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부채

 익생양술에서 "범부채"로 처방에 사용되었음.
 동의보감에서 "사간(射干)/범부채"로 처방에 사용됨
분포 전국 각지 채취기간 3~10월
50~100cm 취급요령 햇볕에 말려 쓴다.
생지 산지, 들, 바닷가 성미 차며, 쓰다.
분류 여러해살이풀 독성여부 없다.
번식 분근ㆍ씨 1회사용량 뿌리줄기 2~4g
약효 뿌리줄기 사용범위 많이 쓰지 않는 것이 좋다.
어긋나와 줄기 밑 부분에서 2열로 배열하는데 좌우로 납작하며 넓은 칼 모양이고 넓게 부챗살 모양으로 퍼져 쥘부채와 비슷하다. 길이 30~50cm, 나비 2~4cm의 편평한 댓잎피침형으로서 끝이 뾰족하고 밑 부분이 서로 줄기를 얼싸안는다. 빛깔은 녹색 바탕에 약간 흰빛을 띤다.
7~8월에 황적색 바탕에 어두운 적색 반점이 있는 육판화가 줄기 끝과 가지 끝에 달려 피는데 지름은 5~6cm이고 수평으로 퍼진다. 가지 끝이 1~2회 갈라진 다음 그 끝에 4~5개의 꽃턱잎이 달리고 그 중앙에 꽃이 우산 모양으로 달린다. 작은 꽃자루의 길이는 1~4cm이다. 꽃덮이 조각은 6개이고 타원형이다. 수술은 3개이고 씨방은 하위이다. 암술대는 곧게 서며 3갈래로 갈라진다.
열매
9~10월에 길이 3cm 정도의 삭과가 타원형으로 달리는데 익으면 3조각으로 갈라진다. 그 안에 둥글고 윤이 나는 검은 씨가 들어 있다.
특징 및 사용
오선(烏扇)ㆍ황원(黃遠)ㆍ야간(夜干)이라고도 한다. 꽃잎에 나 있는 붉은색 얼룩무늬가 호랑이 털가죽처럼 보이고 처음 싹이 나면서부터 질서 있게 퍼지며 자라는 모양이 부채꼴 같다 하여 범부채라 불린다. 짧은 뿌리줄기가 옆으로 뻗는데 황색의 수염뿌리가 많다. 줄기는 곧게 서서 자라며 위쪽에서 가지가 여러 개 갈라진다. 매일 1~2송이 꽃이 피었다가 그날로 시들고 다음날 다른 꽃이 피어나는데 감촉이 부드러운 가죽처럼 매끄럽다. 관상용ㆍ식용ㆍ약용으로 이용된다. 뿌리줄기는 사간이라 하여 약재로 쓰는데 냄새가 특이하고 독성이 있으며 혀에 대고 맛을 보면 탁 쏘는 듯한 매운맛이 난다. 나물로도 먹을 수 있으나 독성이 있어 오랫동안 우려낸 뒤에 먹는 것이 좋다. 약으로 쓸 때는 탕으로 하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사용한다.
사간(射干) / 범부채
라틴명 Belamcandae Rhizoma
약재의 효능 사화(瀉火)  (청법(淸法)에 속함. ‘화(火)’는 열(熱)이 심한 것으로, 사화하는 방법은 단순히 청열(淸熱)하는 약물보다는 맹렬하며, 화는 상염하는 성질이 있으므로 사화할 때는 반드시 하강하거나 사하(瀉下)하는 치법이 수반되어야 한다. 단, 화증에는 허실의 구분이 있어, 실화(實火)인 경우는 사열(瀉熱)하고, 허화(虛火)인 경우는 보수(補水)하는데, 사화는 실열화증(實熱火證)에 알맞은 치법으로 항상 청열(淸熱)과 사하(瀉下)하는 약물을 조합하여 그 열을 없애는, 즉.)
해독(解毒)  (독성(毒性)을 풀어주는 효능임)
산혈(散血)  (혈(血)을 흩뜨리는 효능임)
소담(消痰)  (막혀 있는 탁한 담(痰)을 쳐 내리는 거담(祛痰) 방법임.)
개위(開胃)  (위(胃)를 열어주는 효능임)
하식(下食)  (소식(消食)과 유사한 용어로 먹은 것을 아래로 내리는 효능임)
이장(利腸)  (장(腸)을 이롭게 하는 효능임)
진간(鎭肝)  (간(肝)을 편안하게 진정시키는 효능임)
명목(明目)  (눈을 밝게 하는 효능임)
이인후(利咽喉)  (인후(咽喉)를 편하게 하는 효능임)
행울기(行鬱氣)  (울체된 기운을 소통시켜 주는 효능임)
산혈소담(散血消痰)  (산혈(散血)하고 담(痰)을 없애는 효능임)
작용부위 폐(肺)
성미 고(苦) , 한(寒)
약전기재 중국약전 , 한국생약규격집
주의사항 비위허약(脾胃虛弱), 장한기혈허(臟寒氣血虛), 병무실열(病無實熱) 등의 증상이 있으면 복용하지 말 것.
독성 Low / toxic class of herbaceous folk medicine.(toxic; active but toxic, cautious/very toxic, at small dose, usually used for emergency case) 1,2).
1) H.K. Do, Shin Rhong Bon Cho Kyung, 452.
2) H.T. Rhu, Hyang Yak Jip Sung Bang, 1431.
약재사용처방 강활방기탕(羌活防己湯) /  부골저(附骨疽)
개기소담탕(開氣消痰湯)[1] /  담괴(痰塊)
개기소담탕(開氣消痰湯)[2] /  결핵(結核)
금련소독음(芩連消毒飮) /  대두온(大頭瘟)
금소환(金消丸) /  인후종통(咽喉腫痛)
내소옥설탕(內消沃雪湯) /  내저(內疽)위완옹(胃脘癰)두옹(肚癰)
사간(射干)[1] /  구취(口臭)
사간(射干)[2] /  후폐(喉閉)
사간탕(射干湯)[1] /  후아실성(喉{아}失聲)풍한졸아(風寒卒牙)
사간탕(射干湯)[2] /  위완옹(胃脘癰)
서각탕(犀角湯) /  결양(結陽)
소농음(消膿飮) /  폐옹(肺癰)
소방산(蘇方散) /  변옹(便癰)
양독승마탕(陽毒升麻湯) /  상한양독(傷寒陽毒)
오향연교탕(五香連翹湯) /  옹저(癰疽)
칠미감길탕(七味甘桔湯) /  두창인후종통(痘瘡咽喉腫痛)
현삼산(玄蔘散) /  현옹(懸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