 병증에 쓰는 방법임)
해독(解毒)  (독성(毒性)을 풀어주는 효능임)
활혈(活血)  (혈(血)의 운행을 활발히 하는 효능임)
지혈(止血)  (출혈(出血)을 그치게 하는 효능임)
개규(開竅)  (사기(邪氣)가 심규(心竅)를 막아 정신이 혼미한 것을 치료하는 방법으로 주로 열을 꺼주거나 담(痰)을 없애거나 한(寒)을 없애서 치료함)
익목정(益目精)  (눈과 정기(精氣)를 보익(補益)하는 효능임)
이오장(利五臟)  (오장(五臟)의 기능을 윤활하게 하는 효능임)
통관절(通關節)  (관절의 기운을 소통시켜 관절운동을 원활히 하는 효능임)
작용부위 위(胃) , 폐(肺)
성미 신(辛) , 온(溫)
약전기재 한국생약규격집
독성 The LD50 of allium oil in mice is 50 to 78 mg/kg (I.v.); the LD50 of neoallicin is 70 mg/kg (I.v.) and 600 mg/kg (oral).1).. Mild; active, but toxicity appears very mild unless used for long time 2,3).

1) Huang, K.C., The pharmacology of Chinese herbs II, CRC press, 1999.
2) H.K. Do, Shin Rhong Bon Cho Kyung, 452.
3) H.T. Rhu, Hyang Yak Jip Sung Bang, 1431.
약재사용처방 각독탕(却毒湯) /  치루(痔瘻)
교밀탕(膠蜜湯) /  대변비결(大便秘結)
대황탕(大黃湯)[2] /  반위(反胃)냉연(冷涎)
백통탕(白通湯) /  상한소음병(傷寒少陰病)
사신산(四神散) /  부인혈풍(婦人血風)정두통(正頭痛)
삼산탕(三疝湯) /  방광기(膀胱氣)퇴산(㿉疝)
세감창약(洗疳瘡藥) /  감창(疳瘡)
소산환(消疝丸) /  퇴산(㿉疝)
소신산(燒腎散) /  노롱(勞聾)
소아초생구급방(小兒初生救急方)[6] /  초생불연유(初生不吮乳)
소아초생구급방(小兒初生救急方)[8] /  초생대변불통(初生大便不通)초생소변불통(初生小便不通)
승마부자탕(升麻附子湯) /  면한(面寒)
오지산(五枝散) /  노채(勞瘵)전시(傳尸)
오통고(五通膏) /  촬구(撮口)제풍(臍風)
울제법(鬱臍法)[1] /  상한음독(傷寒陰毒)
자석양신환(磁石羊腎丸) /  이롱(耳聾)
저백피산(樗白皮散) /  구리(久痢)
적출원(赤朮元) /  부골저(附骨疽)
제분산(提盆散) /  대변비결(大便秘結)
진교승마탕(秦艽升麻湯) /  구안와사(口眼喎斜)중풍(中風)
천령개산(天靈蓋散) /  노채(勞瘵)
초염산(椒鹽散) /  아주공(牙蛀孔)
총(蔥) /  금창(金瘡)
총백(蔥白)[10] /  냉복통(冷腹痛)
총백(蔥白)[11] /  분돈(奔豚)퇴산(㿉疝)
총백(蔥白)[12] /  장치(腸痔)
총백(蔥白)[14] /  중풍(中風)구금(口禁)
총백(蔥白)[15] /  신열(身熱)상한두통(傷寒頭痛)
총백(蔥白)[16] /  천행온역(天行瘟疫)
총백(蔥白)[17] /  타박상(打撲傷)
총백(蔥白)[18] /  태상창심(胎上搶心)태동불안(胎動不安)
총백(蔥白)[6] /  대소변불통(大小便不通)적백리(赤白痢)
총백(蔥白)[7] /  상한두통(傷寒頭痛)
총백(蔥白)[8] /  상풍면종(傷風面腫)
총백(蔥白)[9] /  심복통(心腹痛)
총백탕(蔥白湯)[1] /  전포(轉胞)
총백탕(蔥白湯)[2] /  태동불안(胎動不安)
총백탕(蔥白湯)[3] /  자현(子懸)
총백탕(蔥白湯)[4] /  임신상한(妊娠傷寒)
총백탕(蔥白湯)[5] /  마진(麻疹)
총울법(蔥熨法) /  중한(中寒)
총주(蔥酒) /  상한(傷寒)
총죽(蔥粥) /  태동불안(胎動不安)
치악창세약방(治惡瘡洗藥方)[1] /  악창(惡瘡)
치악창세약방(治惡瘡洗藥方)[2] /  악창(惡瘡)
치유암일방(治乳巖一方) /  유암(乳巖)
치자림일방(治子淋一方) /  자림(子淋)
치전포일방(治轉胞一方) /  전포(轉胞)
치주피추창일방(治走皮皺瘡一方)[3] /  주피추창(走皮趨瘡)
치포의불하일방(治胞衣不下一方)[3] /  포의불하(胞衣不下)
치포의불하일방(治胞衣不下一方)[4] /  포의불하(胞衣不下)
치하감창일방(治下疳瘡一方)[2] /  하감창(下疳瘡)
칠미총백산(七味蔥白散) /  식복(食復)상한노복발열(傷寒勞復發熱)
해육축독방(解六畜毒方)[1] /  수육독(獸肉毒)
행교음가감방(杏膠飮加減方)[9] /  냉수(冷嗽)
황자계(黃雌鷄)[5] /  비위허약(脾胃虛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