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부미(香附米) / 향부자

 익생양술에서 "향부자"로 처방에 사용됨
 동의보감에서 "향부미(香附米) / 향부자"로 처방에 사용되었음.
분포 제주도, 중남부 지방 채취기간 가을∼이듬해 봄
20∼30cm 취급요령 햇볕에 말려 쓴다.
생지 해변의 모래땅, 개울가, 들의 습지 성미 평온하며, 쓰고 맵다.
분류 여러해살이풀 독성여부 있다.
번식 분근 1회사용량 덩이뿌리 5∼9g
약효 덩이뿌리(땅속줄기) 사용범위 많이 쓰지 않는 것이 좋다.
뿌리줄기에서 모여나고 줄기 밑 부분에도 달리는데 나비 2~6mm의 좁은 선형이며 밑 부분이 잎집으로 되어 꽃줄기를 둘러싼다. 표면은 짙은 녹색으로 광택이 난다.
7∼8월에 잎 사이에서 길이 20~30cm의 꽃줄기가 나와 그 끝에서 산형 꽃차례를 이루며 달려 핀다. 꽃줄기 끝에 2~3개의 꽃턱잎이 달리고 꽃차례 가지가 1~7개 나와서 우산 모양으로 퍼지지만 길이가 같지 않다. 그 가지에 다시 작은 이삭이 달리는데 길이 1.5~3cm의 선형이며 혈적색이 돌고 윤기가 있다. 작은 이삭에는 20∼40개의 꽃이 2줄로 달린다. 암술대는 끝이 3개로 갈라진다.
열매
9∼10월에 긴 타원형의 수과가 달려 흑갈색 또는 짙은 갈색으로 익는다.
특징 및 사용
사초(莎草)라고도 한다. 밑 부분에 낡은 덩이줄기가 있어 굵어지고 뿌리줄기가 옆으로 길게 뻗으며 끝 부분에 덩이뿌리가 생기면서 수염뿌리가 내린다. 덩이뿌리의 살은 희고 향기가 난다. 줄기는 곧게 서서 자라며 아래쪽은 둥글고 위쪽은 세모져 있다. 관상용ㆍ약용으로 이용된다. 약으로 쓸 때는 탕으로 하거나 환제 또는 산제로 하여 사용하며, 술을 담가서도 쓴다.
향부미(香附米) / 향부자
라틴명 Cyperi Rhizoma
약재의 효능 이기(理氣)  (행기해울(行氣解鬱), 강기조중(降氣調中), 보중익기(補中益氣)하여 기체(氣滯), 기허(氣虛), 기역(氣逆)등을 치료하는 것을 가리키는 용어임.)
해울(解鬱)  (기(氣)나 음식물 따위가 막혀서 뭉쳐진 것을 풀어주는 효능임)
조경(調經)  (12경맥(經脈)을 도와주는 효능임)
지통(止痛)  (통증(痛症)을 그치게 하는 효능임)
소식적(消食積)  (식적(食積)을 치료하는 효능임)
이삼초(利三焦)  (삼초(三焦)를 이롭게 하는 효능임)
조기개울(調氣開鬱)
작용부위 간(肝) , 비(脾) , 삼초(三焦)
성미 미감(微甘) , 미고(微苦) , 신(辛) , 평(平)
주의사항 특별히 가늘고 작은 향부근(香附根). 경수선기이담(經水先期而痰), 기혈양허자(氣血兩虛者)는 복용하지 말 것.
약재사용처방 개울사물탕(開鬱四物湯) /  붕루(崩漏)
사신환(四神丸)[1] /  백대(白帶)
사제향부환(四製香附丸)[1] /  월경부조(月經不調)
사제향부환(四製香附丸)[2] /  월경부조(月經不調)
소식산(消食散) /  식적(食積)
신선부익단(神仙附益丹) /  부인잡병(婦人雜病)
자금환(子芩丸) /  경단부행(經斷復行)
자음지황환(滋陰地黃丸)[2] /  육혈(衄血)해혈(咳血)허로(虛勞)토혈(吐血)
천금보태환(千金保胎丸) /  반산(半産)
칠제향부환(七製香附丸) /  월경부조(月經不調)골증(骨蒸)징가(癥瘕)
해울조위탕(解鬱調胃湯) /  기울(氣鬱)
호박조경환(琥珀調經丸)[1] /  포랭무자(胞冷無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