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향노루

 익생양술에서 "사향노루"로 처방에 사용되었음.
 동의보감에서 "사향(麝香)/사향"로 처방에 사용됨
분포 전국 채취기간 연중
몸길이 70~100cm, 키 50cm 취급요령 곱게 빻아 쓴다.
생지 깊은 산 돌이 많은 지대 성미 따뜻하며, 맵다.
분류 사슴과 독성여부 없다.
번식 태생 1회사용량 0.06~0.15g
약효 사향 사용범위 치유되는 대로 중단한다.
특징 및 사용
수컷은 이가 외부로 튀어나오고 복부에는 작은 계란만한 향낭(香囊)이 있는데, 여기에 사향(麝香)이 들어 있고 꼬리는 짧다. 향낭을 더운 물에 넣고 유연해지면 피, 모, 내막을 제거하고 사향을 빼내어 산제로 하여 쓴다. 암, 수 모두 뿔이 없다. 한국 자생종은 색채가 짙어 암흑갈색이고 귓속은 흰색, 복부(腹部)는 흰색과 갈색이 섞여 있고 몸에는 유백색의 무늬가 있거나 없다. 주로 심장과 간장 또는 혈증을 다스린다.
사향(麝香) / 사향
라틴명 Moschus
약재의 효능 방향(芳香)
통규(通竅)  (구규(九竅)를 막히지 않게 소통시키는 효능임)
활혈(活血)  (혈(血)의 운행을 활발히 하는 효능임)
개경(開經)  (경락을 열어주는 효능임)
통락(通絡)  (락맥을 소통시키는 효능임)
투골(透骨)  (약의 효과가 뼛속까지 미치는 것을 뜻하는 용어임.)
진심(鎭心)  (심(心)을 진정시키는 효능임)
안신(安神)  (담기허(膽氣虛) 또는 담열(膽熱)로 인하여 발생되는 양기조동(陽氣躁動), 심계(心悸), 실면(失眠), 경간(驚癇), 광망(狂妄), 번조이노(煩躁易怒) 등의 병증이 있을 때, 정신을 안정시키는 방법임.)
성신(醒神)  (정신이 혼미해진 것을 치료하는 효능임)
소종지통(消腫止痛)  (옹저(癰疽)나 상처가 부은 것을 삭아 없어지게 하고 통증을 없애는 효능임)
난수장(暖水臟)
최생이산(催生易産)  (임신부의 출산을 용이하게 하는 효능임)
살충(殺蟲)  (기생충을 없애는 효능임)
주찬통락(走竄通絡)  (락맥(絡脈)을 통하게 하는 효능임)
제사(除邪)  (사기(邪氣)를 제거하는 효능임)
불몽매염매(不夢寐厭魅)
통신선(通神仙)
작용부위 비(脾) , 심(心)
성미 신(辛) , 온(溫)
약전기재 대한약전 , 중국약전
주의사항 수컷의 선분비물. 노극(勞極)한 경우와 임산부는 쓰지 말 것.
독성 The LD50 of synthetic muscone is 290.7 mg/kg in mice (I.p.).
Patients occasionally complain include dizziness, nausea, and vomiting, or loss of appetite.
It is contraindicated for pregment women.1). Coma, dizziness, headache, vertigo 2). Abdominalgia, vomiting, nausea 3).

1) Huang, K.C., The pharmacology of Chinese herbs II, CRC press, 1999.
2) Chang H.M. et al., Advances in chinese medicinal research, world scientific pub. Co., Singapore, 114, 1984.
3) Chang H.M. et al., Advances in chinese medicinal research, world scientific pub. Co., Singapore, 116, 1984.
약재사용처방 가감용회환(加減龍薈丸) /  담화이명(痰火耳鳴)
갈사백원자(蝎麝白元子) /  담연옹성(痰涎壅盛)중풍(中風)
갈초산(蝎梢散)[2] /  촬구(撮口)제풍(臍風)태풍(胎風)
감습산(疳濕散) /  음식창(陰蝕瘡)
개관산(開關散)[2] /  경풍(驚風)
경기원(驚氣元) /  전간(癲癎)
계심산(鷄心散) /  신장풍창(腎臟風瘡)
계향환(桂香丸)[1] /  과채적(果菜積)
계향환(桂香丸)[2] /  사태불하(死胎不下)
고련탕(苦楝湯) /  충갈(蟲渴)
고장산(苦杖散) /  석림(石淋)사림(沙淋)
곡래소거산(哭來笑去散) /  아치종통(牙齒腫痛)
공진단(拱辰丹) /  간허(肝虛)근완(筋緩)
광출화벽환(廣朮化癖丸) /  식징(食癥)유벽(乳癖)
괵귀산(馘鬼散) /  치통(齒痛)
구미청심원(九味淸心元) /  상초열(上焦熱)
구보환(狗寶丸) /  발배(發背)옹저(癰疽)부골저(附骨疽)
귤피산(橘皮散) /  투유(妬乳)취유(吹乳)유옹(乳癰)
금박진심환(金箔鎭心丸)[1] /  전간(癲癎)정충(怔忡)경계(驚悸)
금박진심환(金箔鎭心丸)[2] /  급경풍(急驚風)
금보고(金寶膏) /  마도창(馬刀瘡)나력(瘰癧)
금쇄시(金鎖匙) /  급후폐(急喉閉)전후풍(纏喉風)
금오산(金烏散) /  제풍(臍風)
금화산(金華散)[2] /  두후옹절(痘後癰癤)
급풍산(急風散) /  파상풍(破傷風)제창(諸瘡)
남청즙(藍靑汁) /  제충(諸蟲)노채(勞瘵)
내고청심산(內固淸心散) /  심옹(心癰)옹저(癰疽)악창(惡瘡)
노감석산(爐甘石散) /  난현풍(爛弦風)
당귀용회환(當歸龍薈丸) /  협통(脇痛)간실열(肝實熱)
대구산(代灸散) /  나력(瘰癧)
대청고(大靑膏) /  급경풍(急驚風)
도노원(桃奴元) /  사수(邪祟)객오(客忤)염몽(厭夢)
도체산(導滯散) /  손상어혈(損傷瘀血)대변비결(大便秘結)
도화산(桃花散) /  옹저궤후구불렴(癰疽潰後久不斂)
동청산(銅靑散) /  주마아감(走馬牙疳)
만병원(萬病元) /  전간(癲癎)고독(蠱毒)황달(黃疸)벽괴(癖塊)시주(尸注)학질(瘧疾)
만병해독원(萬病解毒元) /  도생독(挑生毒)고독(蠱毒)
명반산(明礬散) /  풍열이롱(風熱耳聾)
모과환(木瓜丸) /  초생토유(初生吐乳)
목필화산(木筆花散) /  두후비창(痘後鼻瘡)
목향보명단(木香保命丹) /  중풍(中風)
목향환(木香丸) /  냉감(冷疳)
몰약산(沒藥散)[2] /  산후혈결복통(産後血結腹痛)
묘향환(妙香丸) /  조열(潮熱)적열(積熱)
무비산(無比散) /  두창흑함(痘瘡黑陷)
반혼단(返魂丹) /  정창(釘瘡)
백부자산(白附子散)[1] /  궐역두통(厥逆頭痛)
벽금산(碧金散) /  촌백충병(寸白蟲病)
벽사단(辟邪丹)[2] /  사수(邪祟)
벽손정자(辟巽錠子) /  급경풍(急驚風)파상풍(破傷風)만경풍(慢驚風)
보기사영탕(補氣瀉榮湯) /  대풍창(大風瘡)
보령단(保靈丹) /  고독(蠱毒)약독(藥毒)
보명단(保命丹) /  급경풍(急驚風)만경풍(慢驚風)
보생단(保生丹) /  만경풍(慢驚風)
보심환(補心丸) /  심허수전(心虛手戰)
보유화풍단(保幼化風丹) /  급경풍(急驚風)
봉방산(蜂房散) /  감루(疳瘻)
부위산(扶危散) /  견상(犬傷)
분사산(粉麝散) /  외렴창(外廉瘡)
붕사원(硼砂元) /  구취(口臭)구설생창(口舌生瘡)
비룡탈명단(飛龍奪命丹) /  발배(發背)유옹(乳癰)정창(釘瘡)
사백단(四白丹) /  중풍혼모(中風昏冒)
사향(麝香)[2] /  황홀(恍惚)전간(癲癎)
사향(麝香)[3] /  기옹(氣壅)이롱(耳聾)
사향(麝香)[4] /  귀주(鬼疰)심통(心痛)
사향(麝香)[6] /  난산(難産)
사향(麝香)[7] /  경간(驚癎)객오(客忤)
사향경분산(麝香輕粉散) /  천포창(天疱瘡)
사향산(麝香散)[1] /  육혈(衄血)
사향산(麝香散)[2] /  감닉(疳䘌)
사향산(麝香散)[3] /  옹저(癰疽)
사향원(麝香元) /  백호역절풍(白虎歷節風)
사향환(麝香丸) /  무자(無子)백대(白帶)부인음랭(婦人陰冷)
삼간단(三癎丹) /  식간(食癎)
삼성환(三聖丸)[2] /  나력(瘰癧)
선풍산(宣風散)[1] /  제풍(臍風)
섬수환(蟾酥丸) /  무명종독(無名腫毒)악창(惡瘡)정창(釘瘡)
소감원(蘇感元) /  구리(久痢)적리(積痢)
소아초생구급방(小兒初生救急方)[5] /  초생곡도무공(初生穀道無孔)
소아초생구급방(小兒初生救急方)[9] /  초생소변불통(初生小便不通)
소용회환(小龍薈丸) /  기울협통(氣鬱脇痛)
소조경산(小調經散) /  산후부종(産後浮腫)
소청원(蘇靑元) /  풍담(風痰)
소합향원(蘇合香元)[1] /  기통(氣痛)기역(氣逆)중기(中氣)
소합향원(蘇合香元)[2] /  시주(尸注)귀매(鬼魅)
승금산(勝金散)[2] /  역산(逆産)난산(難産)횡산(橫産)
승준환(勝駿丸) /  각기(脚氣)
시호총이탕(柴胡聰耳湯) /  이롱(耳聾)정이(聤耳)
신선취보단(神仙聚寶丹) /  월경부조(月經不調)
신선침사원(神仙沈麝元) /  기통(氣痛)
신응흑옥단(神應黑玉丹) /  오치(五痔)
심통원(尋痛元) /  제상(諸傷)
십미노회환(十味蘆薈丸) /  감질(疳疾)
십향고(十香膏) /  동창(凍瘡)
쌍오산(雙烏散) /  상손동통(傷損疼痛)
양경환(凉驚丸) /  급경풍(急驚風)
양씨사향원(楊氏麝香元) /  퇴산(㿉疝)
엄제법(쵔臍法) /  금구리(噤口痢)
여성고(如聖膏)[2] /  사태불하(死胎不下)난산(難産)
여성환(如聖丸) /  냉열감(冷熱疳)
여신단(如神丹) /  난산(難産)
여지고(荔枝膏) /  소갈(消渴)
연생단(延生丹) /  만경풍(慢驚風)
연연진인탈명단(淵然眞人奪命丹) /  음저(陰疽)발배(發背)정창(釘瘡)
영신고(靈神膏) /  급경풍(急驚風)
영심고(寧心膏) /  급경풍(急驚風)
오간환(五癎丸) /  전간(癲癎)
오감보동원(五疳保童元) /  오장감(五臟疳)
오공유(蜈蚣油)[3] /  치루(痔瘻)
오령지산(五靈脂散) /  견비통(肩臂痛)
오룡단(烏龍丹) /  중풍(中風)
오복화독단(五福化毒丹) /  열감(熱疳)두후옹절(痘後癰癤)
오지산(五枝散) /  노채(勞瘵)전시(傳尸)
오향산(五香散) /  오발옹저(五發癰疽)
오향연교탕(五香連翹湯) /  옹저(癰疽)
오향탕(五香湯) /  옹저(癰疽)
옥섬산(玉蟾散) /  감창(疳瘡)
옥지고(玉脂膏) /  아장선(鵝掌癬)
옥추단(玉樞丹) /  고독(蠱毒)도생독(挑生毒)
온제두두방(溫臍兜肚方) /  백탁(白濁)유정(遺精)적백대하(赤白帶下)
온제종자방(溫臍種子方) /  제복냉통(臍腹冷痛)하원허한(下元虛寒)
와우산(蝸牛散)[1] /  치(痔)
외부신고(外敷神膏) /  적취(積聚)혈고(血鼓)창만(脹滿)
용뇌안신환(龍腦安神丸) /  오간(五癎)
용뇌파독산(龍腦破毒散) /  급후비(急喉痺)
용성단(龍星丹) /  담연옹성(痰涎壅盛)혼모(昏冒)
우황양격원(牛黃凉膈元) /  쌍유아(雙乳蛾)단유아(單乳蛾)
우황정지환(牛黃定志丸) /  중풍(中風)혼모(昏冒)
우황청심원(牛黃淸心元)[1] /  전광(癲狂)
우황청심원(牛黃淸心元)[2] /  졸중풍(卒中風)
우황포룡환(牛黃抱龍丸) /  만경풍(慢驚風)급경풍(急驚風)
운모고(雲母膏)[1] /  나력(瘰癧)골저(骨疽)내저(內疽)
운모고(雲母膏)[2] /  옹저(癰疽)
울제법(鬱臍法)[1] /  상한음독(傷寒陰毒)
웅사산(雄麝散)[1] /  고독(蠱毒)
웅사산(雄麝散)[2] /  객오(客忤)
웅황환(雄黃丸)[2] /  정창(釘瘡)악창(惡瘡)
원지환(遠志丸) /  대경불어(大驚不語)
월섬환(月蟾丸) /  무고감(無辜疳)
유사운모고(乳麝雲母膏) /  누창(瘻瘡)
유향용골산(乳香龍骨散) /  음낭습양(陰囊濕痒)
유향환(乳香丸) /  주마아감(走馬牙疳)
육륙환(六六丸) /  천포창(天疱瘡)양매창(楊梅瘡)
육혼단(育魂丹) /  정충(怔忡)전간(癲癎)
일념금(一捻金) /  정저(疔疽)
일립금단(一粒金丹)[2] /  일체풍(一切風)
자금정(紫金錠)[1] /  귀태(鬼胎)
자금정(紫金錠)[2] /  발배(發背)옹저(癰疽)정창(釘瘡)
자금정자(紫金錠子) /  노채(勞瘵)전시(傳尸)
자설(紫雪) /  적열(積熱)
저성산(抵聖散) /  농이(膿耳)
적기산(的奇散) /  산후설리(産後泄痢)
절감산(截疳散) /  감창(疳瘡)누창(瘻瘡)
절풍환(截風丸) /  급경풍(急驚風)
점예고(點瞖膏) /  예막(翳膜)
접골산(接骨散) /  골절(骨折)
정명산(定命散) /  혈한(血汗)육혈(衄血)
정양산(正陽散)[2] /  상한음독(傷寒陰毒)
정천화담산(定喘化痰散) /  담천(痰喘)
정향산(丁香散) /  대소변불통(大小便不通)
주서산(朱犀散) /  중악(中惡)
지보단(至寶丹) /  풍중장(風中臟)졸중풍(卒中風)
지성보명단(至聖保命丹) /  만경풍(慢驚風)급경풍(急驚風)
진경산(鎭驚散) /  태경(胎驚)야제(夜啼)
진경환(鎭驚丸) /  급경풍(急驚風)
진사고(辰砂膏)[2] /  태경(胎驚)
진사묘향산(辰砂妙香散) /  정충(怔忡)경계(驚悸)
진사환(辰砂丸) /  고독(蠱毒)
진식환(進食丸) /  벽적(癖積)
진심환(鎭心丸) /  급경풍(急驚風)
집향탕(集香湯) /  허종(虛腫)
착호단(捉虎丹)[1] /  각기(脚氣)
착호단(捉虎丹)[2] /  백호역절풍(白虎歷節風)한습각기(寒濕脚氣)
찰아방(擦牙方)[2] /  치통(齒痛)
채명단(寨命丹) /  정창(釘瘡)변독(便毒)유옹(乳癰)
천결산(穿結散) /  대결흉(大結胸)
천금산(千金散)[1] /  양매창(楊梅瘡)
천령개산(天靈蓋散) /  노채(勞瘵)
천주원(天柱元) /  항연(項軟)
천태산(天臺散) /  중풍(中風)탄탄(癱瘓)
철탄원(鐵彈元) /  중풍구안와사(中風口眼喎斜)탄탄(癱瘓)
청금정자(靑金錠子) /  감루(疳瘻)악창(惡瘡)
청심곤담환(淸心滾痰丸) /  경광(驚狂)전간(癲癎)
초황고(硝黃膏) /  적괴(積塊)
촌금정자(寸金錠子) /  치루(痔瘻)
최생단(催生丹) /  난산(難産)횡산(橫産)역산(逆産)
추예환(墜翳丸) /  예막(翳膜)내장(內障)
취이산(吹耳散) /  풍열이롱(風熱耳聾)
취하산(翠霞散) /  악창(惡瘡)누창(瘻瘡)
취후산(吹喉散)[1] /  단유아(單乳蛾)쌍유아(雙乳蛾)
취후산(吹喉散)[3] /  후폐(喉閉)
치번화창일방(治飜花瘡一方) /  번화창(飜花瘡)
치산후혈붕일방(治産後血崩一方) /  산후혈붕(産後血崩)
치심두동방(治心頭疼方) /  심위통(心胃痛)
치아감약(治牙疳藥) /  아감(牙疳)
치악창살충방(治惡瘡殺蟲方)[1] /  악창유충(惡瘡有蟲)
치악창살충방(治惡瘡殺蟲方)[2] /  악창(惡瘡)
치월식창일방(治月蝕瘡一方)[1] /  월식창(月蝕瘡)
치적백한반방(治赤白汗斑方) /  한진(汗疹)
치투정창일방(治妬情瘡一方) /  음식창(陰蝕瘡)하감창(下疳瘡)
치혈붕일방(治血崩一方) /  산후혈붕(産後血崩)
탈명단(奪命丹)[2] /  반위(反胃)
탐생산(探生散) /  만경풍(慢驚風)급경풍(急驚風)
태상혼원단(太上混元丹) /  음허노손(陰虛勞損)
태을산(太乙散) /  태경(胎驚)
태을자금단(太乙紫金丹) /  도생독(挑生毒)고독(蠱毒)
태평환(太平丸) /  허로(虛勞)폐위(肺痿)
토뇌환(兎腦丸) /  난산(難産)
통신산(通神散)[2] /  이롱(耳聾)
투빙단(透氷丹) /  중풍(中風)중풍열증(中風熱證)탄탄(癱瘓)
투철관법(透鐵關法) /  이롱(耳聾)
파결단(破結丹) /  음독결흉(陰毒結胸)양독결흉(陽毒結胸)
파혈산동탕(破血散疼湯) /  어혈요통(瘀血腰痛)
파혈소통탕(破血消痛湯)>동의보감((東醫寶鑑) /  낙상(落傷)
평기산(平肌散) /  부골저(附骨疽)
포룡환(抱龍丸) /  급경풍(急驚風)
한라산(旱螺散) /  하감창(下疳瘡)
해서각중독일방(解犀角中毒一方) /  서각독(犀角毒)
향계산(香桂散) /  사태불하(死胎不下)
향교산(香膠散) /  파상풍(破傷風)
향라고(香螺膏) /  제풍(臍風)
향용환(香茸丸) /  주설(酒泄)
호골산(虎骨散)[1] /  역절풍(歷節風)
호골산(虎骨散)[2] /  역절풍(歷節風)
호박주사환(琥珀朱砂丸) /  경계(驚悸)
호분산(胡粉散) /  개선(疥癬)
호황련환(胡黃連丸) /  열감(熱疳)
혼원단(混元丹) /  허로이수(虛勞羸瘦)
홍면산(紅綿散)[1] /  농이(膿耳)
홍설통중산(紅雪通中散) /  구창(口瘡)중설(重舌)
화독환(化毒丸) /  정창(釘瘡)악창(惡瘡)
화벽여신산(化癖如神散) /  비괴(痞塊)적취(積聚)
환골단(換骨丹) /  중풍(中風)탄탄(癱瘓)
환골환(換骨丸) /  나풍(癩風)
환정자금단(還睛紫金丹) /  난현풍(爛弦風)
활명금단(活命金丹) /  몽매(蒙昧)중풍(中風)
활호단(活虎丹) /  전간(癲癎)
활혼단(活魂丹) /  천포창(天疱瘡)양매창(楊梅瘡)
황룡산(黃龍散) /  정이(聤耳)습롱(濕聾)
회생산(回生散)[2] /  두창흑함(痘瘡黑陷)
회생산(回生散)[3] /  두창흑함(痘瘡黑陷)
회창정자(廻瘡錠子) /  정저(疔疽)
훈별법(熏鱉法) /  탈항(脫肛)
흑고(黑膏) /  온독발반(溫毒發斑)
흑령산(黑靈散) /  누창(瘻瘡)
흑옥단(黑玉丹) /  치루(痔瘻)
희로환(晞露丸) /  장담(腸覃)징가(癥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