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화분(天花粉) / 하눌타리

 익생양술에서 "하눌타리"로 처방에 사용됨
 동의보감에서 "천화분(天花粉) / 하눌타리"로 처방에 사용되었음.
분포 전국 각지 채취기간 10∼11월
길이 3∼5m 취급요령 날것 또는 햇볕에 말려 쓴다.
생지 산기슭, 들, 밭둑 성미 서늘하며, 달고 쓰고 시다.
분류 여러해살이 덩굴풀 독성여부 없다.
번식 1회사용량 뿌리 6∼10g, 생과육 18g, 건과육 12∼15g
약효 뿌리ㆍ과육 사용범위 해롭지는 않으나 치유되는 대로 중단한다.
어긋나며 길이와 나비가 각각 6~10cm인 심장형으로서 단풍잎처럼 3∼7갈래로 얕게 또는 깊게 갈라진다. 갈라진 조각의 가장자리에 거친 톱니가 있으며 밑은 심장 밑 모양이고 표면에 털이 있다.
7∼8월에 흰색으로 피는데 암수딴그루의 단성화이다. 수꽃은 길이 15cm 정도의 수상 꽃차례를 이루며 달리고 암꽃은 길이 3cm 정도의 꽃자루 끝에 1송이씩 달린다. 꽃받침과 꽃부리는 각각 5개로 갈라지고 갈라진 꽃부리 조각은 실처럼 다시 갈라진다. 수술은 3개, 암술은 1개이다.
열매
10월에 지름 7cm 정도의 둥근 장과가 달려 오렌지색으로 익는데 다갈색 씨가 많이 들어 있다.
특징 및 사용
과루(瓜蔞)ㆍ과루등ㆍ괄루ㆍ오과(烏瓜)ㆍ큰새박ㆍ자주꽃하늘수박ㆍ하늘수박ㆍ하늘타리ㆍ쥐참외ㆍ천과(天瓜)ㆍ천원자(天圓子)ㆍ천원을(天原乙)ㆍ천을근(天乙根)ㆍ천질타리(天叱他里)ㆍ천선지루라고도 한다. 덩이뿌리가 비대하여 고구마처럼 굵어진다. 줄기는 길게 뻗으며 잎과 마주난 덩굴손으로 다른 물체를 휘감아 오른다. 관상용ㆍ공업용ㆍ식용ㆍ약용으로 이용된다. 덩이뿌리를 괄루근(栝蔞根)ㆍ왕과근(王瓜根), 열매를 괄루실ㆍ토과실(土瓜實), 씨를 괄루인(栝蔞仁)ㆍ토과인(土瓜仁)이라 하며 약재로 사용한다. 열매는 씨를 제거한 후 말려 두고 쓴다. 과육은 화장품 원료로 쓴다. 뿌리의 녹말을 식용한다. 약으로 쓸 때는 탕으로 하거나 환제 또는 산제로 하여 사용하며, 술을 담가서도 쓴다. 복용 중에 생강ㆍ쇠무릎ㆍ패모ㆍ모란을 금한다.
천화분(天花粉) / 하눌타리
라틴명 Trichosanthis Radix
약재의 효능 자음(滋陰)  (음기(陰氣)를 기르는 효능임)
윤조(潤燥)  (자윤(滋潤)하는 약물을 사용하여 조증(燥證)을 치료하는 방법.)
청열(淸熱)  (열기를 성질이 차거나 서늘한 약으로 식히는 효능임)
생진(生津)  (진액을 자양하는 약물을 사용하여 고열 등의 원인으로 인한 진액 손상을 치료하는 방법.)
지갈(止渴)  (갈증을 그치게하는 효능임)
산결(散結)  (맺힌 것을 푸는 효능임)
소어(消瘀)  (어혈(瘀血)을 삭여 없애는 방법을 말하는 것임)
활담(豁痰)  (담(痰)을 걷어 내는 효능임)
보허(補虛)  (허한 것을 보하는 효능임)
통소장(通小腸)  (소장의 기운을 소통시키는 효능임)
축뇨(縮尿)  (소변이 너무 잦을때 하초의 기운을 공고히 하여 이를 다스리는 효능임)
소종(消腫)  (옹저(癰疽)나 상처가 부은 것을 가라앉히는 치료법임)
배농(排膿)  (고름을 뽑아 내는 치료방법을 말함. 배농(排膿)에는 수술로 째는 방법과 약을 붙이는 것 2가지가 있다.)
통경(通經)  (월경이 막혀 나오지 않는 것[閉經]을 치료하여 통창(通暢)시키는 방법임)
생기(生肌)  (기육(肌肉)이 생기게 하는 효능임)
장육(長肉)  (육(肉)을 기르는 효능임)
속절상(續絶傷)  (뼈나 근육이 끊어진 것을 이어주는 효능임)
윤고학(潤枯涸)  (마른 곳을 적셔주는 효능임)
행진액(行津液)  (인체의 생리적인 수액대사인 진액(津液)을 소통시켜 주는 효능임)
작용부위 위(胃) , 폐(肺)
성미 미고(微苦) , 양(凉)
약전기재 중국약전
독성 This herb is a potent immunosuppressant and irritative agent. Overdosage can cause a rise in body temperature, extreme malaise, sore throat, and severe headache. Hypersensitivity to the herb produces symptoms of itching, rash, local swelling, and irritation, especially after parenteral injection. The herb is eliminated mainly by renal excretion and partially by hepatic metabolism. Overdosage may cause renal and hepatic damage.1). Not to be used during pregnancy 2). Mild; active, but toxicity appears very mild unless used for long time 3,4)
1) Huang, K.C., The pharmacology of Chinese herbs II, CRC press, 1999.
2) AHPA Safety & Labeling Guideliness SubCommittee;Michael McGuffin, Chair; Christopher Hobbs, L.Ac; and Roy Upton.
3) H.K. Do, Shin Rhong Bon Cho Kyung, 452.
4) H.T. Rhu, Hyang Yak Jip Sung Bang, 1431.
약재사용처방 가감유령탕(加減薷苓湯) /  곽란번갈(霍亂煩渴)
가감이진탕(加減二陳湯) /  울담(鬱痰)
가미사물탕(加味四物湯)[4] /  쌍유아(雙乳蛾)단유아(單乳蛾)후비(喉痺)
가미지패산(加味芷貝散) /  유옹(乳癰)
강심탕(降心湯) /  격소(膈消)
금은백지산(金銀白芷散) /  정저(疔疽)
내소옥설탕(內消沃雪湯) /  두옹(肚癰)내저(內疽)위완옹(胃脘癰)
내탁백렴산(內托白斂散) /  담핵(痰核)
대마풍환(大麻風丸) /  대마풍(大麻風)
맥문동음자(麥門冬飮子) /  격소(膈消)
보화탕(保和湯) /  폐위(肺痿)노수(勞嗽)허로(虛勞)
비방탈명산(秘方奪命散) /  무명종독(無名腫毒)옹저(癰疽)
사양보음탕(瀉陽補陰湯) /  음허화동(陰虛火動)
산치지황탕(山梔地黃湯) /  담수(痰嗽)타혈(唾血)
생진양혈탕(生津養血湯) /  상소(上消)
선방활명음(仙方活命飮) /  악창(惡瘡)옹저(癰疽)
선전화독탕(仙傳化毒湯) /  내저(內疽)발배(發背)무명종독(無名腫毒)유옹(乳癰)
소종탕(消腫湯) /  마도창(馬刀瘡)
소핵환(消核丸) /  경항결핵(頸項結核)
속효산(速效散)[1] /  예장(翳障)
숙지황탕(熟地黃湯) /  산후발열(産後發熱)
시호계강탕(柴胡桂薑湯) /  소양학(少陽瘧)
양유방(釀乳方)[2] /  태열(胎熱)
양혈음(凉血飮)[2] /  심옹(心癰)
양혈음(凉血飮)[3] /  혈열생창(血熱生瘡)
오즙옥천환(五汁玉泉丸) /  소갈(消渴)
옥로산(玉露散)[1] /  서열번갈(暑熱煩渴)
옥설탕(沃雪湯)[1] /  두목현훈(頭目眩暈)풍습(風濕)
옥용산(玉容散) /  면상잡병(面上雜病)
옥용서시산(玉容西施散) /  흑염정(黑靨疔)풍자(風刺)
옥천산(玉泉散) /  소갈(消渴)
옥천환(玉泉丸) /  소갈(消渴)
우즙고(藕汁膏) /  위열(胃熱)중소(中消)
위생천화원(衛生天花元) /  신소(腎消)소갈(消渴)
음허생내열탕(陰虛生內熱湯) /  음허화동(陰虛火動)
이활산(二活散) /  정창(釘瘡)
인삼복령산(人蔘茯苓散) /  신소(腎消)
천금내소산(千金內消散) /  장옹(腸癰)유옹(乳癰)옹저(癰疽)
천금소독산(千金消毒散) /  정창(釘瘡)
천화산(天花散)[1] /  소갈(消渴)
천화산(天花散)[2] /  나력(瘰癧)
천화산(天花散)[3] /  두후실음(痘後失音)
청심도담환(淸心導痰丸) /  유연(流涎)
청열여성산(淸熱如聖散) /  설종(舌腫)
청화보음탕(淸火補陰湯) /  인후종통(咽喉腫痛)허화상염(虛火上炎)
청화탕(淸火湯) /  삼초열(三焦熱)
청화활담환(淸火豁痰丸) /  울담(鬱痰)
치번화창일방(治飜花瘡一方) /  번화창(飜花瘡)
탁리소독산(托裏消毒散) /  옹저(癰疽)
통명산(通明散) /  두후생예막(痘後生瞖膜)
통초탕(通草湯)[2] /  유즙불행(乳汁不行)
파혈단(破血丹) /  설단(舌斷)
현삼패모탕(玄蔘貝母湯) /  이양(耳痒)
홍보고(洪寶膏) /  독종(毒腫)
홍옥산(紅玉散)[1] /  면상잡병(面上雜病)
화기조경탕(化氣調經湯) /  나력(瘰癧)
환골산(換骨散) /  천포창(天疱瘡)
환혼산(還魂散) /  정창(釘瘡)
활혈윤조생진음(活血潤燥生津飮) /  소갈(消渴)
황금탕(黃芩湯)[4] /  상소(上消)
황기탕(黃芪湯)[5] /  소갈(消渴)
황련저두환(黃連猪肚丸)[2] /  중소(中消)
황련지황탕(黃連地黃湯) /  삼소(三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