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생양술에서 "벼"로 처방에 사용되었음.
 동의보감에서 "이당(飴糖)/엿"로 처방에 사용됨
 동의보감에서 "주조(酒糟)/술지게미"로 처방에 사용됨
 동의보감에서 "초니(醋泥)/초지게미"로 처방에 사용됨
 동의보감에서 "홍국(紅麴)/홍국"로 처방에 사용됨
 동의보감에서 "갱미(粳米)/쌀"로 처방에 사용됨
 동의보감에서 "고주(苦酒)/쌀식초"로 처방에 사용됨
 동의보감에서 "나미(糯米)/찹쌀"로 처방에 사용됨
 동의보감에서 "나미주(糯米酒)/찹쌀술"로 처방에 사용됨
 동의보감에서 "도간(稻稈)/찰벼짚"로 처방에 사용됨
 동의보감에서 "도아(稻芽)/벼의 싹"로 처방에 사용됨
 동의보감에서 "미초(米醋)/쌀식초"로 처방에 사용됨
 동의보감에서 "백죽(白粥)/흰죽"로 처방에 사용됨
 동의보감에서 "저두강(杵頭糠)/절구공이에 묻은 겨"로 처방에 사용됨
 동의보감에서 "진미(陳米)/묵은 쌀"로 처방에 사용됨
 동의보감에서 "진창미(陳倉米)/묵은 쌀"로 처방에 사용됨
 동의보감에서 "청주(淸酒)/술"로 처방에 사용됨
 동의보감에서 "초(醋)/쌀 식초"로 처방에 사용됨
 동의보감에서 "취건반(炊乾飯)/벼"로 처방에 사용됨
 동의보감에서 "호초(好醋)/쌀식초"로 처방에 사용됨
분포 전국 각지 채취기간 7~10월
50~100cm 취급요령 햇볕에 말려 도정한다.
생지 논과 밭에 재배 성미 따뜻하며, 달다.
분류 한해살이풀 독성여부 없다.
번식 1회사용량 볏짚 5~8g
약효 볏짚 사용범위 치유되는 대로 중단한다.
어긋나며 길이 30cm, 나비 3~5mm로서 전체적으로 좁고 긴 선형인데 끝이 뾰족하고 평행맥이 있으며 표면과 가장자리가 거칠다. 잎은 줄기의 밑에서부터 위로 올라가면서 마디마다 1장씩 나오는데 보통 12~21장의 잎이 나오지만 새로운 잎이 증가함에 따라 늙은 잎은 차차 말라 죽는다. 맨 위에서부터 2~4번째 잎이 가장 크다. 잎은 잎집ㆍ잎몸ㆍ잎혀ㆍ잎귀로 구성되어 있는데 잎집은 줄기를 둘러싸서 보호하고, 잎몸은 광합성 작용을 하며, 잎혀는 줄기와 잎몸 사이를 밀폐하는 구실을 하고, 잎귀는 잎몸이 줄기에서 떨어지지 않게 줄기를 감싼다.
7~8월에 줄기의 끝에서 나온 이삭 위에 희고 작은 꽃들이 원추 꽃차례를 이루며 달려 핀다. 꽃이삭은 꽃이 필 때는 곧게 서지만 벼가 익을 때는 밑으로 처지는데 많은 작은 이삭들이 이삭 가지에 어긋나게 달린다. 벼꽃을 영화(穎花)라 하며 6개의 수술과 1개의 암술로 되어 있다.
열매
9~10월에 긴 타원형의 영과가 달려 익는다. 이 열매를 벼라고 한다. 벼의 씨는 현미(玄米)와 이를 둘러싸고 있는 껍질, 즉 왕겨로 구성되어 있다.
특징 및 사용
나록(羅祿)이라고도 한다. 줄기는 속이 비어 있고 12~18개의 마디가 있는데 위쪽에 있는 마디 4~5개가 길고 그 밑의 마디는 줄기의 밑 부분에 밀집되어 있다. 마디의 표면은 볼록하며 잎은 이 부분에서 나온다. 마디 사이는 원통형이고 위쪽 부분을 제외하고는 잎집에 둘러싸여 있다. 열매인 벼의 껍질을 벗긴 것이 쌀인데 우리가 매일 먹는 주식이다. 공업용ㆍ식용으로 널리 이용된다. 벼에서 얻어지는 것은 나락과 볏짚인데 나락은 도정하여 쌀과 왕겨ㆍ쌀겨로 나누어진다. 쌀은 밥을 짓는 데 주로 쓰이고 술ㆍ떡ㆍ과자ㆍ엿 등의 원료로 이용된다. 볏짚과 왕겨는 연료와 퇴비로 많이 쓰이나 특히 볏짚은 가마니ㆍ새끼 등의 짚 세공용으로 쓰이며 예전에는 초가집의 지붕을 덮는 데 이용되었다. 또 쌀겨는 기름을 짜거나 사료ㆍ비료ㆍ약용 등으로 많이 쓰인다. 약으로 쓸 때는 주로 탕으로 하여 사용한다.
이당(飴糖) / 엿
라틴명 Saccharum Granorum
약재의 효능 보중(補中)  (비위(脾胃)를 보(補)하는 효능임.)
익기(益氣)
건비(健脾)  (비(脾)가 허(虛)한 것을 보(補)하여 운화기능(運化機能)이 약화된 것을 치료하는 방법)
윤폐(潤肺)  (폐(肺)를 적셔주는 효능임)
화중(和中)  (중초(中焦)를 조화롭게 하여 기능을 정상으로 만드는 효능임)
생진(生津)  (진액을 자양하는 약물을 사용하여 고열 등의 원인으로 인한 진액 손상을 치료하는 방법.)
해독(解毒)  (독성(毒性)을 풀어주는 효능임)
소담(消痰)  (막혀 있는 탁한 담(痰)을 쳐 내리는 거담(祛痰) 방법임.)
지해(止咳)  (기침을 그치게 하는 효능임)
화제약(和諸藥)  (모든 약제의 약효를 조화롭게 하는 효능임)
제허랭(除虛冷)  (허랭(虛冷)한 것을 제거하는 효능임)
작용부위 비(脾) , 위(胃) , 폐(肺)
성미 감(甘) , 온(溫)
약재사용처방 도씨계지탕(陶氏桂枝湯) /  상한태양병(傷寒太陽病)
영수고(寧嗽膏) /  노수(勞嗽)
이당(飴糖)[2] /  골경(骨鯁)
이당(飴糖)[5] /  손상어혈(損傷瘀血)
행교음가감방(杏膠飮加減方)[16] /  신수(腎嗽)
현상설리고(玄霜雪梨膏)[2] /  노수(勞嗽)타혈(唾血)객혈(喀血)
주조(酒糟) / 술지게미
라틴명 Sedimentum Veni
약재의 효능 온중(溫中)  (중초(中焦)를 따뜻하게 하는 효능임)
소체(消滯)  (음식물이 체한 것을 소화시키는 효능임)
산어(散瘀)  (어혈(瘀血)을 제거하는 효능임)
지통(止痛)  (통증(痛症)을 그치게 하는 효능임)
제랭(除冷)  (냉기(冷氣)를 없애는 효능임)
살성(殺腥)  (비린내 나는 음식으로 인하여 탈이 난 것을 치료하는 효능임.)
조장부(調臟腑)  (장부(臟腑)를 조화롭게 하는 효능임)
윤피부(潤皮膚)  (피부(皮膚)를 적셔주는 효능임)
활혈행경(活血行經)  (혈(血)의 운행을 활발히 하여 월경(月經)이 잘 나오게 하는 효능임)
활혈행경지통(活血行經止痛)  (혈(血)의 운행을 활발히 하여 월경(月經)이 잘 나오게 하고 나아가 통증도 없애는 효능임)
성미 감신(甘辛) , 온(溫)
약재사용처방 이생고(二生膏)[1] /  근단(筋斷)골절(骨折)
주조(酒糟) /  타박상(打撲傷)
협골법(夾骨法) /  골절(骨折)
초니(醋泥) / 초지게미
라틴명 Aceti Sedimentum
약재의 효능 도기파체(導氣破滯)  (도기(導氣)하고 체한 것을 푸는 효능임)
해독(解毒)  (독성(毒性)을 풀어주는 효능임)
살충(殺蟲)  (기생충을 없애는 효능임)
작용부위 간(肝) , 위(胃)
성미 산고(酸苦) , 온(溫)
약재사용처방 초니(醋泥) /  탕화상(燙火傷)
홍국(紅麴) / 홍국
라틴명 Oryzae Semen cum Monasco
약재의 효능 파혈(破血)  (어혈을 비교적 독하고 강한 거어약(袪瘀藥)을 사용하여 없애는 방법임)
활혈(活血)  (혈(血)의 운행을 활발히 하는 효능임)
건비(健脾)  (비(脾)가 허(虛)한 것을 보(補)하여 운화기능(運化機能)이 약화된 것을 치료하는 방법)
소식(消食)  (음식을 소화시키는 효능임)
조위(燥胃)  (위(胃)가 건조하고 마른 것을 치료하는 효능임)
하수곡(下水穀)  (수곡(水穀), 즉 음식물을 아래로 내리는 효능임)
활혈화어(活血化瘀)  (혈(血)의 운행을 활발히 하여 어혈(瘀血)을 없애는 효능임)
건비소식(健脾消食)  (비(脾)를 튼튼하게 하고 음식을 소화시키는 효능임)
화제습열(化除濕熱)  (습열(濕熱)을 없애는 효능임)
작용부위 비(脾) , 위(胃)
성미 감(甘) , 한(寒)
주의사항 갱미(粳米)에 기생(寄生)한 자색 홍국(紫色紅麴).
약재사용처방 쌍오산(雙烏散) /  상손동통(傷損疼痛)
청륙환(淸六丸) /  서설(暑泄)
현호색환(玄胡索丸) /  혈심통(血心痛)
갱미(粳米) / 쌀
라틴명 Oryzae Semen
약재의 효능 보중(補中)  (비위(脾胃)를 보(補)하는 효능임.)
익기(益氣)
화위(和胃)  (위기(胃氣)를 조화시킬 때 쓰는 방법을 말함)
건비(健脾)  (비(脾)가 허(虛)한 것을 보(補)하여 운화기능(運化機能)이 약화된 것을 치료하는 방법)
청폐(淸肺)  (열기에 의해 손상된 폐기를 맑게 식히는 효능임)
총이(聰耳)  (귀가 잘 들리지 않을때 귀를 밝게 하는 효능임)
명목(明目)  (눈을 밝게 하는 효능임)
강지(强志)  (지력(志力)을 강하게 하는 효능임)
익정(益精)  (정기(精氣)를 보익(補益)하는 효능임)
청열(淸熱)  (열기를 성질이 차거나 서늘한 약으로 식히는 효능임)
제번(除煩)  (번조(煩躁)한 것을 제거하는 효능임)
지갈(止渴)  (갈증을 그치게하는 효능임)
이변(利便)  (대소변(大小便)을 잘 나오게 하는 효능임)
조오장(調五臟)  (오장(五藏)을 조화롭게 하는 효능임)
장근골(壯筋骨)  (근골(筋骨)을 튼튼히 하는 효능임)
장기육(長肌肉)  (기육(肌肉)을 기르는 효능임)
통혈맥(通血脈)  (혈맥이 잘 흐르게 하는 효능임)
윤안색(潤顔色)  (안색(顔色)을 윤기있게 하는 효능임)
작용부위 비(脾) , 위(胃)
성미 감고(甘苦) , 평(平)
약전기재 한국생약규격집
주의사항 오래된 것은 하기(下氣)에 씀.
독성 Mild; active, but toxicity appears very mild unless used for long time 1,2).
1) H.K. Do, Shin Rhong Bon Cho Kyung, 452.
2) H.T. Rhu, Hyang Yak Jip Sung Bang, 1431.
약재사용처방 가감사백산(加減瀉白散)[2] /  해수(咳嗽)천촉(喘促)화천(火喘)
맥문동탕(麥門冬湯)[2] /  상한노복발열(傷寒勞復發熱)
맥문동탕(麥門冬湯)[4] /  화천(火喘)
백설고(白雪糕) /  비위허한(脾胃虛寒)
백호계지탕(白虎桂枝湯) /  온학(溫瘧)
백호탕(白虎湯) /  상한양명병(傷寒陽明病)
복령조화고(茯苓造化糕)[1] /  비위허약(脾胃虛弱)
비전삼선고(秘傳三仙糕)[1] /  비위허약(脾胃虛弱)
소아초생구급방(小兒初生救急方)[14] /  초생무피(初生無皮)
용호탕(龍虎湯) /  열학(熱瘧)
응신산(凝神散) /  열중(熱中)
인삼백호탕(人蔘白虎湯) /  상한양명병(傷寒陽明病)
저백피산(樗白皮散) /  구리(久痢)
지황죽(地黃粥) /  목적종통(目赤腫痛)
창출백호탕(蒼朮白虎湯) /  상한양명병(傷寒陽明病)
천화산(天花散)[1] /  소갈(消渴)
치양매천포제창우방(治楊梅天疱諸瘡又方) /  천포창(天疱瘡)양매창(楊梅瘡)
팔선고(八仙糕) /  손설(飱泄)
해약중독(解藥中毒) /  약물중독(藥物中毒)
행교음가감방(杏膠飮加減方)[2] /  간수(肝嗽)
화반탕(化斑湯) /  반진(斑疹)
고주(苦酒) / 쌀식초
라틴명 Oryzae Acetum
약재의 효능 소설기혈(疎泄氣血)  (기혈(氣血)의 소통을 이롭게 하는 효능임)
산어소종(散瘀消腫)  (어혈(瘀血)을 제거하고 부종을 가라앉히는 효능임)
도체행수(導滯行水)  (체한 것을 풀고 물을 소통시키는 효능임)
하기제열(下氣除熱)  (기운을 아래로 내려 열을 없애주는 효능임)
개위성비(開胃醒脾)  (위(胃)를 열어주고 비(脾)를 깨우는 효능임)
살충(殺蟲)  (기생충을 없애는 효능임)
제사황·단사·담반·상산제약(制四黃·丹砂·膽礬·常山諸藥)
작용부위 간(肝) , 위(胃)
성미 산고(酸苦) , 온(溫)
독성 Mild; active, but toxicity appears very mild unless used for long time 1,2).
1) H.K. Do, Shin Rhong Bon Cho Kyung, 452.
2) H.T. Rhu, Hyang Yak Jip Sung Bang, 1431.
약재사용처방 저담계자탕(猪膽鷄子湯) /  시독흘답(時毒疙瘩)반진(斑疹)
해채소독일방(解菜蔬毒一方)[2] /  채소독(菜蔬毒)
나미(糯米) / 찹쌀
라틴명 Oryzae Semen
약재의 효능 온중(溫中)  (중초(中焦)를 따뜻하게 하는 효능임)
익기(益氣)
행혈(行血)  (치법의 하나. 혈액순환을 촉진하는 방법으로서, 주로 어혈증(瘀血證)에 적용함.)
보비폐(補脾肺)  (비폐(脾肺)를 보하는 효능임)
난위장(暖胃臟)  (온위산한(溫胃散寒)이라고도 하며 위(胃)를 따뜻하게 한다는 뜻으로 쓰이는 말임.)
고태원(固胎元)  (자궁을 튼튼하게 하는 효능임)
견대변(堅大便)  (대변(大便)을 굳게 하는 효능임)
축소변(縮小便)  (소변이 너무 잦을때 하초의 기운을 공고히 하여 이를 다스리는 효능임)
발두창(發痘瘡)  (두창(痘瘡)이 체표(體表)로 배출되도록 하는 효능임)
행영위중혈적(行營衛中血積)  (영분(營分)과 위분(衛分)에 쌓인 혈적(血積)을 소통시켜 없애는 효능임)
작용부위 비(脾) , 위(胃) , 폐(肺)
성미 감(甘) , 온(溫)
독성 Mild; active, but toxicity appears very mild unless used for long time 1,2).
1) H.K. Do, Shin Rhong Bon Cho Kyung, 452.
2) H.T. Rhu, Hyang Yak Jip Sung Bang, 1431.
약재사용처방 거수고(去水膏) /  옹저(癰疽)
거흑염자방(去黑쵡子方) /  흑지(黑痣)
나미(糯米)[1] /  비병(脾病)
나미(糯米)[2] /  설사(泄瀉)
나미(糯米)[3] /  곽란번갈(霍亂煩渴)
나미(糯米)[4] /  소갈(消渴)
나미고(糯米膏)[1] /  악창(惡瘡)옹저(癰疽)발배(發背)
나미고(糯米膏)[2] /  골절(骨折)타박상(打撲傷)근단(筋斷)
내소산(來甦散) /  인사불성(人事不省)난산(難産)
도화탕(桃花湯) /  농혈리(膿血痢)상한소음병(傷寒少陰病)
매화탕(梅花湯) /  소갈(消渴)
백설고(白雪糕) /  비위허한(脾胃虛寒)
백화사주법(白花蛇酒法) /  백라창(白癩瘡)
보령단(保靈丹) /  고독(蠱毒)약독(藥毒)
보원탕(保元湯)[4] /  두창(痘瘡)
보원탕(保元湯)[6] /  두창(痘瘡)
보원탕(保元湯)[7] /  두창(痘瘡)
보폐산(補肺散) /  폐기상역(肺氣上逆)
비전삼선고(秘傳三仙糕)[1] /  비위허약(脾胃虛弱)
생지황죽(生地黃粥) /  태루(胎漏)
신공산(神功散) /  두출과밀(痘出過密)
안영탕(安榮湯) /  반산(半産)
안태산(安胎散)[1] /  태동불안(胎動不安)하혈(下血)
양원산(養元散) /  허설(虛泄)
연심산(蓮心散)[1] /  노심토혈(勞心吐血)
옥용산(玉容散) /  면상잡병(面上雜病)
옥천산(玉泉散) /  소갈(消渴)
입효방(立效方) /  유즙불행(乳汁不行)
자초목통탕(紫草木通湯) /  두창요삽(痘瘡尿澁)
저강환(杵糠丸) /  오격(五膈)
제음단(濟陰丹) /  무사(無嗣)
조태산(罩胎散)[2] /  임신두창(妊娠痘瘡)
천진원(天眞元) /  비신구허(脾腎俱虛)
체침환(替鍼丸)[1] /  옹저(癰疽)
총죽(蔥粥) /  태동불안(胎動不安)
취지병약(取痣餠藥) /  흑지(黑痣)
치두불기창우방(治痘不起脹又方)[6] /  두진불기창(痘疹不起脹)
팔선고(八仙糕) /  손설(飱泄)
해금육중독일방(解禽肉中毒一方)[1] /  아압육중독(鵝鴨肉中毒)
해반묘원청독방(解斑猫芫靑毒方) /  반묘원청독(斑猫芫靑毒)
화제추도산(和劑抽刀散) /  한적복통(寒積腹痛)
나미주(糯米酒) / 찹쌀술
라틴명 Oryzae cum Alcohol
약재의 효능 활혈(活血)  (혈(血)의 운행을 활발히 하는 효능임)
온중(溫中)  (중초(中焦)를 따뜻하게 하는 효능임)
익기(益氣)
선산옹체(宣散壅滯)
개어결(開瘀結)  (어혈(瘀血)이 뭉친 것을 열어주는 효능임)
소우(消憂)
창의(暢意)
장신(壯神)
벽사(辟邪)  (몸에 나쁜 영향을 미치는 사기(邪氣)를 몰아내는 효능임)
후장위(厚腸胃)  (장(腸)과 위(胃)를 두텁게 하여 그 기능을 좋게 하는 효능임)
조화영위(調和榮衛)
제풍(除風)  (풍(風)의 기운을 제거하는 효능임)
어한(御寒)
산습(散濕)
축예(逐穢)
행혈맥(行血脈)  (혈맥(血脈)을 소통시켜 주는 효능임)
택피부(澤皮膚)  (피부를 윤택하게 하는 효능임)
조약력(助藥力)  (약(藥)의 힘을 도와주는 효능임)
살악독(殺惡毒)
주의사항 음허혈열자(陰虛血熱者)는 마셔서는 안됨.
독성 Mild; active, but toxicity appears very mild unless used for long time 1,2).
1) H.K. Do, Shin Rhong Bon Cho Kyung, 452.
2) H.T. Rhu, Hyang Yak Jip Sung Bang, 1431.
약재사용처방 천진원(天眞元) /  비신구허(脾腎俱虛)
도간(稻稈) / 찰벼짚
라틴명 Oryzae Medulla
약재의 효능 지한(止汗)  (손등의 가운뎃손가락과 무명지(無名指)의 사이로, 지골(指骨)과 중수골(中手骨)의 접합처에서 위로 1치[寸] 6푼[分]이 되는 곳에 위치하며 땀이 많이 나는 것을 치료하는 동씨기혈(董氏奇穴)임.)
배농(排膿)  (고름을 뽑아 내는 치료방법을 말함. 배농(排膿)에는 수술로 째는 방법과 약을 붙이는 것 2가지가 있다.)
보폐(補肺)  (폐(肺)를 보하는 효능임)
건비(健脾)  (비(脾)가 허(虛)한 것을 보(補)하여 운화기능(運化機能)이 약화된 것을 치료하는 방법)
양위진(養胃津)  (위음(胃陰)을 보(補)하는 효능임)
퇴허열(退虛熱)  (허열을 제거하는 효능임)
작용부위 비(脾) , 위(胃)
성미 신감(辛甘) , 평(平)
독성 Mild; active, but toxicity appears very mild unless used for long time 1,2).
1) H.K. Do, Shin Rhong Bon Cho Kyung, 452.
2) H.T. Rhu, Hyang Yak Jip Sung Bang, 1431.
약재사용처방 도간회(稻稈灰) /  타박상(打撲傷)낙상(落傷)
해마독방(解馬毒方) /  마독입창(馬毒入瘡)
해비상독일방(解砒霜毒一方)[6] /  비상중독(砒霜中毒)
도아(稻芽) / 벼의 싹
라틴명 Oryzae Fructus Germinatus
약재의 효능 건비(健脾)  (비(脾)가 허(虛)한 것을 보(補)하여 운화기능(運化機能)이 약화된 것을 치료하는 방법)
개위(開胃)  (위(胃)를 열어주는 효능임)
소식(消食)  (음식을 소화시키는 효능임)
화중(和中)  (중초(中焦)를 조화롭게 하여 기능을 정상으로 만드는 효능임)
하기(下氣)  (인체 하부의 기(氣)를 말함.)
제열(除熱)  (열(熱)을 제거하는 효능임)
양위음(養胃陰)  (위음(胃陰)을 보(補)하는 효능임)
화위탁(化胃濁)  (위장(胃腸)에 있는 탁한 것들을 없애는 효능임)
조리비위(調利脾胃)  (비위(脾胃)의 소통을 조절하는 효능임)
작용부위 비(脾) , 위(胃)
성미 감(甘) , 온(溫)
약전기재 중국약전
주의사항 벼를 띄워 싹을 냄.
약재사용처방 곡신탕(穀神湯) /  불능식(不能食)내상비위증(內傷脾胃證)
회생양위단(回生養胃丹) /  반위(反胃)
미초(米醋) / 쌀식초
라틴명 Oryzae Acetum
약재의 효능 소설기혈(疎泄氣血)  (기혈(氣血)의 소통을 이롭게 하는 효능임)
산어소종(散瘀消腫)  (어혈(瘀血)을 제거하고 부종을 가라앉히는 효능임)
도체행수(導滯行水)  (체한 것을 풀고 물을 소통시키는 효능임)
하기제열(下氣除熱)  (기운을 아래로 내려 열을 없애주는 효능임)
개위성비(開胃醒脾)  (위(胃)를 열어주고 비(脾)를 깨우는 효능임)
살충(殺蟲)  (기생충을 없애는 효능임)
해비석독(解砒石毒)  (비상(砒霜)의 원재료인 비석(砒石)의 독(毒)을 해독(解毒)하는 효능임.)
제사황·단사·담반·상산제약(制四黃·丹砂·膽礬·常山諸藥)
작용부위 간(肝) , 위(胃)
성미 산고(酸苦) , 온(溫)
독성 Mild; active, but toxicity appears very mild unless used for long time 1,2).
1) H.K. Do, Shin Rhong Bon Cho Kyung, 452.
2) H.T. Rhu, Hyang Yak Jip Sung Bang, 1431.
약재사용처방 미초(米醋) /  후옹(喉癰)후비(喉痺)
삼릉전(三稜煎)[2] /  주적(酒積)식적(食積)기괴(氣塊)혈가(血瘕)
영응고(靈應膏)[2] /  옹저(癰疽)유옹(乳癰)악창(惡瘡)
백죽(白粥) / 흰죽
라틴명 Oryzae Ptisanari
약재의 효능 보중익기(補中益氣)  (비(脾)를 보양하고 아래로 쳐진 비기(脾氣)를 일으키는 효능임)
건비화위(健脾和胃)  (비(脾)를 튼튼하게 하고 위(胃)를 조화롭게 하는 효능임)
자음(滋陰)  (음기(陰氣)를 기르는 효능임)
이뇨(利尿)  (소변이 잘 나오게 하는 효능임)
통림(通淋)  (하초(下焦)의 습열(濕熱)을 없애고 결석(結石)을 제거하며, 소변 볼 때 깔깔하면서 아프거나 방울방울 떨어지면서 시원하게 나가지 않는 병증을 제거하는 방법임)
작용부위 비(脾) , 위(胃)
성미 감(甘) , 평(平)
독성 Mild; active, but toxicity appears very mild unless used for long time 1,2).
1) H.K. Do, Shin Rhong Bon Cho Kyung, 452.
2) H.T. Rhu, Hyang Yak Jip Sung Bang, 1431.
약재사용처방 해고련독일방(解苦楝毒一方) /  고련독(苦練毒)
저두강(杵頭糠) / 절구공이에 묻은 겨
라틴명 Oryzae Testa
약재의 효능 통양(通陽)  (양기(陽氣)가 한습(寒濕)이나 담(痰)이 막아 통하지 못하는 병증에 쓰는 방법임)
개위(開胃)  (위(胃)를 열어주는 효능임)
하기(下氣)  (인체 하부의 기(氣)를 말함.)
마적(磨積)  (적취(積聚)를 해소하는 효능임)
활피부(滑皮膚)  (피부(皮膚)를 매끄럽게 하는 효능임)
충기(充飢)  (기육을 충만하게 영양하는 효능임)
이산(易産)  (분만할 때 아이를 쉽게 날 수 있게 하는 효능임)
작용부위 대장(大腸) , 위(胃)
성미 감신(甘辛) , 평(平)
독성 Mild; active, but toxicity appears very mild unless used for long time 1,2).
1) H.K. Do, Shin Rhong Bon Cho Kyung, 452.
2) H.T. Rhu, Hyang Yak Jip Sung Bang, 1431.
약재사용처방 저강환(杵糠丸) /  오격(五膈)
저두강(杵頭糠) /  열격(噎膈)
진미(陳米) / 묵은 쌀
라틴명 Arida Oryza Distillata
약재의 효능 보중(補中)  (비위(脾胃)를 보(補)하는 효능임.)
익기(益氣)
양위(養胃)  (위(胃)가 마르고 진액(津液)이 상한 것과 위음(胃陰)이 부족하여 위부작통(胃部灼痛), 위중불서(胃中不舒), 이기(易饑), 대변조결(大便燥結) 등의 증상이 나타났을 때 위음(胃陰)을 청양(淸養)시키는 방법임)
지갈(止渴)  (갈증을 그치게하는 효능임)
삼습제번(渗濕除煩)  (습사(濕邪)를 완만하게 소변으로 빼내고 번조(煩燥)를 없애는 효능임)
관중(寬中)  (속을 편안하게 하는 효능임)
하기(下氣)  (인체 하부의 기(氣)를 말함.)
난비(暖脾)  (비(脾)를 따뜻하게 하는 효능임)
삽장(澁腸)  (설사를 그치게 하는 효능임)
제열(除熱)  (열(熱)을 제거하는 효능임)
통혈맥(通血脈)  (혈맥이 잘 흐르게 하는 효능임)
진식(進食)  (식욕이 좋아져서 지난날보다 음식을 더 먹는 것을 뜻하는 용어임.)
소식(消食)  (음식을 소화시키는 효능임)
견근골(堅筋骨)  (근육과 뼈를 견고하게 하는 효능임)
이소변(利小便)  (소변을 잘 나오게 하는 효능임)
기양도(起陽道)  (기혈(氣血)이 체표(體表)로 퍼져 생리기능이 원활하도록 하는 음양(陰陽)의 양적(陽的)인 작용을 원활하게 하는 효능임)
작용부위 비(脾) , 심(心) , 위(胃)
성미 감담(甘淡) , 평(平)
주의사항 쪄서 말리거나 볶은 쌀.
독성 Mild; active, but toxicity appears very mild unless used for long time 1,2).
1) H.K. Do, Shin Rhong Bon Cho Kyung, 452.
2) H.T. Rhu, Hyang Yak Jip Sung Bang, 1431.
약재사용처방 대황탕(大黃湯)[2] /  반위(反胃)냉연(冷涎)
은백산(銀白散) /  만경풍(慢驚風)
진창미(陳倉米) / 묵은 쌀
라틴명 Arida Oryza Distillata
약재의 효능 보중(補中)  (비위(脾胃)를 보(補)하는 효능임.)
익기(益氣)
양위(養胃)  (위(胃)가 마르고 진액(津液)이 상한 것과 위음(胃陰)이 부족하여 위부작통(胃部灼痛), 위중불서(胃中不舒), 이기(易饑), 대변조결(大便燥結) 등의 증상이 나타났을 때 위음(胃陰)을 청양(淸養)시키는 방법임)
지갈(止渴)  (갈증을 그치게하는 효능임)
삼습제번(渗濕除煩)  (습사(濕邪)를 완만하게 소변으로 빼내고 번조(煩燥)를 없애는 효능임)
관중(寬中)  (속을 편안하게 하는 효능임)
하기(下氣)  (인체 하부의 기(氣)를 말함.)
난비(暖脾)  (비(脾)를 따뜻하게 하는 효능임)
삽장(澁腸)  (설사를 그치게 하는 효능임)
제열(除熱)  (열(熱)을 제거하는 효능임)
통혈맥(通血脈)  (혈맥이 잘 흐르게 하는 효능임)
진식(進食)  (식욕이 좋아져서 지난날보다 음식을 더 먹는 것을 뜻하는 용어임.)
소식(消食)  (음식을 소화시키는 효능임)
견근골(堅筋骨)  (근육과 뼈를 견고하게 하는 효능임)
이소변(利小便)  (소변을 잘 나오게 하는 효능임)
기양도(起陽道)  (기혈(氣血)이 체표(體表)로 퍼져 생리기능이 원활하도록 하는 음양(陰陽)의 양적(陽的)인 작용을 원활하게 하는 효능임)
작용부위 비(脾) , 심(心) , 위(胃)
성미 감담(甘淡) , 평(平)
주의사항 쪄서 말리거나 볶은 쌀
독성 Mild; active, but toxicity appears very mild unless used for long time 1,2).
1) H.K. Do, Shin Rhong Bon Cho Kyung, 452.
2) H.T. Rhu, Hyang Yak Jip Sung Bang, 1431.
약재사용처방 마적원(磨積元)[2] /  다적(茶積)
비화음(比和飮) /  구토(嘔吐)
창름탕(倉廩湯) /  금구리(噤口痢)
체침환(替鍼丸)[2] /  옹저(癰疽)
태창환(太倉丸) /  열격(噎膈)반위(反胃)
향각환(香殼丸)[2] /  식상(食傷)
화중음(和中飮) /  적백리(赤白痢)구리(久痢)
황미환(黃米丸) /  수종(水腫)
청주(淸酒) / 술
라틴명 Purum Vinum Oryzae
약재의 효능 온양통맥(溫陽通脈)  (양기(陽氣)를 보태어 경맥(經脈)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는 효능임)
활혈통경(活血通經)  (이혈법(理血法)의 하나임.)
발한(發汗)  (땀을 내게 하는 효능임)
산한체(散寒滯)  (한사(寒邪)로 체한 것을 없애는 효능임)
개어결(開瘀結)  (어혈(瘀血)이 뭉친 것을 열어주는 효능임)
소음식(消飮食)  (음식을 소화시키는 효능임)
조화영위(調和榮衛)
독성 Mild; active, but toxicity appears very mild unless used for long time 1,2).
1) H.K. Do, Shin Rhong Bon Cho Kyung, 452.
2) H.T. Rhu, Hyang Yak Jip Sung Bang, 1431.
약재사용처방 괴화주(槐花酒) /  발배(發背)나력(瘰癧)옹저(癰疽)
두림주(豆淋酒) /  산후풍치(産後風痓)
주증황련환(酒蒸黃連丸)[2] /  복서(伏暑)
초(醋) / 쌀 식초
라틴명 Acetum
약재의 효능 소설기혈(疎泄氣血)  (기혈(氣血)의 소통을 이롭게 하는 효능임)
산어소종(散瘀消腫)  (어혈(瘀血)을 제거하고 부종을 가라앉히는 효능임)
도체행수(導滯行水)  (체한 것을 풀고 물을 소통시키는 효능임)
하기제열(下氣除熱)  (기운을 아래로 내려 열을 없애주는 효능임)
개위성비(開胃醒脾)  (위(胃)를 열어주고 비(脾)를 깨우는 효능임)
살충(殺蟲)  (기생충을 없애는 효능임)
해비석독(解砒石毒)  (비상(砒霜)의 원재료인 비석(砒石)의 독(毒)을 해독(解毒)하는 효능임.)
제사황·단사·담반·상산제약(制四黃·丹砂·膽礬·常山諸藥)
작용부위 간(肝) , 위(胃)
성미 산고(酸苦) , 온(溫)
독성 Mild; active, but toxicity appears very mild unless used for long time 1,2).
1) H.K. Do, Shin Rhong Bon Cho Kyung, 452.
2) H.T. Rhu, Hyang Yak Jip Sung Bang, 1431.
약재사용처방 묵부환(墨附丸) /  월경부조(月經不調)무사(無嗣)
분사산(粉麝散) /  외렴창(外廉瘡)
삼릉전원(三稜煎元)[2] /  육적(肉積)
삼신고(三神膏) /  옹저(癰疽)발배(發背)
자금환(紫金丸) /  아침통(兒枕痛)
지유산(地楡散)[2] /  오색대하(五色帶下)
초(醋)[1] /  곽란전근(霍亂轉筋)
초(醋)[2] /  발배(發背)정창(釘瘡)
초(醋)[3] /  사태불하(死胎不下)
탈명단(奪命丹)[4] /  포의불하(胞衣不下)
해해채독방(解海菜毒方) /  해채독(海菜毒)
호박조경환(琥珀調經丸)[1] /  포랭무자(胞冷無子)
취건반(炊乾飯) / 벼
라틴명 Arida Oryza Praeparatum
약재의 효능 보중(補中)  (비위(脾胃)를 보(補)하는 효능임.)
익기(益氣)
건비(健脾)  (비(脾)가 허(虛)한 것을 보(補)하여 운화기능(運化機能)이 약화된 것을 치료하는 방법)
화위(和胃)  (위기(胃氣)를 조화시킬 때 쓰는 방법을 말함)
제습(除濕)  (습기(濕氣)를 제거하는 효능임)
작용부위 간(肝) , 위(胃)
성미 산고(酸苦) , 온(溫)
독성 Mild; active, but toxicity appears very mild unless used for long time 1,2).
1) H.K. Do, Shin Rhong Bon Cho Kyung, 452.
2) H.T. Rhu, Hyang Yak Jip Sung Bang, 1431.
약재사용처방 취건반(炊乾飯) /  열격(噎膈)
호초(好醋) / 쌀식초
라틴명 Oryzae Acetum
약재의 효능 소설기혈(疎泄氣血)  (기혈(氣血)의 소통을 이롭게 하는 효능임)
산어소종(散瘀消腫)  (어혈(瘀血)을 제거하고 부종을 가라앉히는 효능임)
도체행수(導滯行水)  (체한 것을 풀고 물을 소통시키는 효능임)
하기제열(下氣除熱)  (기운을 아래로 내려 열을 없애주는 효능임)
개위성비(開胃醒脾)  (위(胃)를 열어주고 비(脾)를 깨우는 효능임)
살충(殺蟲)  (기생충을 없애는 효능임)
해비석독(解砒石毒)  (비상(砒霜)의 원재료인 비석(砒石)의 독(毒)을 해독(解毒)하는 효능임.)
제사황·단사·담반·상산제약(制四黃·丹砂·膽礬·常山諸藥)
작용부위 간(肝) , 위(胃)
성미 산고(酸苦) , 온(溫)
독성 Mild; active, but toxicity appears very mild unless used for long time 1,2).
1) H.K. Do, Shin Rhong Bon Cho Kyung, 452.
2) H.T. Rhu, Hyang Yak Jip Sung Bang, 1431.
약재사용처방 자금단(紫金丹)[3] /  곡달(穀疸)
천금도인전(千金桃仁煎) /  월경불통(月經不通)혈가(血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