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수유나무

 익생양술에서 "산수유나무"로 처방에 사용되었음.
 동의보감에서 "산수유(山茱萸)/산수유나무 열매"로 처방에 사용됨
분포 중부 이남 채취기간 10~11월
3~7m 취급요령 씨를 제거한 뒤 햇볕에 말려 쓴다.
생지 산기슭, 인가 부근 성미 약간 따뜻하며, 시고 떫다.
분류 낙엽 활엽 소교목 독성여부 없다.
번식 1회사용량 말린 건과육 5~8g
약효 과육 사용범위 오래 써도 무방하다.
동속약초 맞채나무ㆍ층층나무
마주나는데 길이 4~12cm, 나비 2.5~6cm의 달걀꼴이나 타원형 또는 달걀 모양의 댓잎피침형으로서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끝이 뾰족하며 밑은 둥글다. 앞면은 녹색이며 윤기가 있고 누운 털이 약간 난다. 뒷면은 연한 녹색이거나 흰빛이 돌며 맥 위에 갈색의 털이 촘촘히 난다. 측맥은 4~7쌍이다. 잎자루는 길이 5~15mm이고 털이 있다.
3~4월에 잎보다 먼저 노란색의 사판화 20~30개가 산형 꽃차례를 이루며 작게 달려 핀다. 양성화이다. 꽃차례받침 조각은 4개이고 길이 6~8mm이며 황색이다. 꽃잎과 수술도 각각 4개씩이다. 암술은 1개이며 씨방은 하위이다.
열매
8월에 길이 1.5cm쯤 되는 긴 타원형의 핵과가 달려 꽃이 진 뒤에 빨갛게 익는데 그 속에 단단한 씨가 들어 있다. 씨는 긴 타원형이고 모서리가 져 있다.
특징 및 사용
석조(石棗)라고도 하며 줄여서 산수유라고도 한다. 나무껍질은 비늘 모양으로 불규칙하게 벗겨지는데 연한 갈색이며 가지가 많다. 열매를 산수유라 하는데 한방에서는 과육을 산수유라 하여 약재로 쓴다. 경남 하동 지방에서 생산되는 산수유가 유명하다. 공업용ㆍ관상용ㆍ 식용ㆍ약용으로 이용된다. 노란 꽃이 나무 전체에 흐드러지게 핀 모습이 아름다워 관상수로 많이 재배된다. 열매는 차로 달여 마시거나 술을 담근다. 약으로 쓸 때는 탕으로 하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사용하며, 술을 담가서도 쓴다. 복용 중에 도라지ㆍ방기를 금한다.
산수유(山茱萸) / 산수유나무 열매
라틴명 Corni Fructus
약재의 효능 삽정(澁精)  (치료법의 하나. 수삽약(收澁藥)으로 몽정(夢精), 활정(滑精), 누정(漏精), 뇨정(尿精) 등의 유정(遺精)을 치료하는 방법임.)
염한(斂汗)  (표(表)가 허(虛)해서 저절로 땀이 나고 식은 땀이 나는 것을 약으로 수렴(收斂)시키는 방법임.)
보신(補腎)  (신(腎)을 보하는 효능임)
온간(溫肝)
조양(助陽)  (양기(陽氣)를 도와주는 효능임)
강음(强陰)  (음(陰)을 강하게 하는 효능임)
제풍(除風)  (풍(風)의 기운을 제거하는 효능임)
축한(逐寒)
하기(下氣)  (인체 하부의 기(氣)를 말함.)
발한(發汗)  (땀을 내게 하는 효능임)
통규(通竅)  (구규(九竅)를 막히지 않게 소통시키는 효능임)
파징결(破癥結)  (오랜 체기(滯氣)가 뭉쳐서 생긴 몸 안의 덩어리를 풀어주는 효능임)
난요슬(暖腰膝)  (허리와 무릎을 따뜻하게 하는 효능임)
축소변(縮小便)  (소변이 너무 잦을때 하초의 기운을 공고히 하여 이를 다스리는 효능임)
살삼충(殺三蟲)  (회충(蛔蟲)과 같은 기생충을 없애는 효능임)
수삽보조(收澁補助)  (수삽(收澁)하는 약물로써 보(補)하는 기능을 돕는 효능임)
명목(明目)  (눈을 밝게 하는 효능임)
경신(輕身)  (몸을 가볍게 하는 효능임)
연년(延年)
작용부위 간(肝) , 신(腎)
성미 미온(微溫) , 산삽(酸澁)
약전기재 대한약전 , 일본약국방 , 중국약전
주의사항 명문화조(命門火燥), 적탁임통(赤濁淋痛), 양강불위(陽强不痿), 소변불리(小便不利) 등의 증상이 있으면 복용하지 말 것.
독성 Contraindicated in individuals with painful or difficult urination 1). Mild; active, but toxicity appears very mild unless used for long time 2,3).
1) Bensky, D. and A. Gamble, Chinese Herbal Medicine, Eastland Press, Inc., 1986.
2) H.K. Do, Shin Rhong Bon Cho Kyung, 452.
3) H.T. Rhu, Hyang Yak Jip Sung Bang, 1431.
약재사용처방 가감내고환(加減內固丸) /  음위(陰痿)음랭(陰冷)
가감신기환(加減腎氣丸) /  신소(腎消)
가감팔미원(加減八味元) /  소갈전변증(消渴傳變證)
가감팔미환(加減八味丸) /  신수부족(腎水不足)
가미보음환(加味補陰丸) /  음허(陰虛)
가미신기환(加味腎氣丸) /  신허부종(腎虛浮腫)수종(水腫)
감리기제환(坎離旣濟丸) /  음허화동(陰虛火動)노손(勞損)
검실환(芡實丸) /  몽설(夢泄)
고본건양단(固本健陽丹) /  신허불임(腎虛不姙)
고암심신환(古庵心腎丸) /  심허(心虛)경계(驚悸)정충(怔忡)
고정환(固精丸) /  정설(精泄)신허(腎虛)탈정(脫精)
고진음자(固眞飮子) /  오심번열(五心煩熱)음양구허(陰陽俱虛)
공진단(拱辰丹) /  근완(筋緩)간허(肝虛)
금박환(金箔丸) /  몽설(夢泄)백음(白淫)
금출저피환(芩朮樗皮丸) /  백대(白帶)
기제환(旣濟丸)[1] /  방광허한(膀胱虛寒)소변불금(小便不禁)
기제환(旣濟丸)[2] /  소변불금(小便不禁)포기불고(胞氣不固)
녹용환(鹿茸丸) /  소갈(消渴)신허(腎虛)
명목장수환(明目壯水丸) /  간신구허내장(肝腎俱虛內障)안화(眼花)
무비산약원(無比山藥元)[1] /  신허(腎虛)
무비산약원(無比山藥元)[2] /  칠상(七傷)오로(五勞)허로(虛勞)
보신환(補腎丸)[3] /  이명(耳鳴)
보정탕(保精湯) /  음허화동(陰虛火動)몽설(夢泄)
부자산수유탕(附子山茱萸湯) /  중만(中滿)족위(足痿)
비전수유내소원(秘傳茱萸內消元) /  수산(水疝)
산수유(山茱萸)[4] /  소변활삭(小便滑數)노인소수단소(老人小水短少)
산수유(山茱萸)[5] /  간양현훈(肝陽眩暈)두풍(頭風)
삼기보폐탕(蔘芪補肺湯) /  폐옹(肺癰)
삼수환(三茱丸) /  기산(氣疝)
삼오칠산(三五七散) /  풍한두통(風寒頭痛)목현(目眩)
삼일신기환(三一腎氣丸) /  신허(腎虛)
소풍순기원(疏風順氣元) /  노인대변비결(老人大便秘結)
속사단(續嗣丹) /  무사(無嗣)
수유내소원(茱萸內消元) /  음란편추(陰卵偏墜)
수유내소환(茱萸內消丸) /  퇴산(㿉疝)한산(寒疝)
신기환(腎氣丸) /  신허(腎虛)
신선기제단(神仙旣濟丹) /  칠상(七傷)오로(五勞)
심평탕(審平湯) /  중열(中熱)면목부종(面目浮腫)복창(腹脹)
연령고본단(延齡固本丹) /  수발조백(鬚髮早白)중년양사불거(中年陽事不擧)
오미자탕(五味子湯)[1] /  청궐(淸厥)족위(足痿)
온신환(溫腎丸) /  무사(無嗣)
육미지황원(六味地黃元) /  신허(腎虛)
육미지황환(六味地黃丸) /  신음허(腎陰虛)
이지환(二至丸) /  음양구허(陰陽俱虛)
익수고진단(益壽固眞丹) /  허로(虛勞)
익음신기환(益陰腎氣丸) /  신허내장(腎虛內障)
인숙산(仁熟散) /  담허(膽虛)
자보양영환(滋補養榮丸) /  간허(肝虛)
자음대보환(滋陰大補丸) /  음양구허(陰陽俱虛)
자음지황탕(滋陰地黃湯) /  이롱(耳聾)
자음지황환(滋陰地黃丸)[2] /  허로(虛勞)토혈(吐血)육혈(衄血)해혈(咳血)
증익귀용원(增益歸茸元) /  신허(腎虛)
지황음자(地黃飮子) /  중풍설음(中風舌瘖)
천궁산(川芎散)[1] /  풍훈(風暈)
청리자감탕(淸離滋坎湯) /  음허화동(陰虛火動)
청화자음탕(淸火滋陰湯) /  객혈(喀血)토혈(吐血)타혈(唾血)
파극환(巴戟丸)[2] /  포비(胞痺)
팔미보신환(八味補腎丸) /  신허(腎虛)
팔미환(八味丸) /  명문화쇠(命門火衰)
평보원(平補元) /  유뇨(遺尿)
환소단(還少丹) /  음위(陰痿)
회향연실환(茴香楝實丸) /  가취(瘕聚)칠산(七疝)