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수오(何首烏) / 하수오

 익생양술에서 "하수오"로 처방에 사용됨
 동의보감에서 "하수오(何首烏) / 하수오"로 처방에 사용되었음.
분포 전국 각지 채취기간 가을∼이듬해 봄
1∼3m 취급요령 둘로 쪼개어 말려 쓴다.
생지 밭에 재배 성미 평온하고 따뜻하며, 쓰고 달다.
분류 여러해살이 덩굴풀 독성여부 없다.
번식 1회사용량 뿌리 4∼6g
약효 덩이뿌리 사용범위 오래 써도 무방하다.
동속약초 나도하수오
어긋나는데 길이 3~6cm, 나비 2.5~4.5cm인 달걀 모양의 심장형으로서 끝이 뾰족하고 밑은 심장 밑 모양이며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잎자루가 길고 잎자루 밑 부분에 짧은 잎집이 있다. 턱잎은 원통 모양이고 짧다.
8∼9월에 흰 꽃이 가지 끝에서 원추 꽃차례를 이루며 달려 핀다. 꽃받침은 5개로 깊게 갈라지는데 처음에는 짧지만 꽃이 피면 좀 더 길어진다. 꽃잎은 없으며 수술은 8개이고 꽃받침보다 짧다. 씨방은 달걀꼴이고 암술대는 3개이다.
열매
긴 뿔 모양의 수과를 맺는데 3개의 날개가 있으며 꽃받침에 싸여 있다. 열매가 익으면 터져서 흰 솜털이 달린 씨가 나온다.
특징 및 사용
붉은조롱ㆍ새박뿌리ㆍ적갈(赤葛)ㆍ토우(土芋)라고도 한다. 뿌리줄기는 땅 속으로 뻗으면서 군데군데 고구마처럼 굵은 덩이뿌리를 형성하는데 붉은빛을 띤 짙은 갈색이다. 한방에서 백하수오라 불리는 약재는 박주가리과에 속하는 큰조롱이라는 식물이며 하수오와는 식물학적으로 다른 식물이다. 줄기의 밑동은 목질이며 껍질은 단단하고 질기다. 줄기는 길게 뻗어 가지를 치면서 왼편으로 감아 올라가는데 털은 없다. 관상용ㆍ밀원ㆍ식용ㆍ약용으로 이용된다. 어린잎을 나물로 먹는다. 줄기를 야교등(夜交藤), 잎을 하수엽(何首葉), 뿌리를 적하수오라 한다. 3∼4년 된 뿌리를 채취한다. 약으로 쓸 때는 탕ㆍ환제ㆍ산제로 하여 사용하거나 술을 담가서 쓴다. 복용 중에 개고기ㆍ쇠고기ㆍ겨우살이ㆍ파ㆍ마늘과 비늘 없는 바닷물고기 등을 금한다.
하수오(何首烏) / 하수오
라틴명 Polygoni Multiflori Caulis
약재의 효능 보간(補肝)  (간(肝)을 보하는 효능임)
익신(益腎)  (신(腎)을 보익(補益)하는 효능임)
양혈(養血)  (보혈약(補血藥)을 사용하여 혈(血)을 자양(滋養)하는 효능임)
거풍(祛風)  (안과 밖, 경락(經絡)및 장부(臟腑) 사이에 머물러 있는 풍사(風邪)를 제거하는 것임)
통락(通絡)  (락맥을 소통시키는 효능임)
해독(解毒)  (독성(毒性)을 풀어주는 효능임)
영심(寧心)
안신(安神)  (담기허(膽氣虛) 또는 담열(膽熱)로 인하여 발생되는 양기조동(陽氣躁動), 심계(心悸), 실면(失眠), 경간(驚癇), 광망(狂妄), 번조이노(煩躁易怒) 등의 병증이 있을 때, 정신을 안정시키는 방법임.)
익정(益精)  (정기(精氣)를 보익(補益)하는 효능임)
견골(堅骨)  (뼈를 견고하게 하는 효능임)
화기혈(和氣血)  (기(氣)와 혈(血)을 모두 조화시키는 효능임)
화허담(化虛痰)  (몸이 허(虛)하여 생긴 담(痰)을 삭히는 효능임)
오수발(烏鬚髮)  (머리와 수염을 검게 하는 효능임)
열안색(悅顔色)  (안색(顔色)을 윤택하고 밝게 하는 효능임)
윤장통변(潤腸通便)  (장(腸)을 적셔주고 대변(大便)을 통하게 하는 효능임)
익혈거풍(益血祛風)  (혈(血)을 보익(補益)하고 풍사(風邪)를 몰아내는 효능임)
익정수(益精髓)  (정기(精氣)와 골수(骨髓)를 보익(補益)하는 효능임)
장근골(長筋骨)  (근골(筋骨)을 기르는 효능임)
연년불로(延年不老)
작용부위 간(肝) , 심(心)
성미 감(甘) , 평(平)
약전기재 원색화한약도감 , 중국약전 , 한국생약규격집
주의사항 적하수오. 철기(鐵器)를 쓰지 말고, 무를 먹지 말 것.
독성 The common adverse effects include nausea, vomiting, abdominal distention, and loose bowl movements.1). Diarrhea due to its irritant properties 2).
1) Huang, K.C., The pharmacology of Chinese herbs II, CRC press, 1999.
2) McGuffin M. Hobbs C, Upton R, Goldberg A(ed.). Botanical Safety Handbook, CRC Press, Boca Raton, 1997.
약재사용처방 가감하수오산(加減何首烏散) /  자백전풍(紫白癜風)개선(疥癬)역양풍(癧瘍風)
가미고삼환(加味苦蔘丸) /  대풍창(大風瘡)
결음단(結陰丹) /  결음변혈(結陰便血)
당귀음자(當歸飮子) /  개선(疥癬)악창(惡瘡)
대고삼환(大苦蔘丸) /  염창(臁瘡)면창(面瘡)
대마풍환(大麻風丸) /  대마풍(大麻風)
마풍환(磨風丸) /  대풍창(大風瘡)
무운산(巫雲散) /  수발황락(鬚髮黃落)
박하단(薄荷丹) /  나력(瘰癧)
백화사환(白花蛇丸) /  백라창(白癩瘡)
선열단(宣熱丹) /  나력(瘰癧)풍열(風熱)
신선거승자원(神仙巨勝子元) /  허로(虛勞)
영위반혼탕(榮衛返魂湯) /  옹저(癰疽)발배(發背)
익수고진단(益壽固眞丹) /  허로(虛勞)
자운풍환(紫雲風丸) /  자운풍(紫雲風)자전풍(紫癜風)
추풍환(追風丸) /  백전풍(白癜風)
치개선세약(治疥癬洗藥)[2] /  개선(疥癬)
하수오(何首烏)[3] /  적년노수(積年勞瘦)
하수오(何首烏)[6] /  요통(腰痛)슬통(膝痛)
하수오(何首烏)[8] /  칠상(七傷)오로(五勞)허로(虛勞)
하수오산(何首烏散) /  개선(疥癬)
호마산(胡麻散) /  자백전풍(紫白癜風)은진(癮疹)창개(瘡疥)
환골단(換骨丹) /  중풍(中風)탄탄(癱瘓)
환기산(換肌散) /  대풍창(大風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