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편두(白扁豆) / 편두

 익생양술에서 "편두"로 처방에 사용됨
 동의보감에서 "백편두(白扁豆) / 편두"로 처방에 사용되었음.
분포 전국 각지 채취기간 10~11월(열매 성숙기)
3~5m 취급요령 햇볕에 말려 쓴다.
생지 밭에 재배 성미 평온하며, 달다.
분류 여러해살이 덩굴풀 독성여부 있다.
번식 1회사용량 10~12g
약효 씨ㆍ꽃 사용범위 많이 먹어도 몸에 이롭다.
3개의 작은 잎으로 이루어진 3출엽이며 잎자루가 길다. 작은 잎은 길이 5~7cm의 넓은 달걀꼴로서 끝이 갑자기 뾰족해지며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칡의 잎과 비슷하게 생겼다.
7~9월에 나비 모양을 한 흰색 또는 자주색 꽃이 잎겨드랑이에서 나온 꽃이삭에 수상 꽃차례를 이루며 달려 핀다. 꽃받침은 종 모양이며 끝이 얕게 4개로 갈라지고 밑 부분 안쪽에 귀 같은 돌기가 있다.
열매
9~10월에 길이 6cm, 나비 2cm 정도인 긴 타원형의 협과를 맺는데 꼬투리는 낫같이 굽었으며 가장자리가 껄껄하고 끝은 갈고리 모양이다. 꼬투리 안에 씨가 5개 정도 들어 있다.
특징 및 사용
까치콩ㆍ나물콩ㆍ변두ㆍ작두(鵲豆)ㆍ제비콩이라고도 한다. 씨알이 납작하고 빛이 흰데 가장자리에 제비 부리 모양의 검은 점이 있어 제비콩이라 하며, 검은 줄 사이에 흰 줄무늬가 있는 모양이 까치와 비슷하다 하여 까치콩 또는 작두라는 별칭이 붙었다. 열대 원산지에서는 다년생이지만 우리나라에서는 1년생이다. 줄기에 다소 털이 있다. 잎을 편두엽(扁豆葉), 종피를 편두의(扁豆衣), 꽃을 편두화(扁豆花)라 한다. 관상용ㆍ식용ㆍ약용으로 이용된다. 씨와 어린 꼬투리는 식용한다. <동의보감>에 의하면 흰 꽃의 씨는 백편두라 하고 자주색 꽃의 씨는 흑편두라 하는데 약으로 쓰는 것은 백편두이다. 백편두는 성질이 따뜻하고 흑편두는 약간 차다. 씨를 약재로 만들 경우에는 껍질을 버리고 생강즙에 버무렸다가 볶아서 사용한다. 약으로 쓸 때는 탕으로 하거나 환제 또는 산제로 하여 사용한다. 추위에 상하여 열병이 난 사람은 먹지 말아야 한다.
백편두(白扁豆) / 편두
라틴명 Lablab Semen Album
약재의 효능 소서(消暑)  (서사(暑邪)를 제거하는 효능임)
화습(化濕)  (방향성(芳香性)을 가진 거습약으로 습사(濕邪)를 없애는 방법을 말함)
화중(和中)  (중초(中焦)를 조화롭게 하여 기능을 정상으로 만드는 효능임)
하기(下氣)  (인체 하부의 기(氣)를 말함.)
난비위(暖脾胃)  (비위(脾胃)를 따뜻하게 하는 효능임)
통리삼초(通利三焦)  (삼초의 기운과 수액의 소통을 원활히 하는 효능임)
상청강탁(上淸降濁)  (청기(淸氣)를 위로 올리고 탁기(濁氣)를 아래로 내리는 효능임)
제습청서해독(除濕淸暑解毒)  (습(濕)을 제거하며 더위를 식혀주며 해독(解毒)하는 효능임)
작용부위 비(脾) , 위(胃)
성미 감(甘) , 미온(微溫)
약전기재 중국약전 , 한국생약규격집
주의사항 많이 먹으면 안됨.
약재사용처방 가미백출산(加味白朮散) /  주수(酒嗽)기천(氣喘)
관음산(觀音散) /  만경풍(慢驚風)
구선왕도고(九仙王道糕) /  허손(虛損)
남성음(南星飮)[2] /  만경풍(慢驚風)
만병무우산(萬病無憂散) /  중서(中暑)
백편두산(白扁豆散) /  반산(半産)
삼기탕(蔘芪湯)[2] /  도한(盜汗)
삼령백출산(蔘苓白朮散) /  비위허약(脾胃虛弱)
삼령백출환(蔘苓白朮丸) /  병후허약(病後虛弱)
삼령장비원(蔘苓壯脾元) /  비위허한(脾胃虛寒)
소서십전음(消暑十全飮) /  상서토사(傷暑吐瀉)
신효삼향산(神效蔘香散) /  금구리(噤口痢)고주리(蠱疰痢)오색리(五色痢)
십미향유음(十味香薷飮) /  중갈(中暍)
오향백출산(五香白朮散) /  폐옹(肺癰)
위생천화원(衛生天花元) /  소갈(消渴)신소(腎消)
유령탕(薷苓湯) /  서설(暑泄)
육신산(六神散) /  야제(夜啼)
육화탕(六和湯)[1] /  곽란전근(霍亂轉筋)중서(中暑)
은백산(銀白散) /  만경풍(慢驚風)
응신산(凝神散) /  열중(熱中)
이향산(二香散)[1] /  서풍(暑風)
이향황련산(二香黃連散) /  곽란(霍亂)
전갈관음산(全蝎觀音散) /  만경풍(慢驚風)
천금양비원(千金養脾元) /  열격(噎膈)반위(反胃)
청서육화탕(淸暑六和湯) /  학리(瘧痢)서열증(暑熱證)곽란(霍亂)
청서화중산(淸暑和中散) /  중서(中暑)
축비음(縮脾飮) /  중서(中暑)
통치백물독일방(通治百物毒一方)[8] /  제반중독(諸般中毒)
팔진산(八珍散)[1] /  식상(食傷)
해백물독일방(解百物毒一方)[5] /  백물독(百物毒)
해비상독일방(解砒霜毒一方)[4] /  비상중독(砒霜中毒)
해하돈독일방(解河豚毒一方) /  하돈독(河豚毒)
향박음자(香朴飮子) /  상서토사(傷暑吐瀉)
향유산(香薷散)[1] /  서병(暑病)
향유산(香薷散)[2] /  중서(中暑)곽란전근(霍亂轉筋)
향유탕(香薷湯) /  상서토사(傷暑吐瀉)
화중산(和中散)[1] /  토사(吐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