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박(琥珀) / 호박

 익생양술에서 "호박"로 처방에 사용됨
 동의보감에서 "호박(琥珀) / 호박"로 처방에 사용되었음.
분포 전국 각지 채취기간 7∼10월
길이 10∼15m 취급요령 날것으로 쓴다.
생지 밭에 재배 성미 따뜻하며, 달다.
분류 한해살이 덩굴풀 독성여부 없다.
번식 1회사용량 적당량
약효 씨ㆍ열매ㆍ잎 사용범위 많이 먹거나 오래 먹어도 무방하다.
어긋나고 둥근 심장형 또는 둥근 신장형인데 손바닥 모양으로 얕게 5개로 갈라지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잎맥을 따라 흰 반점이 있는 것이 많다. 잎자루는 길다.
6월부터 서리가 내릴 때까지 종 모양의 짙은 황색 꽃이 잎겨드랑이에 1개씩 달려 핀다. 암수한그루의 단성화이다. 꽃은 대개 이른 아침에 핀다. 꽃부리는 끝이 5개로 갈라진다. 수꽃은 꽃자루가 길고 꽃받침통이 얕으며 암꽃은 꽃자루가 짧고 밑 부분에 긴 씨방이 있다.
열매
처음에는 꽃을 이고 달걀 만하게 녹색으로 달렸다가 구형 또는 긴 타원형으로 부풀어 엷은 황색으로 익는다. 과육은 주황색이고 씨가 많이 들어 있다. 씨는 타원형이고 두꺼우며 회백색인데 마르면 흰색이 된다.
특징 및 사용
남과(南瓜)ㆍ번과(番瓜)ㆍ금과(金瓜)ㆍ왜과(倭瓜)ㆍ북과(北瓜)ㆍ번포라고도 한다. 우리나라에서 재배하는 호박은 아시아에 널리 분포된 동양계 호박(C. moschata), 유럽과 아메리카에서 널리 재배되는 서양계 호박(C. maxima)과 페포계 호박(C. pepo)의 3종이 있는데, 페포계 호박은 특히 줄기가 짧고 모여나며 덩굴성이 아니라는 특징이 있다. 우리나라에서 역사가 오래 된 종은 애호박ㆍ호박고지ㆍ호박범벅ㆍ약호박 등으로 이용되는 동양계 호박이다. 나중에 들어온 서양계 호박은 밤호박으로 불리며 주로 쪄서 먹는다. 또 페포계 호박은 애호박용이다. 덩굴은 굵고 땅 위로 길게 뻗는데 덩굴손으로 감으면서 다른 물체에 붙어 올라간다. 줄기에 능선과 홈이 있으며 단면은 오각형이다. 덩굴과 성숙한 잎에는 거친 털이 있다. 열매꼭지는 목질화되고 5~8개의 모가 지며 특히 열매와 붙은 부분이 넓게 퍼져 있다. 열매를 호박이라 하는데 어린 것을 애호박, 익어서 잘 굳은 늙은 호박을 청둥호박이라 한다. 주로 늙은 호박을 약용한다. 호박은 과채류 중에서 녹말이 가장 풍부한 채소이고 감자ㆍ고구마ㆍ콩 다음으로 칼로리도 높다. 또 다량의 비타민 A와 약간의 비타민 BㆍC를 함유하여 비타민원(源)으로도 매우 중요한 채소이다. 식용ㆍ약용으로 이용된다. 열매ㆍ씨ㆍ잎ㆍ순을 모두 식용한다. 약으로 쓸 때는 푹 삶거나 쪄서 사용하며, 술을 담가서도 쓴다. 복용 중에 양고기를 금한다.
익생양술 효능
주로 부인과ㆍ이비인후과ㆍ순환계 질환을 다스린다.
호박(琥珀) / 호박
라틴명 Succinum
약재의 효능 진경(鎭驚)  (발작 등의 증상을 진정시키는 효능임)
안신(安神)  (담기허(膽氣虛) 또는 담열(膽熱)로 인하여 발생되는 양기조동(陽氣躁動), 심계(心悸), 실면(失眠), 경간(驚癇), 광망(狂妄), 번조이노(煩躁易怒) 등의 병증이 있을 때, 정신을 안정시키는 방법임.)
산어(散瘀)  (어혈(瘀血)을 제거하는 효능임)
통림(通淋)  (하초(下焦)의 습열(濕熱)을 없애고 결석(結石)을 제거하며, 소변 볼 때 깔깔하면서 아프거나 방울방울 떨어지면서 시원하게 나가지 않는 병증을 제거하는 방법임)
행수(行水)  (기기(氣機)를 잘 통하게 하고 수도(水道)를 소통, 조절하여 이수화습(利水化濕)하는 방법의 하나.)
명목(明目)  (눈을 밝게 하는 효능임)
마예(磨翳)  (눈의 생긴 예막(瞖膜)을 치료하는 효능임)
청폐(淸肺)  (열기에 의해 손상된 폐기를 맑게 식히는 효능임)
지혈(止血)  (출혈(出血)을 그치게 하는 효능임)
생기(生肌)  (기육(肌肉)이 생기게 하는 효능임)
벽사(辟邪)  (몸에 나쁜 영향을 미치는 사기(邪氣)를 몰아내는 효능임)
안오장(安五臟)  (오장(五臟)을 편안하게 하는 효능임.)
이소장(利小腸)  (소장(小腸)을 이롭게 하는 효능임)
작용부위 간(肝) , 소장(小腸) , 심(心)
성미 감(甘) , 평(平)
약전기재 한국생약규격집
주의사항 송백과 식물의 수지가 오랫동안 파묻혀 굳어진 것.
약재사용처방 가미수성원(加味壽星元) /  수족추철(手足抽掣)담미심규(痰迷心竅)
가미정지환(加味定志丸) /  경계(驚悸)정충(怔忡)
교감지황전원(交感地黃煎元) /  산후망견망언(産後妄見妄言)
귀신단(歸神丹) /  건망(健忘)전간(癲癎)경계(驚悸)
금박진심환(金箔鎭心丸)[1] /  전간(癲癎)정충(怔忡)경계(驚悸)
당귀고(當歸膏) /  칠상(七傷)오로(五勞)허손(虛損)
대조경산(大調經散) /  산후부종(産後浮腫)산후소변불리(産後小便不利)
도노원(桃奴元) /  사수(邪祟)객오(客忤)염몽(厭夢)
망우산(忘憂散) /  자림(子淋)
백자인산(柏子仁散) /  산후망견망언(産後妄見妄言)
보명단(保命丹) /  만경풍(慢驚風)급경풍(急驚風)
보심환(補心丸) /  심허수전(心虛手戰)
복령호박산(茯苓琥珀散) /  소변불리(小便不利)
붕사산(硼砂散)[1] /  석림(石淋)
삼령호박탕(蔘苓琥珀湯) /  경중양통(莖中痒痛)소변임력(小便淋瀝)
삼인호박산(三因琥珀散) /  삽통(澁痛)오림(五淋)
석결명산(石決明散)[2] /  정예(釘翳)
석영산(石英散) /  석가(石瘕)
소조경산(小調經散) /  산후부종(産後浮腫)
신선취보단(神仙聚寶丹) /  월경부조(月經不調)
안신환(安神丸) /  경광(驚狂)전간(癲癎)
영신고(寧神膏) /  산후망견망언(産後妄見妄言)
영지원(寧志元) /  경계(驚悸)
우황정지환(牛黃定志丸) /  혼모(昏冒)중풍(中風)
우황포룡환(牛黃抱龍丸) /  급경풍(急驚風)만경풍(慢驚風)
울금황련환(鬱金黃連丸) /  사석림(沙石淋)백탁(白濁)융폐(癃閉)
저유고(猪乳膏) /  태경(胎驚)야제(夜啼)
정백환(定魄丸) /  경간(驚癎)
지보단(至寶丹) /  졸중풍(卒中風)풍중장(風中臟)
진경환(鎭驚丸) /  급경풍(急驚風)
철분산(鐵粉散) /  전광(癲狂)
청폐산(淸肺散)[1] /  소변불통(小便不通)
축보환(丑寶丸) /  정충(怔忡)전간(癲癎)
치곡적방(治穀賊方) /  곡적(穀賊)
침향호박환(沈香琥珀丸) /  수종(水腫)
통성오보단(通聖五寶丹) /  양매창(楊梅瘡)아장선(鵝掌癬)천포창(天疱瘡)
투천산(透泉散) /  소변불통(小便不通)
호박(琥珀)[1] /  오림(五淋)석림(石淋)
호박(琥珀)[2] /  금창(金瘡)
호박고(琥珀膏)[2] /  동창(凍瘡)
호박산(琥珀散)[1] /  요혈(尿血)
호박산(琥珀散)[2] /  사림(沙淋)석림(石淋)
호박산(琥珀散)[3] /  결핵(結核)나력(瘰癧)
호박서각고(琥珀犀角膏) /  구설생창(口舌生瘡)
호박조경환(琥珀調經丸)[1] /  포랭무자(胞冷無子)
호박조경환(琥珀調經丸)[2] /  포랭무자(胞冷無子)
호박주사환(琥珀朱砂丸) /  경계(驚悸)
흑룡단(黑龍丹)[1] /  난산(難産)사태불하(死胎不下)
흑룡단(黑龍丹)[2] /  난산(難産)태의불하(胎衣不下)사태불하(死胎不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